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어린이박물관 상설전시2관을 새롭게 단장하여 10월 30일부터 시행했던 시범 운영기간을 끝내고, 11월 5일부터 본격적으로 어린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이번 전시는 빛공해로 인해 어려움에 부닥친 동물과 식물 친구들을 도와주면서 자연과 환경의 소중함을 배우고 별빛 가득한 밤을 꿈꿀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다채로운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상설전시 개편과 더불어 어린이와 보호자들에게 친근하고 편리함을 주기 위해 어린이박물관 로비를 개편하였고, 바깥 공간도 새롭게 꾸며서 어린이들이 신나게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 우리 별 보러 갈래요? 상설전시《총총! 별이 빛나는 밤》 《총총! 별이 빛나는 밤》은 환경 문제를 주제로 한 어린이 전시로, 도시의 화려한 불빛 속에서 잊고 지냈던 밤하늘의 별을 우리 아이들에게 다시 보여주기 위해 기획된 특별한 전시다. 이 전시는 과도한 빛공해로 인해 생태계가 겪는 혼란과 불균형을 동물, 식물, 인간 등 다양한 생명체의 관점에서 함께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밤'과 '어둠'의 필요함을 되새기며, 별을 통해 시간과 방향을 알아차렸던 옛사람들의 지혜를 생각할 수 있게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민속박물관은 10월 23일(수)부터 2025년 3월 3일(월)까지 기획전시실 1에서 <꼭두> 기증 특별전을 연다. 이번 전시는 한평생 꼭두를 수집해 온 김옥랑 꼭두박물관장이 2023년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한 꼭두 1,100여 점 가운데 250여 점의 자료를 선보인다. “한 귀퉁이에서 먼지를 뒤집어쓴 모습이 내 모습 같은 거예요.” ‘꼭두 엄마’ 김옥랑 꼭두박물관장은 20대의 어느 날 골동품 가게 한 귀퉁이에서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던 상여 장식에 쓰는 목각 인형을 보고 자신의 삶을 돌아본다. 이후 “나의 삶에 그리고 목각 인형에게 새로운 생명을 찾아주자.”라는 생각으로 한두 점씩 전국을 다니며 인형을 모았고, 연구를 거듭한 끝에 ‘꼭두’라는 제 이름도 찾아준다. 50년을 모으고 길러 온, 이 생기 넘치는 꼭두 1,100여 점을 2023년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했고, 이 전시는 기증자의 한 일생과 한국인의 생명관을 소개하는 전시로 다시 태어났다. 낯선 이별에도, 허망한 발걸음에도 웃음을 잃지마. 죽음을 마주해야 하는 인간은 두렵다. 다시 맞이해야 하는 새로운 세상에 대한 정보는 어디에도 없기 때문이다. 떠나보내는 사람,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제주대학교박물관(관장 전영준)과 더불어 2024 K-museums 공동기획전 〈ᄌᆞᆯ앙ᄌᆞᆯ앙 모자 ᄌᆞᆯ아사: 제주의 모자 장인들*〉을 연다. 오는 10월 18일(금)부터 내년 1월 17일(금)까지 제주대학교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제주에서 이어져 온 양태ㆍ·총모자ㆍ망건ㆍ탕건(아래 아울러 말총모자)을 만드는 전통과 그 장인들의 삶을 다룬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문화유산이자 제주의 자랑인 말총모자 공예의 전통을 이어가기 위한 대중의 관심을 끌고자 한다. * 아래아 표기가 기술적으로 불가한 경우 ‘졸앙졸앙 모자 졸아사’를 대체 표기로 함. □ 말총모자, 제주인의 생계 수단이었던 것 화산섬의 척박한 환경 때문에 예부터 제주 사람들은 특산물을 ‘육지’의 산물과 교환해야 삶을 이어갈 수 있었다. 해녀들이 뜯은 미역ㆍ어물들과 더불어 말총모자는 ‘육지’에 내다 팔 수 있는 대표적인 특산물이었다. 전시 제목의 ‘앙앙 모자 아사’는 제주 민요 가운데 하나인 ‘양태노래’의 노랫말 가운데 한 부분이다. 이는 생계를 잇기 위해 모자를 짜던 제주 사람들의 노동요였다. 그러나 사회변화와 더불어 생활방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2024년 10월 15일(화)부터 11월 17일(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관 전시실에서 보물 <신ㆍ구법천문도> 특별전 <장황 복원(粧䌙復原) 그리고 또 다른 보존, 복제(複製)>를 연다. 이번 특별전은 낱장 형태이던 보물 <신ㆍ구법천문도>를 원래의 병풍 장황으로 복원하고, 복제본을 제작하는 과정을 담은 전시다. 