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 노걸대⋅첩해신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예조에서 아뢰기를, "중국어를 배우는 것은 큰 나라를 대하는 데 있어 먼저 처리해야 할 요긴한 일지만 책이 드물어 학자가 쉽게 얻어 보지 못하니, 청컨대 우선 《박통사(朴通事)》와 《노걸대(老乞大)》를 각각 1벌씩 황해도와 강원도에 나누어 보내어 판각하게 하고, 교서관(校書館)에 보내어 찍어서 널리 반포하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이는 《세조실록》 세조 4년(1458년) 1월 19일 기록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외교관의 한 사람인 역관이 있어서 외국과 교역하고 소통했습니다. 그리고 외국어 전문 교육기관인 사역원(司譯院)에서는 4대 외국어인 중국어, 몽골어, 만주어, 일본어를 가르쳤고 외국어 학습교재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세조 4년 당시 외국어를 가르치는 책이 드물어 이에 대한 대책을 낸 모양입니다. 조선시대 중국어 교재는 《노걸대(老乞大)》와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가 있고, 일본어는 《첩해신어(捷解新語)》, 몽골어는 《첩해몽어(捷解蒙語)》,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등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노걸대의 ‘노’는 우리말의 ‘씨’, 영어로 하면 ‘미스터’쯤 되는 말이고 ‘걸대’는 몽골인이 중국인을 가리킬 때
- 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 2025-01-19 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