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채 송 화 - 허홍구 발뒤꿈치 한 번 들지 않았었구나. 몸 낮추어도 하늘은 온통 네게로 왔구나. 울타리 하나 세우지 않고도 꽃밭을 일구었구나. 올망졸망 어깨동무하고 사는구나. 채송화는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꽃이다. 줄기는 붉은빛을 띠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지며, 키는 20cm 안팎이다. 꽃은 7∼10월 맑은 날 낮에 피며 낮 2시 무렵 시드는데 붉은색, 노란색, 흰색과 더불어 겹꽃도 있다. 한번 심으면 종자가 떨어져서 해마다 자란다. 보석을 너무 탐낸 어느 여왕이 수많은 보석과 함께 사라지며 형형색색의 채송화가 되었다는 전설이 전하는데, 그래서 꽃말이 가련, 순진, 천진난만이란다. 흔히 키가 작아 ‘앉은뱅이꽃’이라 불리는 채송화는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그저 시골 꽃밭 한편 또는 마당 구석이나 장독대에 피어나 눈길을 끌지도 않는다. 그러나 여기 허홍구 시인은 오히려 키가 작은 외모를 보고 ‘발뒤꿈치 한 번 들지 않았다.’라고 말한다. 작은 키를 감추려 일부러 발뒤꿈치를 들어 키가 커 보이게 하지도, 요즘 젊은이들처럼 키높이깔창을 신발 속에 까는 일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뿐이 아니다. “몸 낮추어도 하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헌 구두 - 허태기 발가락 굳은 살 신발이 불편하다 새 구두로 멋 부릴 때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새 신발이 꺼림칙하다 신발장 넣어 둔 뒤축 달은 헌 구두 발에 맞춰보니 그렇게 편하다 버리지 않은 것이 천만다행 낡은 뒷창 고치고 터진 실밥 기워주면 새 구두 못지않게 신명 나게 걸어간다 세상살이 별거던가! 낡았다 버리지 말고 늙었다 홀대 마라 길지 않은 삶 기워주고 고쳐가며 마음 편히 사는 것이 최상의 행복. ‘두껍아 두껍아 헌집 줄게 새집 다오’ 우리는 어린 시절 손등에 모래를 잔뜩 쌓아놓고 단단하게 다지면서 두껍이에게 새집과 헌집을 바꾸자고 놀이하고 노래했었다. 지금이야 도시생활에 찌들어, 흙 자체를 만져보기도 어려운 삶이 되었다. 그리고 우리가 살던 집이 조금만 낡으면 미련없이 헐고 새집을 짓는 ‘재개발사업’에 사람들은 미쳐간다. 낡은 것은 무조건 버려야 할 것들인가? 지금부터 한 15년 전쯤 나는 독일 함부르크에 간 적이 있었다. 그런데 그곳엔 지은 지 200~300년쯤 된 낡은 집들에 자랑스레 팻말을 붙이고 마치 문화재 보호하듯 하는 것을 보고 크게 느낀 바가 있었다. 굳이 독일까지 갈 필요도 없다. 우리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인 생 - 서정란 인생은 계획하다가 어어 하다가 반성하다가 후회하다가 후딱 간다 너무 심각할 필요도 너무 엄숙할 필요도 너무 나를 얽맬 필요도 없이 그냥 강물처럼 흘러가며 사는 것이 잘사는 길이 아닐까? 천하의 명필이라는 추사 김정희. 그는 제주도에 유배 가서 험난한 삶을 살아야만 했다. 좁은 방안에는 거미와 지네가 기어 다녔고, 콧속에 난 혹 때문에 숨 쉬는 것도 고통스러웠으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혀에 난 종기 때문에 침을 삼키는 것조차 힘든 날, 아내가 세상을 떠났다는 편지를 받아야 했을 정도로 고통의 나날을 보냈다. 하지만, 추사는 유배지에서 화가 날 때도 붓을 들었고 외로울 때도 붓을 들었음은 물론 슬프고 지치고 서러움이 복받칠 때도 붓을 들었으며 어쩌다 한 번씩 받게 되는 반가운 소식이 올 때도 머뭇거리지 않고 붓을 들었다. 그러면서 그는 천하의 명필이 되었고, 인생을 긍정하는 법을 배웠다. 거부할 수 없는 운명이 자신에게 엄습해오면 몸부림치지 않고 받아들인 그였다. 그 고통의 시간을 삭이고 곰 삭혀 온전히 발효시킨 내공을 글씨 속에 쏟아부었으며 포기하고 싶은 세월을 붓질로 버텨나갔던 것이다. 서정란
