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두루한 참배움연구소장] 초등 교과서로 본 셈본, 산수, 수학 초등학교에서는 ‘셈본’을 1946년부터 1955년까지 펴낸 일이 있다. ‘산수’는 1941년부터 써 온 이름인데, 우리말 도로찾기 차원에서 셈본으로 바꾼 것이었다. 셈본은 셈하는 방식. 또는 그것을 전하는 책을 말한다. 1954년 4월부터 제1차 교육과정이 시작되는데, 1955년부터 교과서 이름은 산수로 다시 바꾸었다. 또 제6차 교육과정(1992~1997)에 따라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이름이 바뀌고, 1994년부터 '산수'가 '수학'으로 바뀌었다. 이전까지 수학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때 배웠던 과목이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두산백과사전》, 고등학교 《수학》 (박교식 외, 동아출판) 교과서에서는 ‘수학’을 다음과 같이 풀이했다. 숫자와 기호를 사용하여 수량과 도형 및 그것들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민족》 물건을 헤아리거나 측정하는 것에서 시작되는 수(數)ㆍ양(量)에 관한 학문이다. 다른 학문의 기초가 되기도 하며, 인류의 역사상 가장 오래전부터 발달해 온 학문이다.《두산》 자연 현상 및 사회 현상의 탐구와 과학기술의 개발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핵심적인 도구. 수학을 공
[우리문화신문=김두루한 참배움연구소장] 언어폭력의 언어는 무엇을 말할까? 전국 초ㆍ중ㆍ고 학생 4%를 대상으로 한 지난해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피해자 10명 중 7명가량이 언어폭력을 당했다고 답했다. 나이가 어릴수록 피해 응답률이 높았다. 가해 이유는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가 1위였다. 6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2022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분석보고서'에 따른 내용이다. 위 기사에서 나온 ‘언어폭력’에서 ‘언어’란 무엇일까? 말모이인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백과사전》,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는 ‘언어’를 다음과 같이 풀이했다. “① 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전달하는데 쓰는 음성ㆍ문자 따위의 수단 ②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관습적 체계.”(표준) “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음성ㆍ문자ㆍ몸짓 등의 수단 또는 그 사회관습적 체계.”(두산) “자아 존재의 본질이며 공동체 문화의 핵심. 인간은 언어를 통해 자기를 표현하면서 인격을 완성한다.”(국어, 좋은책신사고) ‘언어’는 스위스 소쉬르가 만든 ‘랑가쥬’를 옮긴 일본말이다 《표준》에 나온 ①은 ‘입말’과 ‘글말’을 싸안은 ‘말’을 뜻한다.
[우리문화신문=김두루한 참배움연구소장]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누리(세상)를 세로로 나누면 이렇습니다. 백제사람, 고구려사람, 신라사람. 또 신라 안에서는 공주님을 따르는 이, 이 미실을 따르는 이들. 하지만 누리를 가로로 나누면 딱 두 가지밖에 없습니다. (두 손을 가로지어 양쪽을 벌리면서) 부리는 이와 부림 받는 이. 누리를 가로로 나누면 공주와 저는 같은 편입니다. 우린 부리는 이입니다. 미실에게서 신권을 뺏으셨으면 공주님께서 가지세요.(드라마 <선덕여왕> 30회, 2009) 마소나 다른 사람을 시켜 일하게 할 때 ‘부리다’란 말을 썼다. 누리를 가로로 나누면 부리는(지배하는) 이와 부림 받는(지배당하는) 이, 두 가지밖에 없다는 말이 와닿는다. 씨알(국민)에게 천기운행의 지식을 돌려주려고 첨성대를 세우자고 월천 대사가 제안한다. 이를 받아들이기 힘든 미실과 변화를 이룩하려는 덕만 사이에 나눈 마주이야기(대화)다. 이 장면을 떠올리면서 ‘민주주의’를 묻게 된다.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두산백과사전》, 고등학교 《정치와 법》 교과서에서는 ‘민주주의’를 다음과 같이 풀이했다.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을 위한 정치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