조선시대 병풍의 모습을 되찾은 보물 <신ㆍ구법천문도>와 그 복제본을 처음으로 대중 앞에 공개한다. 5주 동안의 특별전 뒤에는 안전한 보존ㆍ관리를 위해 원본은 수장고에 보관하고, 복제본은 국민의 문화 향유권 확대를 위해 2025년 10월 19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열린 보존과학실로 옮겨서 전시할 예정이다. □ 동서양의 천문도 융합 <신ㆍ구법천문도>는 조선에서만 제작된 독특한 천문도로, 동서양의 천문지식이 융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소중한 천문도다. 국립민속박물관은 1995년 천문도가 박물관에 들어온 뒤, 2000년에 보존처리를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과정에서 이 천문도가 조선의 전통적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깊어 가는 가을밤을 즐길 수 있는 야간개관 행사 <수장고 달빛 산책>을 10월 18일(금)과 19일(토) 이틀 동안 파주 개방형 수장고에서 연다.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이하 파주관)는 출입이 제한된 박물관 수장고를 모두가 즐길 수 있도록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개방형 수장고이다. 이번 야간개관 행사는 낮에만 방문할 수 있었던 파주관을 색다른 분위기 속에서 즐겨볼 기회이다. 달빛을 머금은 수장고에서 보내는 특별한 시간 <수장고 달빛 산책>에서는 밤에도 빛나는 개방형 수장고 속 소장품을 만나볼 수 있는 해설 프로그램과 함께,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달밤의 수장고: 고요한 수장고 산책’은 가을과 밤을 주제로 한 특별 해설 프로그램이다. 해설사의 안내에 따라 가을 달빛을 머금은 열린 수장고 속을 함께 산책하며, 낮과는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는 소장품을 만나볼 수 있다. 둥근달이 품은 따뜻함을 자신만의 감성으로 표현해 볼 ‘달빛 무드등 만들기’와 가을의 친근한 동물 친구 ‘다람쥐 모루인형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은 깊어가는 가을을 수장고에서 만끽할 시간을 제공한다.(누리집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지난 9월 21일(토) 미국 워싱턴 D.C. 국립아시아미술박물관(NMAA)에서 열린 한가위 잔치에서 한국 전통 부채와 청사초롱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한국 전통문화를 알리는 문화대사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였다. 이번 행사는 2023년 문화체육관광부와 스미소니언재단 사이 맺은 업무협약 후속사업의 하나로 진행되었다. □ ‘세계로 열린 창’국립민속박물관 국립아시아미술박물관은 1923년 프리어 갤러리로 개관해 1987년 스미소니언재단에 통합되었으며, 방대한 아시아 예술 수집품을 자랑하는 대표적인 박물관으로 자리 잡았다. 이 박물관은 전시 말고도 한국의 한가위 잔치(Chuseok Festival), 중국의 새해 축제(Lunar New Year), 페르시아의 춘분 축제(Nowruz), 일본의 벚꽃 축제(Cherry Blossom), 인도의 힌두 축제(Diwali) 등 다양한 아시아의 문화 축제를 열며 아시아 문화를 알리고 있다. 특히, 한국의 한가위는 본격적인 추수에 앞서 풍요로운 수확을 기원하고 조상께 감사하는 명절로,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한국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다. □ 한가위 의미와 한국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우리 겨레 가장 큰 명절, 한가위를 맞이하여 9월 15일(일), 16일(월), 18일(수) 사흘 동안 ‘2024 국립민속박물관 한가위 한마당〔한가위를 뜨겁게〕’를 연다. 이번 행사에서는 한가위를 맞아 전통 세시의 의미를 되새기고, 세대와 세대를 잇는 국립민속박물관의 개방ㆍ공유ㆍ활용의 값어치를 확산시키고자 세시풍속 체험과 현장 이벤트, 특별공연, 장터,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가위만큼 풍성하고 다채로운 행사로 가득 채운 국립민속박물관의 한가위를 뜨겁게 즐겨보자. 풍농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에서 가족과 즐기는 ‘잔치’로 한가위는 본격적인 추수에 앞서 풍농을 상징하는 달이 보름달이 되는 음력 팔월 보름에 풍농을 기원하고 조상과 신에게 풍성한 수확에 감사하는 세시풍속이다. 