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1919년 3월 10일, 전남 광주 만세 시위 도중 일경에 의해 왼팔이 잘려 낭자하게 흐르는 피를 부여잡고 극한의 고통 속에서도 결코 주저앉거나 포기하지 않았던 남도의 유관순, 윤형숙 (1900.0.3~1950.9.28, 다른 이름 윤혈녀) 열사를 조명하는 학술대회가 열린다. 전남 여수시 여수문화홀에서 오는 9월 27일(금) 낮 2시부터 여수시와 여수지역독립운동가유족회(회장 오룡) 주최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는 “의혈지사 윤형숙을 기억한다”라는 주제로 3.1운동100돌 기념 학술세미나와 추모제를 겸하며 윤형숙 열사 관련 학술세미나는 이번 행사가 처음이다. 이날 학술 세미나는 한규무 광주대학교 교수의 ‘항일애국열사 윤형숙 관련자료 검토 및 생애와 활동 재조명’과 김호욱 광신대학교 교수의 ‘일제강점기 호남 기독교 선교와 윤형숙의 항일운동’ 발제에 이어 토론은 김인덕 청암대학교 교수, 김병호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이사장, 이윤옥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 윤치홍 여수지역독립운동가유족회 독립유공자발굴위원장이 맡아 그동안 학술적으로 조명 받지 못했던 윤형숙 열사의 삶을 재조명한다. 이어 여수시 화양면 창무리에 있는 윤형숙 열사 무덤을 찾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지청천 장군을 ‘19년 9월의 독립운동가로 뽑았다. 장군은 1888년 1월 25일(양력 3월 7일) 서울 삼청동에서 태어났다. 장군은 1907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했으나 1909년 폐교되어 일본 사관학교에 유학하여 1912년 5월 졸업할 때까지 군사학 등을 공부했다. 이후 신흥무관학교 교성대장으로 독립군 간부와 병사 양성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신흥무관학교는 서간도 일대에 거주하고 있던 교포사회를 기반으로 성립한 중학과정의 독립군 양성 학교였다. 장군은 1921년 3월 한인 무장세력이 세운 ‘대한의용군 총사령부’의 참모부원으로 선출되었고 ‘대한독립단’으로 개편된 후 군사고문으로 추대되었다. 같은 해 6월 하순 홍범도ㆍ안무(安武) 등의 부대와 함께 장군 휘하 부대는 고려혁명군정의회 제3연대로 편성되었는데, 장군은 이 부대의 주요 간부 직책을 맡게 되었다. 1925년에는 남만주의 통합 독립운동 조직이자 교민 자치조직인 정의부(正義府) 군사위원장과 사령관을 겸했고, 1928년에는 만주의 유력조직인 정의부ㆍ참의부ㆍ신민부 등 3부(府) 통합운동에 노력했다. 1930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효창원에 잠들어 계신 외할아버지(차리석) 무덤에 외할머니(강리성)가 합장되었다는 용산구청의 안내판 수정(2019.8.14) 소식을 듣고 우리 가족은 기쁨의 눈물을 흘렸습니다. 외할머니가 돌아가신지 58년 만에 이뤄진 숙원이라 더욱 감회가 깊습니다.” 지난 22일 오후 3시, 늦여름 매미가 세찬 소리로 울어대는 용산 효창원 내 차리석(車利錫, 1881 - 1945) 선생의 무덤에서 만난 차리석 선생의 외손자 유기방(64살), 유기수(61살) 씨는 이렇게 말을 꺼내면서 기자 앞에 두툼한 서류 뭉치를 내놓았다. 흔히 효창원 묘역에 모셔진 분은 3의사 묘역에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선생과 임정요인 묘역에 이동녕, 차리석, 조성환 선생 그리고 김구 선생 이렇게 7인이 묻혀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9인이다. 7인 외에 2인은 다름 아닌 김구 선생의 부인 최준례 여사와 차리석 선생의 부인 강리성 여사다. 차리석 선생의 무덤에는 지금으로부터 58년 전인 1961년 4월 18일 서울에서 세상을 뜬 부인 강리성 여사가 합장되어 있으며, 김구 선생의 무덤에는 1999년 4월 12일 부인 최준례 여사가 남양주 진건 송정리에서 이장되어 합장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오는 15일(목) 제74주년 광복절을 맞아 지난 1919년 4월 경기 화성시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징역 12년을 받은 이봉구(李鳳) 지사와 광주학생운동의 도화선이 된 박기옥(朴己玉) 지사 등 178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49명(독립장 1, 애국장 8, 애족장 40), 건국포장 28명, 대통령표창 101명으로, 이 가운데 생존 애국지사는 1명(백운호, 89살)이며, 여성이 10명이다. 