석 양 - 한 임 동 오늘 하루의 일을 마치고 떠나는 뒷모습 아름답다. 언덕 위 굽은 소나무도 고운 빛으로 따라 물든다. 만나고 헤어지는 아쉬움은 다 하지 못한 사랑이더라 그대 눈에는 내가 빛나고 나는 그대로 하여 빛나느니 이태준(李泰俊, 1904~1970)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단편소설 작가라 평가받는데 그가 쓴 단편소설 가운데 삼인칭 전지적 시점의 <석양(夕陽)>이란 작품도 있다. <석양>은 주인공 매헌이 경주 유적지에서 우연히 만난 여인 타옥이 떠나므로 맞게 되는 황혼을 암시하며 쓸쓸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작품이다. “‘가버리었구나!’ 종일 마음이 자리잡히지 않았다. 술도 마셔보았다. 담배를 계속해 피워도 보았다. 저녁녘이 되자 바람은 어제보다 더 날카로운 것 같으나 매헌은 해변으로 나와보았다. 파도 소리는 어제와 다름없었다. 타옥의 말대로 파도 소리는 유구스러웠다. 석양은 해변에서도 아름다웠다. 그러나 각각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속히 황혼이 되어버리는 것이었다.” 이태준은 <석양>에서 파도 소리는 어제와 다름이 없었고, 석양은 해변에서도 아름답다고 애써 강변한다. 그럼에도 그 아름다운 석양은 각각으로 변하고 마침내는 황혼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 머 니 - 김 재 진 엄마, 우리엄마, 하고 불러봅니다. 철들고, 어느새 나이 마흔 후딱 넘어 한 번도 흘려보지 않은 눈물 흐릅니다. 정월대보름입니다. 마흔 넘어 처음 보는 보름달입니다. 눈 내린듯 환한 밤길 걸어 술 받으러 가는 길이었습니다. 달아, 달 본지 십년도 이십년 더 된 것 같습니다. 어떻게 살았기에 눈물 흘린 지 십년도 이십년도 더 된 것 같습니다. 어머니, 목메는 이름입니다. 어머니, 세상의 아픈 사람들 다 모여 불러보는 이름입니다. 세상의 섧븐 사람들 다 모여 힘껏 달불 돌리는 어머니, 대보름입니다. 조선 후기 문신 홍석모가 연중행사와 풍속들을 정리하고 설명한 풍속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보면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맞이하는 것을 ‘망월(望月)’ 곧 달마중이라 하며, 먼저 달을 보는 사람에게 행운이 온다.'라고 적혀 있다. 따라서 뒷동산에 올라 떠오르는 보름달을 맞이하는 것이 누구나 정월대보름에 할 일이었음이다. 대보름의 명절 음식으로 오곡밥과 함께 ‘복쌈’이 있는데, 이는 밥을 김이나 취나물, 배추잎 등에 싸서 먹는 풍속이다. 복쌈은 여러 개를 만들어 그릇에 노적 쌓듯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입 춘 - 허홍구 백성의 소리가 들리는구나 눈보라 치던 황량한 땅 헤치고 너 기어이 일어서서 오는구나 여리고 순한 네 더운 숨결이 꽁꽁 얼어붙은 대지를 녹이고 사랑의 숨결처럼 달려오는구나 이제 부디 향기의 꽃을 피워라 상처 난 몸과 맘을 어루만져주고 만백성이 무리 지어 꽃 피게 하라 넘어진 사람들 일어서게 하여 다시 한번 더 꿈꾸게 하라 후회 없는 새로운 출발점이 되게 우리는 추운 한겨울 세수하고 잡은 방문 고리에 손가락이 쩍쩍 달라붙었던 기억이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저녁에 구들장이 설설 끓을 정도로 아궁이에 불을 때 두었지만 새벽이면 구들장이 싸늘하게 식었고, 문틈으로 들어오는 황소바람에 몸을 새우처럼 웅크릴 수밖에 없었다. 이때 일어나 보면 자리끼로 떠다 놓은 물사발이 꽁꽁 얼어있고 윗목에 있던 걸레는 돌덩이처럼 굳어있었다. 또 눈 덮여 황량한 겨울 들판엔 칼바람 추위 속에 먹거리도 부족하니 사람도 뭇 짐승도 배곯고 움츠리기는 마찬가지였다. 소설가 김영현은 그의 작품집 《깊은 강은 멀리 흐른다》에서 "도시에서 온 놈들은 겨울 들판을 보면 모두 죽어 있다고 그럴 거야. 하긴 아무것도 눈에 뵈는 게 없으니 그렇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고 향 - 장 만 영 그대 고향에 다녀왔다니 묻노네만 내 살던 창가에 옛 피던 매화는 피었던가 아직은 이르던가. “서양 시인들은 녀자와 장미 (薔薇)를 노코는 시를 못 지으리만큼 녀자와 장미를 노래하엿다 하면 동양의 시인들은 술과 매화가 업고는 시를 지을 수가 업스리만큼 술과 매화를 을펏슴니다. 그는 지나(중국) 시인이 그랫고 일본 시인이 그랫고, 우리 조선의 시인들이 또한 그랫슴니다. 그리고 정다운 고향을 떠나 천리 객장에 몸을 붓친 외로운 손도 고향의 친구를 만나 고향 소식을 무를 때에는 가정의 안부보다도 뜰 압헤 심어잇는 매화의 피고 안 핀 것을 먼저 뭇고 과년한 처녀가 그리운 님을 기다릴 때에도 매화 열매의 일곱 남고 셋 남고 필경은 다 떠러지는 것을 보고, 안타까운 생각이 더욱 간절 하얏답니다.” 