2023.10.02 (월)

  • 맑음동두천 9.8℃
  • 맑음강릉 15.2℃
  • 맑음서울 13.7℃
  • 구름많음대전 11.9℃
  • 맑음대구 12.0℃
  • 구름조금울산 14.6℃
  • 구름많음광주 13.8℃
  • 구름많음부산 17.9℃
  • 구름많음고창 11.6℃
  • 구름많음제주 20.7℃
  • 맑음강화 11.6℃
  • 구름많음보은 9.4℃
  • 구름많음금산 9.3℃
  • 구름많음강진군 13.4℃
  • 맑음경주시 10.5℃
  • 구름많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책소개

전체기사 보기


[새책] 나는 죽을 때까지 지적이고 싶다

양원근 지음, 정민 미디어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무엇보다 나는 죽을 때까지 젊은 지성인으로 실천하는 삶을 살고 싶다. 여기서 ‘젊은 지성인’이란 헨리 포드의 말에서 따온 것이다. “배우기를 멈추는 사람은 스무 살이든 여든 살이든 늙은이다. 계속해서 배우는 사람은 언제나 젊다. 인생에서 가장 멋진 일은 젊은 마음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라는 말. 아무리 보톡스를 맞고 성형해도 배움을 멈추면 우리의 정신은 늙고 병든다. 여전히 배울 것이 많은 우리가 배움을 멈추지 않고 나아가는 일, 그리고 그것을 실천으로 옮겨 나를 바꾸는 일은 우리에게 어떤 값으로도 바꿀 수 없는 젊음을 선사한다. 그 젊음은 어쩐지 우리의 육체까지도 젊어지게 만드는 듯하다. 사람들이 자꾸만 나의 나이를 가늠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말이다. 어쨌든 나는 교양 속물이 되고 싶진 않다. 언제나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교양 속물 대신 젊은 지성인으로 사는 것. 지금 이 책을 놓지 않은 당신의 선택이 후자일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_50~51쪽 이 책은 ‘지적인 삶’을 살아야 할 중년 기성인, 젊은이 할 것 없이 누구나 읽어야 할 필독서다. 지적인 삶이란 장자가 그랬듯 끝이 없는 앎의 세계를 추구하는 일이다. 자신의 무지

도서출판 우리겨레, 정호일 《애민철학의 이해》 펴내

백성의 주체적 요구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시대사적 대전환기를 맞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대답으로 ‘애민철학’ 제시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도서출판 우리겨레가 7월 15일 철학이 다뤄야 할 고유 영역이 가치관의 문제임을 전면적으로 다룬 《애민철학의 이해》를 펴냈다. 이 책은 가치관의 문제가 왜 철학의 고유 영역으로 돼야 하는지를 사회 역사의 주체인 ‘백성’의 삶과 결부시켜 서술하고 있다. 오늘날 인류는 높은 지성을 자랑하며, 엄청난 과학 문명과 넘쳐나는 물질적 풍요 속에 살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유유히 떠다니는 수면 아래 오리의 발과 같다. 무한 경쟁과 탐욕으로 가득 찬 세상은 양극화를 심화시켰고, 극한 생존 경쟁으로 사람들을 내몰았다. 나아가 개인과 집단 간 이해 충돌은 물론 나라와 민족 간에도 끊임없는 대립과 긴장을 넘어 전쟁도 불사한다. 지은이는 한국 사회뿐 아니라 전 세계가 이런 가치관의 대혼란에 빠져 있는 것은 인류의 미래와 지향을 열어줄 철학이 사장된 결과로 지성이 죽어가기 때문이라 진단한다. 그간의 철학은 세계관을 주는 학문으로서, 물질세계와 인간을 이해하는 데서 일정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사회 역사의 주체인 백성이 등장한 상황에서는 백성이 곧 사람이란 점을 분명히 해야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는데, 그러지 못해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하며, 철학은

시공을 초월한 제왕들의 인사 교과서 《인물지》 나와

시공사, 여전히 사이비 인재에게 미혹된 우리에게 《인물지》가 건네는 이야기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시공사가 시공을 초월한 제왕들의 인사 교과서 《인물지》를 펴냈다. 현명하고 유능한 인재를 찾는 일은 야심 있는 지도자들에게는 항상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와 같다. 사실 인재가 아닌 사람을 등용하려는 지도자는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인재와 인재가 아닌 사람을 알아볼 것인가? 그리고 어렵게 찾은 인재를 어떻게 적재적소에 배치할 것인가? 원전 《인물지》는 조조의 인사참모인 유소(劉邵)가 조조의 능력주의를 포괄하면서 다양한 인물들을 판별해 내고 적재적소에 배치하기 위한 용인(用人)술과 지인(知人)술을 집대성한 책이다. 공원국, 박찬철 두 저자는 이 책 ‘인물지: 시공을 초월한 제왕들의 인사 교과서’에서 유소가 쓴 원전을 현대적으로 해설하고 중국 고대 상ㆍ주시대부터 명ㆍ청시대까지 100여 명의 인물을 뽑아 그들의 이야기를 용인과 지인의 관점에서 살펴봤다. 《인물지》가 전하는 ‘인물 파악의 방법’과 ‘사이비 인재를 감별하는 방법’, ‘인재 자신이 경계해야 할 일’ 등은 2000년이 지난 오늘에도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임을 이 책의 저자들은 이야기한다. 조조의 인재 활용술을 집대성한 《인물지》 용인과 지인의 묘를 이야기하다 《인물지》는 조조가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