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104이듬해 거듭 마침내 끝끝내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4284해(1951년)펴낸‘우리나라의 발달6-1’의23 24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23쪽에 첫째 줄에‘싸우지 않고 무너져 버리고’라는 말이 나옵니다.참으로 쉬운 말로 되어 있어서 무슨 뜻인지는 바로 알 수 있습니다.하나의 월(문장)로 어쩜 이렇게 잘 줄였나 싶지만 왜 그들이 싸우지도 않고 무너져 버렸는지를 좀 더 풀어주었더라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셋째 줄에‘이듬해’라는 말과‘거듭’이라는 말이 반가웠습니다.요즘 여러 곳에서‘익년’, ‘재차’라는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말집(사전)을 찾아보아도‘익년’은‘이듬해’로 다듬어 쓰라고 풀이를 하고 있고 어린 아이들이 보는 책에서 어떤 말을 쓰는 것이 좋을지는 말할 나위가 없다고 봅니다. 다섯째 줄에‘마침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말았다’도 참 쉬운 말입니다. ‘결국 실패를 했다’는 뜻이고 그것이 다음 월에 나오지만 비슷한 뜻을 이렇게 달리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는 것으로도 뜻이 있다고 봅니다. 여섯째 줄과 일곱째 줄에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지난 두날(화요일)에는 아이들과 한글날 맞이 작은 잔치를 했습니다.온 나라 사람들이 기뻐해야 할 날이지만 그냥 하루 쉬는 날이 되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아이들에게 온 누리에서 가장 으뜸이라는 우리 글자인 한글이 어떻게 얼마나 뛰어난 것인지를 잘 아는 것도 좋지만 우리 글자를 더 나아지게 하는 수도 찾아보는 날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리고 우리 한글로 적을 수 있는 말 가운데 가장 좋은 말이 토박이말이라는 것을 잊지 말고 토박이말을 한글로 적으며 사는 말글살이가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에 토박이말을 더욱 더 넉넉하게 알고 부려 쓰도록 하자고 했지요.그래서 아이들과 함께 오랜만에 배움딱지(클래스카드)로 토박이말 겨루기를 했습니다.아이들이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며 하길 잘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그리고 네 돌 토박이말 어울림 한마당 잔치에도 많이 오라고 널리 알렸습니다.^^ 한글날인 어제 티비엔 경남교통방송‘토박이말바라기’꼭지를 하면서도 우리가 말과 글을 제대로 가리지 못한 채 사는데 얼른 바로잡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그리고 옛날 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과 알고 쓰면 좋을 토박이말을 알려드렸습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어제 아침부터 비가 내렸습니다.배곳 둘레를 수레 없는 길로 만들기로 다짐을 하고 널알리기(캠페인)를 하는 첫날인데 비가 내리니 걱정이 되었습니다.비가 오는 날에는 아이들을 태워 주는 어버이들이 많아서 맑은 날보다 수레가 더 많이 몰리곤 했기 때문입니다. 배곳 앞뒤로 세워 놓은 수레는 여느 때와 다름이 없었지만 배곳 앞까지 아이를 태우고 들어오는 수레는 눈에 띄게 줄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미리 알림종이를 보낸 게 도움이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배곳 갈침이와 어버이가 나서고 배곳 밖 모임 사람들이 슬기를 모아서 이렇게 아이들이 마음 놓고 배곳으로 오는 길을 만드는 일에 힘과 슬기를 모으는 일이 좋은 열매를 거두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아침모두모임을 하고 배곳 일을 챙기고 있는데 여러 곳에서 기별이 왔습니다.한글날을 앞두고 우리말과 글을 생각해 보는 알림(보도)을 해 보겠다며 기별을 주신 것이었습니다.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는 글을 보내드리기도 했고,길게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습니다.한글날을 맞아 우리말과 글을 챙겨 주는 것이 참으로 고마웠지만 여느 때(평소)에도 마음을 써 준다면 더 좋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우리 말과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하늘연날(개천절)을 어떻게 보냈는지 모르게 지냈습니다. 