이는 일제강점기 잡지 《별건곤》 제5호(1927년 03월 01일)에 실린 “매화(梅花)와 수선(水仙) 이약이”에 나오는 구절이다. 왜 그렇게 우리 겨레는 매화를 좋아했을까? 조선 중기 문인 신흠의 상촌집에는 '梅一生寒不賣香'(매일생한불매향)이라는 구절이 있다. 매화는 한평생 추운 한파에 꽃을 피워도 향기를 팔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얼음새꽃 - 곽효환 아직 잔설 그득한 겨울 골짜기 다시금 삭풍 불고 나무들 울다 꽁꽁 얼었던 샛강도 누군가 그리워 바닥부터 조금씩 물길을 열어 흐르고 눈과 얼음의 틈새를 뚫고 가장 먼저 밀어 올리는 생명의 경이 차디찬 계절의 끝을 온몸으로 지탱하는 가녀린 새순 마침내 노오란 꽃망울 머금어 터뜨리는 겨울 샛강, 절벽, 골짜기 바위틈의 들꽃, 들꽃들 저만치서 홀로 환하게 빛나는 그게 너였으면 좋겠다 아니 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입춘(立春, 2월 3일)을 열흘 앞둔 지난 1월 23일 홍릉시험림 안에 얼음새꽃이 황금빛 꽃잎을 피웠다고 알렸다. 아직 꽃샘추위가 오는 봄을 시샘하고 있지만, 얼음새꽃은 봄이 왔다고 그 작고 앙증맞은 몸짓을 살랑살랑 흔들어 주고 있다. 얼음새꽃은 개화 이전 하루평균기온의 합이 일정량 이상 누적될 때 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지난 주 목요일부터 이어진 포근한 날씨에 지난 주말 동안 서울지역 최고기온이 14℃ 가까이 올라가면서 낙엽 아래 숨어 있던 꽃봉오리들이 활짝 핀 것으로 보인다. 매화보다도 더 일찍 눈을 뚫고 꽃소식을 전하는 얼음새꽃은 눈 속에서도 꽃을 피우는데 키는 보통 10~30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사 랑 - 이은재 밤은 자꾸 깊어 가는데 눈보라만 휘날리고 꼭 만나야 할 사람은 보이지 않네. 어둔 밤을 반짝반짝 밝혀 주는 별빛으로 임의 얼굴 그린다면 찾아오실까? 지금까지는 아주 멀리 떨어져서 살았지만 코로나가 떠나가면 꼭 만나야 할 사랑! 북한의 덕흥리 고분에는 ‘견우와 직녀’ 벽화가 있다.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견우는 염소만 한 크기의 소를 끌고 견우성을 향하여 떠나고, 직녀성이 자미원 밖에서 견우를 배웅하는 고구려시대 천문도를 의인화한 그림이다. 이 견우와 직녀는 애타게도 칠석에만 만날 수 있다. 그래서 그 애타는 날 칠석에 우리 겨레는 시집가는 날 신랑 신부가 같이 입을 댈 표주박을 심고, “짝떡”이라 부르는 반달 모양의 흰 찰떡을 먹으며 마음 맞는 짝과 결혼하게 해달라고 비는 풍습이 있었다. 그래서 우리 겨레는 이날을 토종 ‘연인의 날’이라 하는데 여기서 재미나는 것은 칠석만 되면 유달리 내리는 비가 언제 내리냐에 따라 전혀 다른 비가 된단다. 칠석 전날에 비가 내리면 견우와 직녀가 타고 갈 수레를 씻는 '세거우(洗車雨)'라고 하고, 칠석 당일에 내리면 만나서 기뻐 흘린 눈물의 비라고 하며, 다음 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昨冬雪如花 지난 겨울 꽃 같던 눈 今春花如雪 올 봄 눈 같은 꽃 雪花共非眞 눈도 꽃도 참(眞)이 아닌 것을 如何心欲裂 어찌하여 마음은 미어지려 하는가.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전기(田琦)의 <매화서옥도>를 본다. 저 그림 속은 꽃은 매화일까? 눈꽃일까? 물론 화제에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라 하였으니 화원의 붓끝으로는 분명 매화를 그렸음이다. 그림에서 매화는 눈송이처럼 보일 만큼 그 순정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눈 덮인 산, 잔뜩 찌푸린 하늘, 눈송이 같은 매화, 다리를 건너오는 붉은 옷을 입은 선비가 어우러져 보는 이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그림이다. 전기는 매화가 활짝 핀 산속 집에 앉아 있는 선비고, 그의 절친한 벗 붉은 옷의 선비 오경석은 거문고를 메고 다리를 건너 초가집을 찾아온다. 그런데 여기 만해 한용운 선생이 옥중에서 쓴 “벚꽃을 보고(見櫻花有感)”란 한시도 있다. 겨울엔 눈이 꽃 같았고, 봄엔 꽃이 눈인 듯하단다. 눈도 꽃도 변하지 않는 진리가 아닌 것을 번연히 알면서도 우리는 그 눈과 꽃에 마음을 뺏기고 미어지려 한다. 만해 선생 같은 위대한 선각자도 눈과 꽃을 보고 마음이 흔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