훈ㆍ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제74주년 광복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본인과 유족에게 수여된다. 15일(목) 중앙기념식에서는 포상자 가운데 유일한 생존애국지사로 항일비밀결사에 참여하고 1942년 사회 질서와 안전에 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일본 경찰에 체포돼 고초를 겪는 등 조국독립에 기여한 백운호 지사(대통령표창)가 직접 포상을 받을 예정이다. 또한, 1925년부터 제주청년연합회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1931년 6월 비밀결사에 참여해 활동하다 체포돼 징역 5년을 받은 고 김한정 선생(남, 건국훈장 애국장)과 1920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13일 오전 10시 30분 덕수궁 중명전에서 ㈜스타벅스코리아(대표이사 송호섭, 이하 스타벅스),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 광복회(회장 김원웅)와 함께 3‧1만세운동과 임정 100돌을 기려 독립문화유산 보호‧독립유공자 후손을 후원하는 행사를 연다. 정부혁신의 하나로 추진하는 이번 행사를 통해 스타벅스는 독립문화유산 보호 기금 1억 원과 독립유공자 후손을 위한 장학금 1억 원을 후원한다. 문화재청과 문화유산국민신탁은 스타벅스가 후원한 독립문화유산 보호기금 1억 원으로는 도산 안창호 친필 휘호를 구입해 일반인들에게 전시하고, 장학금 1억 원은 민족 지도자 양성에 힘썼던 도산의 뜻을 이어받아 독립유공자의 후손 학생 50명에게 전달하여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만들어나갈 주인공으로 성장하도록 도울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3‧1만세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돌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해이자 제74주년 광복절을 앞둔 시점에서 열려 그 의미가 더욱더 뜻 깊다. 참고로, 스타벅스는 문화재청과 2009년 문화재지킴이 협약을 맺고 다양한 문화재 보호활동을 펼쳐왔다. 임직원들이 문화재 보호 활동에 자원봉사로 참여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머나 먼 이국땅에서 생을 마감하신 독립유공자들의 정신과 뜻을 기리고, 최고의 예우로 보답하기 위해 지난 7월에 중앙아시아를 방문하여 묘소 확인 등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유학관ㆍ박노순 지사의 묘소를 새롭게 찾아냈고, 이인섭ㆍ최호림 지사의 묘소 상태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유학관ㆍ박노순 지사의 묘소는 그동안 위치를 파악하지 못했으나 각종 자료조사와 현지 확인 등을 통해 묘소를 찾아내게 되었다. 또한, 이인섭ㆍ최호림 지사의 묘소는 현지 실태조사 등을 통해 확인된 부분을 보완할 예정으로, 남림마 고려문화협회장도 “앞으로 단오 및 추석 등 계기마다 묘소에 대한 환경정화사업을 실시하겠다.”라고 언급하였다. 향후, 보훈처는 이들 묘소 중에 “이인섭ㆍ박노순 지사는 유족과의 협의를 통해 유해봉환을 빠른 시일 내에 추진할 계획이며, 또한 최호림ㆍ유학관 지사의 묘소는 현지공관 및 고려인협회 등과 협의하여 새롭게 묘소단장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보훈처는 “국내외 산재해 있는 독립유공자 묘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가기 위해 정기적 실태조사, 묘소 정보시스템 개발, 합동묘역의 국가관리묘역 지정·관리, 미확인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구(1876.8.29.~1949.6.26.) 선생을 2019년 8월의 독립운동가로 꼽았다.”고 밝혔다. 선생은 1876년 7월 11일(양력 8.29) 황해도 해주(海州) 백운방(白雲坊) 텃골(基洞)에서 태어났다. 선생은 1896년 국모를 살해한 원수를 갚기 위해 일본인 스치다를 살해하고 옥고를 치렀다. 1904년 신지식인을 길러내는 애국계몽운동을 펼치기 시작하였으며, 황해도 문화군 초리면(신천군 초리면)의 서명의숙(西明義塾)과 안악의 양산학교(楊山學校) 교사, 재령의 보강학교(保强學校) 교장 등을 지내며 교육 구국운동에 힘을 쏟았다. 또한 최광옥과 함께 해서교육총회(海西敎育總會)를 조직하여 학무총감(學務總監)에 추대되어 각 군을 돌며 계몽운동을 펼쳤다. 선생은 1910년 신민회에 가입하여 구국운동을 펼치다 1911년 일제에 붙잡혀 징역 2년 형을 언도받았고 안명근 사건에 연루되어 15년 형이 추가되어 옥고를 치르다 1915년 가출옥되었다. 1919년 3·1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선생은 중국 상하이로 망명, 대한민국임시정부 경무국장에 임명되어 일제가 보내는 첩자들을
