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역(曆)은 “시간의 흐름 곧 절기의 변화”를 뜻하며 역법(曆法)은 “역을 표시하는 법“이다. 역법에 따라 연월일시와 절기를 기술한 책을 달력, 역서, 책력(冊曆) 또는 calendar라고 한다. 명리학은 태양 지구 등, 천체의 주기적인 움직임이 천기(天氣- 하늘의 에너지)의 실체이고 천기가 시간을 흐르게 하며 우주를 오행의 기운으로 가득 차게 한다고 믿었으며 출생시점의 오행 기운이 개개인의 운명 에너지를 유인한다는 관념을 정립(定立)하게 된다. 이 관념이 오행론의 시초(始礎)다. 그리고 선천에서 받은 운명이 유인하는 대로 성별 성품이나 지능지수(I.Q.)와 같은 에너지를 타고나며 이 에너지가 역서에서 유도해 낸 간지(천간과 지지)들에 상징되어 있으므로 이 간지들을 제대로 감정하면 후천의 길흉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보았다. 과거의 역서는 음력이 기본인 달력에 양력의 일종인 ”절기의 역법“을 덧입힌 것이다. 아래에서 우선 역법의 기본인 음력과 양력이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고 다음절에서는 절기의 역법을 살펴보고 이후 위에 언급한 근세 이전에 사용한 역서에 대해 알아보자. 음력과 양력 우리는 달력이란 말을 통상 역법을 서술한 책의 의미로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처음으로 제 사진으로 달력을 만들어보았습니다. 퍼블로그라는 업체에 사진을 보내주면 멋진 달력을 만들어주네요. 물론 달력 제작대금은 지급해야지요. 처음에는 어떤 사진으로 달력을 꾸며볼까 생각하다가, 제가 살고 있는 청화아파트에서 찍은 사진으로 달력을 꾸미기로 하였습니다. 이제 올 9월이면 재건축 중인 아파트가 준공됩니다. 그러면 4년 동안 정든 청화아파트를 떠나야 하기에 이번 달력은 청화아파트로 꾸며보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는 생각을 한 것이지요. 내년에는 제 사무실이 있는 코엑스 주위를 담은 사진으로 달력을 꾸며볼까 합니다. 달력 표지사진입니다. 퇴근할 때 버스에서 내려 아파트를 쳐다볼 때, 저녁노을이 아파트를 비추는 것이 눈에 들어와 찍었습니다. 1월이라 눈 온 풍경을 담아보았습니다. 2월 사진은 아파트 옥상에서 건너편 서쪽 능선의 건물에 걸린 해를 망원렌즈로 당겨찍은 사진으로 정했습니다. 3월 사진 4월 사진은 아파트 옥상에서 일몰 후의 아파트 모습을 사진에 담아보았습니다. 5월 6월이라 꽃 사진으로 정해보았습니다. 7월 사진은 비오는 밤의 사진입니다. 하얀 비옷 입고 우산 쓰고 가는 아내를 앞에 두고 찍었습니다. 8월 사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