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윤현진(尹顯振, 1892. 9.16.~1921. 9.17.) 선생을 2018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선생은 1892년 경남 양산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만성재(晩惺齋)에서 한학을 수학하고 15세가 되던 1907년 구포의 구명학교에서 신학문을 배웠다. 1909년 중국 상하이와 베이징을 탐방한 뒤 깊이 있는 신학문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일본 유학을 떠나게 된다. 선생은 22세가 되던 1914년 메이지(明治)대학을 입학한 이후 조선유학생학우회와 일본제국주의 타도를 목적으로 결성된 신아동맹당 당원으로서 반일운동에 앞장섰다. 1916년 고국으로 돌아와서는 약 3년 동안 대동청년단, 백산무역주식회사, 의춘상행(宜春商行), 기미육영회 등과 관계를 맺고서 비밀결사운동, 경제적 자립운동, 교육운동을 주도하였다. 3ㆍ1독립운동 직후인 1919년 3월 21일 상하이로 망명한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위원과 경상도위원, 국내 항일세력과 연락을 위한 의용단 조직, 독립신문 발기인 등을 맡으면서 임시정부의 중심인물로 부상하였다. 1921년 2월 임시정부의 중책인 재무차장에 취임하
								[우리문화신문= 김영조 기자] 터졌구나 터졌구나 / 독립성이 터졌구나 15년을 참고참다 / 이제서야 터졌구나 피도 대한 뼈도 대한 / 살아 대한 죽어 대한 잊지마라 잊지마라 (2절 줄임) –탄운 이정근 의사 지음 ‘3.1독립가’ - 경기 화성 발안 3·1 독립만세 항쟁의 선구자인 탄운 이정근(灘雲, 李正根 1863-1919) 의사(義士) 순국 99주기 추모제가 어제(31일) 낮 11시, 향남읍 소재 탄운 선생 창의탑 (향남읍 삼천병마로 283-6번지)에서 열렸다. 사단법인 탄운 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가 주관한 어제 추모제에는 광복회 경기도지회 안소헌 지회장을 비롯한 지역유지, 탄운장학금 수여자와 학부모 등 150여명이 모여 탄운 선생의 숭고한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겼다. 이날 추모제는 탄운 선생에게 올리는 추모제례로 초헌례(유족대표 이호원), 아헌례(광복회지회장 안소헌), 종헌례(탄운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 회장 김겸)의 예를 갖춘 제례를 중심으로 이어졌으며 이어 헌화, 분향의 시간을 가졌다. 한편, “1919년 3월 31일 발안 장날을 기해 1천여 명의 시위 군중을 이끌다 현장에서 일헌병에 총검에 의해 순국의 길을 걸은 탄운 이정근 의사의 거사는 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지난 3월 17일(토), 급성 뇌경색으로 쓰러지신 여성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92살)는 발병 후 곧바로 수원 성빈센트병원으로 모셨다가 지난 22일(금)부터 서울중앙보훈병원 (강동구 진황도로 61길 53) 외과 중환자실로 옮겨 치료중이다 서울중앙보훈병원 외과 중환자실에서 8일째 입원 중인 여성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께서조금씩 회복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을 아드님인 김흥태(55살) 씨가 기자에게 알려왔다. 어제(30일, 낮 2시) 현재 오희옥 지사의 상태를 김흥태 씨가 전해온 소식 그대로 싣는다. “어머님은 MRI촬영차 지하 1층으로 내려가는 동안 많은 분들이 걱정하고 빨리 쾌차하시길 기원하고 계시다는 말씀을 드리니 고개를 끄덕 거리셨습니다. 식사를 환자식으로 하니 기력이 지속적으로 많이 떨어져 있는 상태지만 의식은 지속적으로 많이 돌아오고 계심을 느꼈습니다. 종이와 펜을 드리니 어머니 성함, 3월 30일, 이윤옥 교수님 등의 이름을 쓰셨고 힘이 부친 듯 금새 눈을 감으셨습니다. 의식은 있지만 몸은 많이 여의셨고, 가래로 약간 고생 중이시지만 전보다 좋아지신 것 같고, 목을살짝 움직이는 정도도 가능하십니다. 어머님은 많은 시간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백년편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년 (2019년)을 맞아 쓰는 편지글 형식의 글입니다. 2019년 4월 13일까지 계속 접수를 받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문의 : 02 -733-5027】 서랍을 엽니다. 침대 옆 작은 거울 장 첫 번째 서랍, 안쪽 왼편 구석에 놓인 아버지의 검은 가죽 손지갑. 