[우리문화신문= 전수희 기자] 어제(19일) 낮 2시부터 , 춘천교대 홍익관에서는 ‘여성독립운동가를 찾아서 – 나라사랑 정신과 인성(人性)- ’라는 주제로 강연이 열렸다. (사)세계평화여성연합 춘천지부와 (사)강원예술문화교육원, 춘천교대윤리교육과 주최로 열린 이 날 강연은 이윤옥(시인,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 소장이 맡았다. 이윤옥 소장은 지난 10여 년간 여성독립운동가를 기리는 작업으로 《서간도에 들꽃 피다》(전 10권)을 써왔으며 이를 토대로 이날 강연이 이뤄졌다. 이날 강연에서는 강원지역의 여성독립운동가, 미주에서 활약한 여성독립운동가, 중국에서 활약한 여성독립운동가들의 활약상을 소개했다. 한편 강원지역의 여성독립운동가들 가운데는 춘천 출신의 최초의 여성의병장인 윤희순 의병장을 비롯한 철원 출신의 곽진근, 김경순, 이소희, 양양 출신의 조화벽, 김경화 김경순, 이소희, 지은원, 윤경옥, 조화벽 지사 등의 활약상을 들려주어 참석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다와라기 하루미(강원도 재한일본인회장) 씨는 “오늘 강연을 통해 일제강점기에 조국을 찾기 위해 힘쓴 한국의 여성독립운동가들을 다시 한번 되새기는 자리가 되었다. 오늘 강연을 토대로 여성독립운동가들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오래간만에 아내와 함께 연극을 보러 세실극장으로 나들이 갔습니다. 연극 제목은 <달의 목소리>로 한국의 잔다르크라고 불리는 정정화 선생의 삶을 연극으로 꾸민 것입니다. 연극이 시작되니 배우 원영애가 무대로 나옵니다. 원영애는 정정화의 자서전 《녹두꽃》을 읽고 정정화에 꽂혔다고 합니다. 그래서 1998년부터 지금까지 연극으로 사람들에게 독립운동가 정정화를 알리는데 자기 연극 일생을 바쳐오고 있습니다. 해설자로 관객들과 소통하던 원영애는 곧 정정화가 되어 극중 세계로 빠져듭니다. 그러다가 다시 해설자로 돌아오고, 다시 극중 세계로 뛰어들고... 상대하는 배우들은 언제 나오나 했더니, 결국 연극은 배우 원영애가 혼자 이끌어가네요. 참! 독립운동가 정정화 선생(1901~1991)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겠군요. 1919년 시아버지 김가진(1846~1922)과 남편 김의환(1900~1964)이 자신에게도 알려주지 않고 비밀리에 상해로 망명하자, 다음 해 1월 정정화도 뒤따라 상해로 망명합니다. 시아버지 동농 김가진은 구한말 농상공부 대신, 법무대신 등을 역임했는데, 한일합방 후 일제는 동농을 회유하기 위해 남작의 작위를 줍니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 이하 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이동휘(1873.6.20.~1935.1.31.)선생을 2019년 7월의 독립운동가로 뽑았다. 1873년 6월 20일 함경남도 단천에서 빈농의 아들로 출생한 선생은 1904년 러일전쟁 발발 이후 일본의 침략이 가속화되자, 1905년 보창학교(普昌學校)를 설립하여 민족교육운동에 헌신하였다. 이후, 대중을 자각시켜 구국운동에 나서게 하기 위해 교육문화 활동을 펼치는 한편, 기독교야말로 쓰러져 가는 나라를 구할 수 있는 종교라는 신념에서 기독교 전도활동에 힘썼다. 선생은 서북학회(西北學會)와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의 지도자로서 구국운동을 펼쳤으며, 1911년 3월 안명근ㆍ양기탁사건에 연루되어 일제총감부에 체포되었고, 인천 앞 바다에 있는 무의도에서 1년 동안 유배생활을 해야 했다. 1912년 6월 유배에서 해제된 선생은 1913년 2월경 압록강을 건너 북간도로 탈출하였다. 선생은 북간도 한인자치기관인 간민회(墾民會)를 지도하는 한편, 북간도 각지를 순회하며 신교육 보급과 기독교전도활동을 계속하며 동포사회의 단결과 민족의식을 드높였다. 러일전쟁 10돌이 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