닷날(금요일)은 배곳이 쉬는 날이었지만 유등잔치 동안 진주성 안에 있는 국립진주박물관 앞에 펼쳐 놓은 겪배움자리를 지켰습니다. 망까기 놀이터를 마련해 놓고 오가는 사람들 가운데 어른들에게는 어릴 적 놀았던 생각을 떠올리게도 하고 놀이를 모르는 아이들에게는 노는 수를 알려 주기도 했습니다. 나무로 만든 빗돌(비석)에 토박이말을 넣어 꾸며 가져 가는 겪배움을 했는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좋아해 주어서 보람도 있었습니다. 이바지하기(봉사활동)를 온 배움이들의 도움으로 많은 손님들을 칠 수 있었습니다. 엿날(토요일)에는 다른 고장에서 오신 분들이 많았는데 좋은 일을 하신다는 말씀들을 해 주셔서 기운이 나기도 했습니다. 밝날(일요일)에는 다른 일이 있었는데 겪배움자리를 지킬 어른이 모자라다는 기별을 받고 제 일을 접고 나갔습니다. 사람들을 만나고 토박이말을 널리 알리는 일을 할 수 있어서 좋았지만 제 몸이 하나인 것이 참으로 아쉬웠습니다. 뒤낮(오후)부터 날씨가 서늘해지고 사람들 발길도 줄어 조금 일찍 마치고 들어와 안친 일을 몇 가지 했습니다. 오늘 맛보여 드리는 토박이말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103갈려서 서로 싸워 오던,한 마음 한 뜻으로,조금도 흔들림이 없이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4284해(1951년)펴낸‘우리나라의 발달6-1’의21, 22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21쪽에 땅그림(지도)에 요즘 사람들이 알고 있는 물이름과 땅이름이 아닌 것들이 여럿 눈에 들어옵니다.요수,압록수,살수,열수가 그것들입니다. ‘요수’는‘요하’라고 부르는 곳과 같은 곳이고‘압록수’는‘압록강’, ‘살수’는‘청천강’, ‘열수’는‘대동강’으로 풀이를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하지만 이런 풀이가 맞지 않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아직 더 톺아보아야 할 거라고 생각합니다.이것이 똑똑히 밝혀지면 우리의 지난날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땅그림(지도)오른쪽에 저에게 낯선 땅이름도 두 곳이 보입니다. ‘하슬라’와‘실직’입니다.제가 찾아보니‘하슬라’는‘강릉’을 가리키는 옛이름이었다고 하고‘실직’은‘삼척’의 옛이름이라고 풀이를 해 놓았더군요.아래쪽에 보듯이‘가라’라고 하는 땅이름을 오늘날‘가야’라고 쓰지만 토박이말로는 어떻게 불렀는지 알 길이 없다는 이야기를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날씨가 좀 얄궂다 싶습니다. 늦더위라는 말이 이럴 때 쓰라고 만든 말이다 싶을 만큼 더위에 힘들다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아침에 씻고 나와 집을 나서기도 앞에 삐질삐질 땀이 나와서 손바람틀을 챙겼습니다. 다른 사람은 덥지 않은데 저 혼자 덥다고 찬바람틀을 돌리는 게 마음이 쓰였거든요. 들어서자마자 더위가 느껴져 손바람틀을 돌리니 한결 나았습니다. 하루 일을 챙기는 동안 미처 하지 않은 일이 생각났습니다. 들온말에 길든 사람들은 제가 쓰는 토박이말이 낯설고 어렵다고 느끼기 쉽습니다. 그래서 제가 손을 보고 나면 지나치다는 말을 듣곤 하지요. 손을 본 글을 보내드리고 마음에 드는 것만 받아들이시라고 했더니 제가 보낸 글의 1/3쯤이 살아서 돌아왔습니다 . 그래도 저한테 글을 다듬어 달라는 분들이 고마울 따름입니다. 그렇게 스스로 나서서 뭔가를 바꿔 보려고 하시는 걸 보며 토박이말 살리기도 이렇게 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배곳 일이 많아서 저녁에도 일을 하느라 남았다가 늦게 집으로 왔습니다. 일을 마치고 나올 무렵에 아제(내일)부터 꾸릴 겪배움자리(체험부스) 갖춤몬(준비물)을 챙겼습니다. 짐을 나눠서 질 수 있는 사람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지난 닷날(금요일)은 들말마을배곳 즐배움을 마치고 몇 가지 이야기를 했습니다. 여러 가지 일이 많아서 챙길 것도 많고 일을 나눠 해 줄 사람이 많으면 많을 수록 좋은데 그렇지 못한 것이 안타까웠습니다. 아쉬운대로 일을 나눠 하기로 하고 다음 날 이야기를 더 이야기를 하기로 한 뒤 헤어졌습니다. 겪배움을 떠났던 엿배해(6학년)이 돌아오는 날이이서 일을 하며 기다렸습니다. 거의 다 와 간다는 기별을 받고 나가니 비가 내렸습니다. 아이들이 비막이(우산)를 들고 가지 않았을 텐데 집으로 갈 일이 걱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길이 막혀서 때새가 오래 걸리는 사이 비는 그쳐서 걱정을 덜 수 있었습니다. 