작은 비닐봉지로 말린 목도장 하나, 2015년도 서울시가 발행한 독립유공자 진료카드, 독립유공자협회의 아버지 명함 한 장, 마켓의 포인트 카드 한 장과 천 원짜리 여섯 장. 아버지의 홀쭉한 지갑을 더듬는 제 손끝이 저려옵니다. 아직도 맞은편 아버지 침실 열려진 방문 사이로 "원표야!" 절 부르시는 아버지의 음성이 들립니다. 잠이 들다가도 부르시는 소리에 소스라쳐 아버지 침실의 불을 켜면 누워계셨던 침대만 보입니다. 생전에 잘 모시지 못한 세월이 후회와 아쉬움으로 가득 채워지는 밤, 부족했던 제가 용서되지 않습니다. 제 나이 만 예순일곱, 그 짧지 않은 오랜 시간을 저와 제 동생들을 기르시느라 염려하셨던 아버지, 어머니. 이 글을 올리는 이 시간에도 너무 그립습니다. 뵙고 싶습니다. 사랑합니다. 아버지의 어린 시절 한국인인
								[우리문화신문=김철관 기자] 지난 3ㆍ1절 99주년을 맞아 여성독립운동가를 조명해온 시인 이윤옥 한일문화어울림연소장이 여덟 번째 시집 (서간도에 들꽃피다>를 냈다. 그는 지난 2011년부터 지금까지 여성독립운동가의 처절한 삶을 시와 글로 조명해 왔다. 특히 시인이기도 한 이 소장은 여성독립운동가를 조명한 시집 <서간도에 들꽃피다 8>( 얼레빗, 2018년 2월 23일)를 펴내하자마자, 곧바로 나에게 우편으로 보내준 고마운 분이기도 하다. 받은 <서간도에 들꽃피다 8> 책 안에 메모가 한 장 있었다. “언제나 고마운 동지! 따끈따끈한 <8권>이 1시간 전에 나왔오. 가장 먼저 김 회장님에게 보내오, 명문장에, 마음까지 따스함 곁들인 ‘소개’에 깊이깊이 고개 수그리며. 2월 24일 이윤옥” 이윤옥 소장은 시집 <서간도에 들꽃피다>를 8권 째 발행을 했다. 매권 20명씩 모두 160명의 여성독립열사들을 조명해 왔다. 그래서인지 8권은 3.1절 99주년을 맞춰 발행한 시집임을 단박에 눈치 챌 수 있었다. 그는 내년 3.1절 100주년을 맞아, 모두 200명의 여성독립운동가들을 시와 글로 표현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수원박물관은 23일 오후 3시 수원화성박물관 영상교육실에서 ‘경기도 독립운동 인물 발굴사업 결과 보고회’를 연다. 수원박물관은 지난해 7월부터 경기도 지원사업으로 수원시정연구원 수원학연구센터와 함께 수원시 독립운동가 인물을 발굴하고 관련 사적지 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수원학연구센터 유현희 선임연구원, 성주현(청암대 교수) 연구원이 ‘경기도 독립운동 인물 발굴사업’ 결과를 발표한 뒤 박환 수원시 3.1운동ㆍ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공동대표, 조성운 동국대 강사, 한동민 수원화성박물관장이 참여하는 지정토론이 진행된다. 수원박물관과 수원학연구센터는 국사편찬위원회, 국가보훈처, 국가기록원 등 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소장한 기관 자료와 증언 자료를 분석해 수원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뿐만 아니라 국내외에서 활동한 수원 출신 독립운동가의 활동을 밝혀냈다. 발굴한 독립유공자는 모두 113명이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미포상 독립운동가 중 새롭게 공적을 밝혀냈거나 추가 자료 발굴로 국가에 서훈 신청을 할 수 있는 ‘우선 대상자’ 32명의 자세한 공적을 발표한다. 대상 독립운동가는 의병으로 활동한 안춘경을 비롯해 3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고성군은 제99주년 3ㆍ1절을 맞아 19일 회화면 소재 3ㆍ1운동 창의탑 앞에서 '배둔 장터 독립만세운동 기념행사'를 열었다. 3ㆍ1운동 창의탑 보존위원회(위원장 최근호)에서 주최ㆍ주관한 이 날 행사에는 독립유공자 유족, 보훈ㆍ기관단체장, 학생, 군민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독립선언문 낭독, 살풀이 공연, 3ㆍ1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 순 등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날 기념식에서 지난 14일, 배둔장터 독립만세운동 기념 백일장 장원에 선발된 조은경(고성중앙고1), 김슬지(회화중1), 이행복(구만초4), 박정후(고성초3) 학생에게 상장을 주었다. 최근호 위원장은 기념사를 통해 "애국선열들의 희생으로 우리는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았고 그 불굴의 용기는 늘 우리들의 가슴속에 남아 있다."며 "그 날의 값진 희생을 되새기면서 순국선열들의 영령 앞에 깊은 경의와 추모의 예를 올리자."고 했다. 이향래 고성군수권한대행은 축사를 통해 "배둔장터 독립만세운동은 우리 모두의 가슴속에 살아있는 우리 지역의 역사다."며 "앞으로도 자긍심을 가지고 이러한 역사를 보존 발굴해 군민들의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편
