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서울옥션은 오는 24일 저녁 4시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제184회 미술품 경매>를 연다. 특히 이번 경매에서는 조선중기 문신 120여 명의 귀중한 필적과 회화 작품인 <구사선생조천첩 4권 일괄>이 나온다. 1624년 조선중기 문신 권엽이 명나라에 사절로 떠날 때 받은 송별시를 모은 시첩으로, 약 120명에 달하는 당대 문신들의 필적이 담겨 있어 조선중기 문화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다. 시고 외에도 산수도와 사군자, 화훼, 초충도 등 다양한 그림 16폭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18세기 호남에서 활동했던 경암 김익주의 <산수도>, <송하인물도>도 출품된다. 현전하는 작품 수는 적지만 어진도사(임금 어진을 그리는 화원)에 두 번 차출될 정도로 당대에 뛰어난 화격을 인정받았다. 출품작은 전통적인 남종화풍의 미법 산수를 잘 구사했다. 삼양재 김덕형의 <화조도>는 대각선 구도로 화면을 가로지르는 가지 위에 새 한 마리가 앉아 있는 단아한 작품이다. 김덕형은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까지 활동한 인물로 김홍도, 강세황 등과 교유할 만큼 당대 문화예술계의 중심인물이었으나 작품의 희소성이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p.92) 김덕형은 늘 화원으로 날쌔게 달려간다. 꽃만 바라보고는 하루 종일 꿈쩍도 하지 않는다. 꽃 아래 자리를 마련해 그대로 누워서는 꿈쩍도 하지 않는다. 손님이 와도 아무 말 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김덕형이 미쳤거나, 멍청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손가락질하고 비웃는다. - 《백화보》 서문 중에서 꽃은 참 아름답다. 보기에도 좋고, 쓰기에도 좋다. 식물이 생명의 절정에서 피워 올린 꽃은 때로는 따뜻한 위로가 되어주고, 때로는 따뜻한 옷감이 되어준다. 옛사람들도 꽃을 예사로 보아 넘기지 않았다. 꽃을 심고, 관찰하고, 애지중지했다. 설흔이 쓴 이 책, 《따뜻하고 신비로운 역사 속 꽃 이야기》에는 꽃에 심취한 이들이 여럿 나온다. 꽃을 너무 좋아해 ‘꽃에 미쳤다’라는 이야기를 들은 김덕형과 목화씨를 가져와 목화를 대량으로 재배한 문익점이 대표적이다. 김덕형은 실학자이자 《북학의》로 유명한 박제가와 같은 시대에 살았던 인물이다. 김덕형은 꽃 그림을 잘 그리기로 소문난 화가였다. 당대의 이름난 화가였던 표암 강세황도 인정한 실력이었으니 과연 출중했던 듯싶다. 그는 새벽부터 밤까지 꽃만 보며 꽃 그림을 그렸다. 굉장히 세밀하게 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