일이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더 큰일은 없이 잘 다녀왔다니 마음이 놓였습니다. 엿날(토요일)은 이성자 미술관에서 잔치가 있었습니다. 토박이말바라기, 들말마을배곳, 어버이 동아리 세 모임 이름으로 겪배움자리(체험부스)를 꾸렸습니다. 앞낮(오전)에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는데 뒤낮(오후)이 되니 사람들이 북적였습니다. 빛알갓(전등갓), 빗돌(비석), 손헝겊(손수건) 꾸미기를 했는데 손헝겊은 좀 남았지만 나머지는 가져 간 것들을 다 쓸 만큼 많은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어제 거제에서 열린 대한민국 지속가능발전대회에서 마련한 사람책 모임에 다녀왔습니다. 장승포 바닷가에서 바닷바람과 함께 뜨거붓한 햇볕 속에서 나눈 푸름이들과의 이야기는 저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거제 푸름이들을 만나 우리말은 지속발전가능한가?라는 벼름소(주제)로 여러 가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했습니다. 환경과 생태를 챙기는 만큼 우리 토박이말을 챙길 때 우리말도 지속가능발전을 이룰 수 있을 거라는 제 이야기에 고개를 끄덕여 준 푸름이들이 짜장 고마웠습니다. 높배곳 1배해(고등학교 1학년) 배움이들이 밝은 얼굴로 끝까지 귀담아 들어 주어 대견스러웠습니다. 그리고 토박이말 달력, 두루마리, 익힘책을 받아 보더니 토박이말 사랑 동아리를 만들어 꾸리는 일을 해 보자는 이야기까지 나와 먼 길 달려간 보람도 느꼈습니다. 좋은 자리에 함께할 수 있게 해 주신 애기똥풀 황지연 대표님 고맙습니다.^^ 하루하루가 참 빠르게 지나가니 토박이말을 되익히는 날도 얼른 다가옵니다. 그동안 몇 셈 빠진 것을 메우기가 쉽지 않아 되익힘 낱말을 늘렸습니다. 말그대로 토박이말을 다시 익히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레끝 비가 온다고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어제는 여러 배해(학년) 아이들이 겪배움을 떠나는 날이었습니다. 가장 먼저 떠나는6배해 아이들을 배웅하러 여느 날보다 일찍 일어나 나갔습니다.아이들이 모일 때보다 먼저 나갔는데 벌써 아이들이 와 있더군요.올 때가 지나도 오지 않는 아이 집에 기별을 하니 그때서야 일어나 오겠다고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어쩜 이렇게 어김없이 늦는 아이가 있는지 놀라웠습니다.^^ 배곳(학교)으뜸(교장)님께서 사 주신 콩나물국밥을 맛있게 먹고 들어와서5배해, 2배해까지 가는 걸 보고 잘 다녀오라고 했습니다.쓰레기 가려 버리기를 하고 티비엔 경남교통방송 토박이말바라기 꼭지를 했습니다.설거지와 아랑곳한 토박이말 몇 가지와 옛날 배움책에서 캐낸 쉬운 토박이말 월(문장)하나를 알려드리고 마지막으로‘메모’를 갈음할 수 있는‘적바림’이라는 토박이말을 알려드렸습니다. 이어진 토박이말바라기 어버이 동아리 모임에서는‘토박이말 맛보기1’책을 돌아가며 읽고 짧은 글짓기를 해 본 뒤 옛날 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 몇 가지와 토박이말을 잘 살린 노래를 함께 들었습니다.그리고 열 해를 넘게 하고 있는‘토박이말 맛보기’가 아닌 다른 수를 찾을 때가 되지 않았나 싶은 제 생각을 말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102걸다 가라 익힘 옮기다 누름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4284해(1951년)펴낸‘우리나라의 발달6-1’의19, 20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19쪽에 첫째 줄에‘땅이 걸고’가 나옵니다.흔히 많은 곳에서‘토양이 비옥하고’라고 하는 말을 많이 봐 온 사람들한테는 낯선 말일 것입니다. ‘걸다’는 말은‘흙이나 거름 따위가 기름지고 양분이 많다’는 뜻으로 쓰기도 하지만‘말이나 솜씨가 거리낌이 없고 푸지다’는 뜻으로 더 많이 쓰기 때문에 더 낯설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차려 놓은 먹거리가 푸짐할 때도 쓸 수 있는 말이니까 잘 알아두셨다가 자주 써 보시기 바랍니다. 둘째 줄과 셋째 줄에 걸쳐 나오는‘온 나라 사람들이 힘써 일하여 살림이 넉넉하여지고’도 쉽게 풀어 쓴 말이라 반가웠습니다. ‘전 국민이 열심히 노력해 풍족한 생활을 하고’와 같이 어려운 말을 쓰지 않아 좋았습니다.이럴 때‘가멸다’는 토박이말을 쓰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여섯째 줄에 나오는‘여섯 가라’라는 말이 눈에 들어왔습니다.저도 그렇고 이 글을 보시는 많은 분들에게는‘6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