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부처님오신날(불기 2568년)을 맞아 어제(15일) ‘저잣거리 포교사’로 이름난 무상법현 스님 절 열린선원의 ‘부처님오신날 봉축 관불(灌佛) 축제’에 다녀왔다. 보통 이날 행사는 ‘봉축법요식(奉祝法要式): 부처님 탄신을 기리고 마음의 등불을 밝히는 불교의식)’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고 있어 ‘의식 행사’에 초점을 맞춘 듯한 느낌을 주는데 견주어 열린선원의 봉축행사는 ‘관불축제’라는 이름으로 열려 화려하지는 않았지만, 진정으로 부처님이 이 땅에 오신 의미를 기리는 뜻 있는 시간이었다. 열린선원의 관불축제는 낮 3시부터 진행되었는데 맨 처음, 6법공양으로 향, 등, 차, 쌀, 꽃, 과일 등을 부처님전에 올리는 것을 시작으로 여러 불자들과 체코에서 온 스님, 목사님, 문화예술인, 국회의원, 구의회의장, 구청장, 시ㆍ구의원, 자원봉사자 등이 참석하여 아기부처님을 목욕시키는 의식으로 이어졌다. 이어 참석자들의 축사(덕담)과 풀피리공연, 대금 연주, 가수 노래 등이 중간에 선보여 딱딱하지 않은 편안한 ‘부처님 오신 날 잔치’를 즐겼다. 관불축제에서 무상법현 스님은 “참선의 세 가지 요소는 첫째는 큰 신심(大信根)이고, 둘째는 큰 분심(大憤志)
[우리문화신문=얼이동식 인문탐험가] 얼마 전 존경하던 스님 한 분을 여의었다. 이 세상에 없으니 여의었다는 표현이 적당할 것 같다. 그 스님은, 많은 스님이 그렇듯이, 소탈하고 명랑하고 맑으시며, 해학도 있어 만나면 즐겁고 기쁘고 깨우침이 있었다. 고승이라고 무게 잡으시는 일도 없고 방장이 되신 다음엔 선방에는 큰 거울을 걸어놓아 스님들이 스스로 들여다보라고 했고, 젊은 스님들이랑 밭에서 울력하면서 농작물을 거두어 세상에 신세를 안 지고 사는 삶을 이끄는 모범도 보이셨다. 스님으로 사신 지가 꼭 50년이란다. 이런 분이 있기에 우리 절은 많은 분에게 안식과 평온. 삶의 고통에서의 해방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아니겠는가? 꼭 부처님이 계셔서만이 아니라 이런 분들의 삶을 통해 부처님이 가르쳐주신 삶의 길을 현실에서 배우는 것이리라. 영결식 뒤 다비장으로 가면서 영정 뒤를 따르는 수많은 만장은 그런 신도들의 존경심과, 이제 가까이서 더 만나지 못한다는 아쉬움 또는 슬픔을 표현하였을 것이다 인간은 모두 태어나서 일정 기간 살다가 무(無)로 돌아간다. 생명을 받아 살아가는 동안 모두가 잘 먹고 잘 사고 싶어 한다. 그리고 죽음의 공포를 넘어 사후에도 마음이 편안하기를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불기 2568년 부처님오신날을 맞이하여 2일동안 열린 연등행사의 2일째에는 서울 종로에 있는 조계사앞에서 열렸다. 5월 12일 일요일에는 종로에서 안국역으로 큰길에 자동차 통행을 제한하고 그동안 준비해온 전통을 이어온 다양한 체험놀이와 음악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을 즐겁게 하였고,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불교국가들에서 온 스님들과 불자들이 각자의 나라에서 온 전통불교를 소개하는 행사도 진행하였다. 2일째 열린 행사에는 한국에서 온 사람들 보다도 더 많은 외국참가자들이 보였다. 1,000년을 이어온 연등회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기에 이제는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축제가 된 것이다. 이번 행사에 참여해보고자 먼 길을 마다하지않고 찾아온 문화탐방객들은 한국인들보다도 훨씬 더 즐겁게 다양한 행사에 참여하였음을 촬영하면서 확실하게 느낄 수 있었다. 오늘의 행사는 어제(5월 11일) 비가 내리는 날과는 완전히 다른 화창하고 맑은 분위기 속에서 펼쳐졌는데 연꽃등만들기를 비롯하여 종이꽃만들기, 도자기체험, 부처님 그림그리기, 전통무용감상, 불교음악감상, 부처님 목욕시키기, 각종 음식체험, 짧은 시간동안 참선 참여하기, 차 마시기, 산사체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미혹 속에 살아가는 중생들에게 세상을 밝히고자 부처님이 태어났다는 것을 세상에 알리고자 생겨난 것이 한국의 연등회 연등축제다. 한국에 연등회가 생겨난 것은 정확히 그 기원을 알 수는 없지만,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전해지며, 그 연등회가 전 국가적인 행사로 발전한 것은 고려시대로 알려져 있다. 고려시대 연등회는 왕실에서 주관하여 매우 화려하게 발전하였다. 그러니 연등회가 어림잡아 1,000년이 넘는 국가적인 행사로 열려왔으며, 해마다 부처님오신날 즈음에는 전국의 절들이 가장 큰 명절맞이로 절 주변에는 각종 연등을 달아서 부처님오신날을 축하하고 백성들도 각자 자신의 등을 만들어 절에도 밝히고 집안에도 밝혔다. 불교에서 등을 밝힌다는 것은 어두운 밤에 등을 달아서 내 주위를 밝히듯, 어리석은 생각에 파묻혀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 있는 자신임을 깨닫고, 자기 안에 가지고 있는 불성(부처가 될 수 있는 씨앗)을 밝히고자 하는 불교의 가르침을 상징하기도 한다. 한국에 불교가 들어와 전쟁과 환난의 어려운 시대를 거치면서도 끊어지지 않고 건축과 미술, 무용, 음악으로 문화의 꽃을 피우고, 전국적인 연등축제로 발전하여 어어져 온 것은 전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인도에서 태어난 석가모니부처님이 열반한 뒤 2567년째인 올해는 서기2023년이다. 서기가 예수님의 탄생을 기준으로 하는데 견주어 불기는 부처님이 열반한 해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연등회는 1,200여년 전 신라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하며, 왕조가 바뀐 고려시대에 가장 화려하게 꽃피었다. 불교가 탄압받던 조선시대에도 산속의 절에서는 부처님오신날이 되면 절 주변에 아름다운 등을 달고 부처의 탄생을 축하하고 절을 찾아 각자 마음속에 이루고자하는 소원을 빌었다. 연등회는 고려시대에 국가적 행사로 발전하였는데, 봄철에 실시하는 연등회는 불교가 매우 번영하였던 고려시대에 왕실을 중심으로 부처님오신날을 기념하여 다양한 행사를 거행하였으며, 바쁜 농사철임에도, 전국민이 부처님오신날 만큼은 쉬면서 즐겼다. 이때 연등회 행사를 통하여 젊은이들은 절을 찾아 소원을 비는 등공양과 탑돌이를 통하여 인연을 찾기도 하였다. 이런 연등회는 일제강점기 같은 어려운 시대에도 그치지 않았으며, 한국전쟁기에도 행하였다. 한국의 연등회는 서울에서 가장 큰 행사를 거행하는데, 서울의 중심인 광화문 광장에는 신라시대 자장율사가 모셔온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곳으로 유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