그래서 한가위 날 아침에는 햅쌀로 송편을 빚고 여러 가지 햇과일 등을 장만하여 조상에게 감사하는 ‘차례’를 지내고, 저녁에는 한 해 가운데 가장 밝은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고 가족ㆍ이웃들과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전통이 있다. 그리고 남성들의 민속놀이로는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는 겨루기 놀이인 씨름을 즐겼는데, 국립민속박물관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의 수장형 전시《종이, 봄날을 만나다(2024. 5. 17.~9. 22.)》와 연계한 ‘작가와의 만남’ 행사를 연다. 파주관의 비개방 영역에 보관되어 있던 지류 소장품과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함께 전시한《종이, 봄날을 만나다》 전시는 제목 그대로 종이들의 특별한 나들이였다. 5월 전시 개막 이후 4만 5천 명이 다녀갔다. 전시에 쏟아진 관람객의 큰 관심에 힘입어 보다 깊이 있게 전시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전통의 지속가능성’과 ‘종이 공예의 미래가치’라는 주제로 전시 참여 작가와 관람객이 만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천년의 숨결이 담긴 종이의 특별한 외출 <종이, 봄날을 만나다> ‘수장형 전시’는 유물과 자료들이 감상의 대상을 넘어 영감을 주고 활용되도록 하는 지향점을 갖는다. 이런 배경에서 <종이, 봄날을 만나다> 특별전이 기획되었다. 전시는 과거로부터 전해 온 생활 기물의 실용적 미감과 현재를 넘어 미래로 이어질 지평의 확장을 보여준다. 빛과 바람으로 빚은 종이는 가볍고 연약하지만 변용이 다양하며, 천년을 잇는 강인함을 지닌 소재다. 이번 전시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8월 20일(화)부터 11월 10일(일)까지 기획전시실 2에서 특별전 《요즘 커피》를 연다. 이번 전시는 ‘밥심’보다 ‘커피 수혈’이라는 말이 더 자주 들리는 오늘날 우리에게 커피가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기 위해 기획했다. 외래 음료 커피가 한국의 민속 음료가 되기까지 변천사를 소개하고, 커피를 마시는 이유를 묻고 답한다. 대한제국 황실에서 사용한 이화문 커피잔, 조선의 관광 상품 인삼커피, 작가 박완서가 기절하게 쓴맛이라고 했던 씨레이션(C-Ration) 커피, 일반인의 사연이 담긴 커피 잔 등 60여 점을 전시한다. □ 밥보다 커피! 2021년 국민영양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많이 먹는 음식 1위는 배추김치, 2위는 커피, 3위가 밥이다. 우리는 왜 밥보다 커피를 많이 먹는 걸까? 국립민속박물관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10대부터 60대까지 한국인 500여 명의 이야기를 모아 보았다. 사람들이 커피를 마시는 이유로는 ‘하루를 시작하는 기운(27%)’, ‘습관(26%)’, ‘맛(23%)’, ‘대화의 매개체(12%)’, ‘수험 생활의 동반자(10%)’, ‘취미(1%)’가 있었다. 또한 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과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관장 이욱자)은 오는 6월 25일(화)부터 12월 1일(일)까지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에서 <노릇노릇 부산> 공동기획전을 연다. 공동어시장, 고갈비 골목 등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와 어시장의 과거와 현재가 담긴 영상자료 등 100여 점의 전시자료를 통해 고등어에 얽힌 부산의 해양수산문화를 소개한다. □ 우리나라 고등어 유통의 중심지, 부산 1부 <부며들다 –파닥파닥 고등어>에서는 고등어의 생산, 유통 및 판매와 관련이 있는 부산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유물과 아카이브 자료를 통해 살펴본다. 우리나라 고등어의 80%를 위탁판매 하는 부산공동어시장과 상인, 경매사 등 어시장 사람들의 모습을 경매사 관련 물품, 다큐멘터리 영상을 통해 소개한다. 자갈치시장의 매대를 재현한 전시장 내에서 관람객은 자갈치시장의 과거와 현재가 담긴 자료를 통해 고등어 판매 현장을 느껴볼 수 있다. □ “아지매! 고갈비에 이순신꼬냑 한 잔 주이소” 2부 <고며들다 –노릇노릇 고갈비>에서는 잊혀가는 광복동 고갈비 골목과 고등어와 관련된 식문화를 살펴본다. 전시장에서는 대학생들로 북적였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