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시골집에 살면서 텃밭을 가꾸고 싶다는 것은 도시에 사는 많은 사람들의 꿈이다. 사전을 찾아보면 텃밭이란 “집의 울타리 안에 있거나 집 가까이 있는 밭”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나는 40대 후반 4년 동안 (1997~2000) 경기도 화성군 봉담읍 수기리에 있는 시골집에서 4년 동안 살아본 경험이 있다. 그때 텃밭을 가꾸어본 경험은 15년 뒤인 2015년에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면온리에 귀촌한 뒤에 텃밭을 가꾸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텃밭을 가꾸려는 사람들이 명심해야 할 가장 중요한 원칙은 텃밭은 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한 번이라도 텃밭에 채소를 길러 본 사람은 작물의 생산성에 놀랄 것이다. 고추 한 그루에서 고추가 계속해서 얼마나 열리는지는 고추를 길러 본 사람만이 안다. 한 가족 부부가 먹을 목적이라면 고추는 다섯 그루만 심어도 충분하다. 가지 역시 다섯 그루만 심어도 충분하다. 가장 많이 심는 채소인 상추는 10포기만 심어도 충분하다. 이 세 가지만 심는다면 땅은 3평이면 충분할 것이다. 김치 재료로서 배추는 필요하기는 한데, 벌레가 잘 생겨서 농약을 치지 않으면 제대로 수확하기가 어렵다. 텃밭 농사에서 배추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인간은 오랫동안 자연을 지배하고 이용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겨왔습니다. 숲에서 나무를 베어내고, 농지로 만들기 위한 개간을 진행하며 강을 막아 저수지를 만들고, 산을 뚫어 길을 내고, 땅을 파서 광물을 채굴하고 동식물을 사냥합니다. 최근 들어 자연은 인간의 탐욕과 무분별한 행동에 반발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 자연재해, 생물 다양성 감소 등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인간은 자연과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자연은 협상하지 않는다는 엄혹한 현실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기후 변화, 자연재해, 생물 다양성 감소 등 자연의 분노는 인간에게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린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새롭게 성찰하고, 자연과의 공존을 위한 토대를 마련해야 합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인간은 놀라운 기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자연의 힘 앞에서는 여전히 무기력합니다. 강력한 태풍, 불볕더위, 큰물(홍수), 지진 등 자연재해는 인간의 삶과 재산에 막대한 손해를 입힙니다. 또한, 인간 활동으로 인한 환경 파괴는 기후 변화를 가속화하고,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킵니다.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우리는 현정 스님께 합장한 뒤 절하고 모처럼의 만남을 반가워하였다. 인연이란 끈질긴 것인가 보다. 그러니까 8년 만에 스님을 다시 만나게 되었으니 말이다. 속세의 나이로 보면 이제 스님도 많이 늙었으련만, 삭발한 스님들은 흰머리가 안 보이니 늙는지, 안 늙는지 구별하기가 힘들다. 현정 스님은 오후에 마침 고등학교 동창생 몇 명이 여수에서 찾아왔는데, 우리와의 약속이 있어서 할 수 없이 절의 전화를 신도회장 집으로 돌려놓고서 안심하고 친구들과 지내다가 이제 돌아왔다고 미안해하신다. (주: 당시에는 휴대전화가 없었다.) 우리는 바쁜 것도 없는지라 평상에 앉아서 여러 가지 한담을 나누었다. 나는 평소에 느끼던 불교에 대해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심정으로 솔직하게 이야기했다. 첫째, 불교의 경전에 문제가 있다. 일반인이 듣기에는 ‘나무아미타불,’ ‘수리수리마하수리,’ ‘아제아제바라아제’ 등이 무슨 뜻인지 알기가 매우 어렵다. 왜 어려운 한자로 되어 있는 불경을 쉬운 한글로 번역하고 일상 불교 의식도 한글로 하지 않는가? 한자로 된 불경도 실제는 인도어를 한자로 번역한 것이 아니고 음역한 것이라는데, 음역한 어려운 한자어의 뜻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7월 30~31일 이른 11시 그리고 늦은 2시 안산문화예술의전당에서는 어린이극 지구사용설명서가 무대에 오른다, 우리는 평생 동안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컵을 사용할까? 음료를 마실 때 사용하는 플라스틱컵, 매일 신는 운동화, 생활필수품이 되어버린 휴대전화는 어떻게 만들어져서 어디로 가는 걸까? 플라스틱컵을 가지고 장난스럽게 놀던 배우들은 점점 다양한 질문을 던지며 깊이 있는 주제로 성큼 다가간다. 이 작품은 우리의 소비생활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파괴와 생태계 문제를 통통 튀는 감각으로 표현한 융합 연극이다. 2013 웨스트윈드 페스티벌 심사위원상, 아동관객상 수상작 지구사용설명서는 환경과 생태계에 대한 묵직한 주제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한다. 거대한 영상막과 어울려 연기하는 두 명의 배우는 관객들과 함께 노래하고, 뛰고, 춤추고, 소리친다. 영상과 움직임으로 전하는 가슴 벅찬 울림의 공연을 즐기다보면 생태계에 대한 문제의식과 삶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갖게 된다. 어린이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우리의 복잡한 세상에 대해 유쾌하지만 비평적인 시각을 던지는 연극이라는 극찬을 받았다. 전석 1만5천원이며, 기타 자세한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