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호박꽃도 꽃이냐는 말이 있고, 못생긴 여인네를 호박꽃에 비유하기도 하지만, 이는 호박꽃을 제대로 관찰하지 않고 관념적으로 내려온 고정화된 인식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호박꽃을 잘 들여다보면 그 황홀한 노랑에 깊이가 느껴져 예쁘지 않은 꽃이 없다는 말이 진정성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런 호박꽃의 꽃말은 '관대함, 포용'입니다. 사람들에게 쉽게 무시당하고 업신여김을 당하더라도 예쁨으로 향기로 열매로 보답하는 호박과 잘 어울리는 꽃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생활을 하다 군에 입대하였습니다. 나이 어린 고참들 아래서 졸병으로 군 생활을 시작해야 했지요. 군대 사회는 일반 사회와는 달라서 쉽게 적응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때 나이가 한참 어린 00병장이 군 생활을 힘들게 하였습니다. 물론 내가 원인 제공한 것도 있지만 밤에 조용히 불려 나가 각종 얼차려에 빠따를 맞는 것이 일상이었지요. 그 사건들로 인해 악연으로 굳어진 사이가 되었습니다. 사회에 나와서 우연한 기회에 만났는데 상대방은 반갑게 인사했지만 저는 그럴 수 없었습니다. 상대방에 대해 용서하려는 생각과 관대함이 없었던 것이지요. 그때 내 마음이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런치 데이트>는 미국에서 1989년 만들어진 흑백 단편영화입니다. "사람들이 붐비는 기차역에서 어느 백인 귀부인이 흑인과 부딪쳐 쇼핑백을 떨어뜨립니다. 쏟아져 나온 물건들을 주워 담느라 기차를 놓치고 말았지요. 하는 수 없이 주변 음식점에 가서 샐러드 한 접시를 주문하고 식탁에 자리 잡은 그녀는 포크를 가지고 오지 않은 것을 깨닫습니다. 다시 주방으로 돌아가서 포크를 가지고 돌아옵니다. 그사이에 어떤 흑인이 자기 식탁에 앉아 샐러드를 먹고 있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녀는 화가 났지만, 포크를 들고 같이 샐러드를 먹습니다. 서로 한 포크씩 집어서 말이지요. 샐러드를 먹고 난 뒤 흑인이 커피를 두 잔 가져와 한 잔을 그녀에게 건넵니다. 커피를 마신 귀부인은 기차를 타러 갑니다. 허걱~~ 그만 쇼핑백을 놓고 온 것이었습니다. 급히 음식점으로 뛰어갔지만, 흑인도 쇼핑백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당황한 귀부인은 음식점 여기저기를 찾아보던 중에 아까 샐러드를 먹었던 곳 바로 뒤의 식탁에 손도 대지 않은 자기 샐러드 접시와 쇼핑백이 있는 것을 발견하지요. 귀부인은 자신이 자리를 잘못 잡은 탓에 흑인의 음식을 빼앗아 먹었고 커피도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퇴계 이황 선생 집에는 배나무가 한 그루 있었습니다. 가을이 되면 먹음직스러운 배가 탐스럽게 열리곤 했지요. 이웃집 개구쟁이는 그 배가 탐이 납니다. 돌을 던져 배는 떨구었으나 배가 담장 안으로 떨어져 먹을 수가 없었습니다. 계속 돌을 던지던 개구쟁이는 퇴계 선생에게 들키게 됩니다. 이제 죽었구나 하는 순간에 퇴계 선생은 머슴을 불러 이렇게 말하지요. "마당에 배가 많이 떨어졌구나…. 이 배를 이웃집 아이에게 가져다주도록 하여라." 혼날 줄만 알았던 아이는 뜻밖의 호의에 감동합니다. 그러고는 다시는 이웃집 물건에 손을 대지 않았다고 하지요. 갓난아이의 해맑은 웃음을 보면 근심 걱정이 사라집니다. 아마도 천사가 있다면 아이들의 함박웃음을 닮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얼굴에 웃음기가 사라집니다. 살아오면서 온갖 세상 풍파에 시달렸기 때문일는지는 모르겠으나 그 천진한 마음을 잃어버렸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해맑은 어린아이의 웃음에서는 성냄을 찾아볼 수 없고 초췌한 노인의 얼굴에서는 밝은 미소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넉넉한 마음에서 여유가 나오는 것이며 너그러움 속에서 행복이 나오는 것입니다. 그러니 따뜻함으로 치장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