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미륵반가사유상 - 이윤옥 교수님께 나무결 고운 아름다운 자태 (돌) 그 몸짓에 담긴 초월된 영혼 (초) 슬픔 혹 환희인가 알 수 없네 (심) 나의 안을 바라보는 그 표정 (달) - 24.10.12. 불한시사 합작시 주 / 이 합작시는 이윤옥 교수의 <일본 국보 1호 교토 고류지 미륵보살반가상(https://migiro.tistory.com/m/161)> 글을 보고 쓴 것이다. 일본 국보 제1호로 알려진 교토 고류지(廣隆寺)에 있는 목조미륵반가사유상 조각은 재료 연구에 의해 한국춘양목으로 경북 봉화의 적송임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백제의 유물로 알려져 왔으나 신라인 손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룬 이 목조상에 얽힌 현대이야기가 있다. 60년대 드골정부의 문화상 앙드레 말로가 일본을 방문한 다음 출국 전 하네다 공항에서 기자화견을 했다. 기자가 이번 방문에서 가장 인상깊은 것이 뭔가라고 묻자, 고류지 미륵반가사유상이라고 대답했다. 일본은 텔레비전 보급이 세계 1위인데 프랑스는 어떠냐고 묻자 우린 그것을 바보상자라 부른다고 말했다. 살짝 기분 나빠진 말로는 우리나라의 노스트라다무스라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우리 국가문화유산 가운데는 “금동반가사유상(金銅半跏思惟像)”이 있습니다. 이 유물 이름은 반가부좌의 준말인 '반가(半跏)'와 생각하는 불상이라는 뜻의 '사유상(思惟像)'을 합친 말로, 의자 위에 앉아 오른쪽 다리를 왼쪽 다리 위에 올려놓고, 오른쪽 팔꿈치를 무릎 위에 올린 채 손가락을 뺨에 댄 모습의 미륵보살상입니다. ‘미륵(’彌勒)이란 석가모니불의 뒤를 이어 56억 칠천만 년이 지나면 세상에 와 석가모니불이 구제하지 못한 중생을 구제한다.‘라는 미래의 부처지요. 이 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로는 국립중앙박물관을 상징한다고 하여 박물관 2층 기증관 입구에 440㎡ 규모의 전용 공간을 조성해 놓은 두 점(옛 지정 번호 제78호와 제83호)과 삼성미술관 리움의 한 점(전 지정 번호 제118호)이 있습니다. 이 국내 미륵보살상들의 얼굴은 대부분 네모꼴에 가까운 풍만한 느낌을 줍니다. 그런데 일본 교토 광륭사(고류지)에도 한국에서 건너갔다는 일본 국보 제1호 미륵보살반가상이 있습니다. 한국 관광객들은 한국의 미륵보살반가사유상 특히 국립중앙박물관의 옛 지정번호 국보 제83호와 똑 닮았다고들 말하는 이 광륭사 미륵상을 보러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