								[우리문화신문=양인선 기자] 경기도 화성시 발안 3.1독립만세 항쟁의 선구자 ‘탄운 이정근 의사 순국 99주기 추모제’가 오는 3월 31일(토) 오전 11시, 화성시 향남읍 소재(삼천병마로 283-6) 탄운 이정근 의사 창의탑에서 열린다. 탄운 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 주최, 광복회 화성시지회와, 향남읍사무소 후원으로 열리는 이날 추모제에는 탄운 이정근 의사 추모제에 이어 향남고(3년) 양주은을 비롯한 제15기(2018년) 탄운 장학생 13명에게 장학금 수여식도 함께 할 예정이다. 탄운 이정근(李正根, 1863 ~ 1919) 의사는 1919년 3월 31일, 화성군 향남면 발안(華城郡鄕南面發安)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이정근 의사는 이 날 오후 발안 장터에서 안상용(安相容)·안진순(安珍淳)·안봉순(安鳳淳)·김덕용(金德用)·강태성(姜太成) 등과 함께 1천여 명의 시위군중의 선두에 서서 만세운동을 전개하다가 일본 경찰이 휘두른 칼에 찔려 순국하였다. 이정근 의사는 17세에 사서오경을 섭렵할 정도로 학문이 깊었으며 33세 때는 대한제국 궁내부 주사직에 임명되었으나 치욕적인 을사늑약을 지켜보면서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팔탄, 우정, 장안,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백년편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년 (2019년)을 맞아 쓰는 편지글 형식의 글입니다. 2019년 4월 13일까지 계속 접수를 받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문의 : 02 -733-5027】 저는2007년부터 2010년까지 주 베트남 대사로 근무하면서 베트남이 1986년 “도이머이(刷新)” 개방정책을 채택한 이래 신흥시장 국가로 급속히 발전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자연히 베트남인들의 역사,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특히 근세에 들어 베트남이 80여 년 간 프랑스 식민지 통치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고 그 후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지도자로서 베트남 국민들을 이끌었던 호치민 주석에 대해 알면서 왜 베트남 국민들이 호치민을 “박 호(호치민 큰 아버지)”로 그토록 사랑하고 존경하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베트남 사람들은 호치민을 공산주의자이기 전에 애국자, 민족주의자라고 부릅니다. 그는 한때 “애국(愛國)”이란 이름도 썼으며, 거대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공산주의를 수단으로 수용했을 뿐이라고 합니다. 호치민은 1911년 21세 나이에 조국을 떠나 30년 간 4개 대륙 28개국에서 갖은 고생을 하면서 급변하는 시대의 특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밀양시에 항일독립운동사의 의열투쟁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의열기념관'이 건립돼 시민과 방문객들에게 좋은 역사교육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항일의열투쟁을 주제로 한 기념관으로는 밀양기념관이 전국 최초로서 독립운동의 성지의 역할과 기능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의열기념관 건립사업은 2016년 11월 약산 김원봉 장군 생가지를 매입하면서 시작됐고 지난해 12월 전시물 제작과 리모델링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7일 기념관을 개관하게 됐다. 밀양시(시장 박일호)는 7일 독립유공자 유족과 지역주민들이 모여 기념관 개관식을 갖고 함께 축하했다. 사업비 12억 원을 들여 건립된 의열기념관은 지상 2층 건물로 쉼터공간인 옥상을 포함해 전시공간은 약 304㎡이다. 기념관 1층에는 의열투쟁의 주요사건을 소개하는 연대표와 의열투쟁 관련 자료 검색대 및 동영상(6분 23초), 약산 김원봉의 연설장면 동영상(2분 9초)이 있다. 2층에는 의열단 창립단원 소개 코너와 '밀양경찰서 폭탄 투척 의거'를 웹툰 형식으로 제작한 동영상 등이 있다. 옥상 쉼터에는 광복의 기쁨과 평화로움을 상징하는 청동상과 석정 윤세주를 비롯한 해천 주변 독립운동가들의 생가와 해천 항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