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서울 장안에 얼마 전부터 이상야릇한 소리 하나가 자꾸만 들려와 그 소리만 들으면 사시같이 떨어대며 식은땀을 줄줄 흘려쌌는 사람들이 있으니 해괴헌 일이다 이는 대개 돈푼깨나 있고 똥깨나 뀌는 사람들이니 더욱 해괴한 일이다 쿵 바로 저 소리다 무대에서는 임진택 명창이 속삭이듯 그의 창작판소리 <소리내력>을 아니리로 시작한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감옥에 들어갔을 때 감방장의 제안으로 몰래 오락시간이 펼쳐졌는데, 이날 임진택은 4평짜리 감방에서 10여 명의 죄수 청중을 앉혀놓고 김지하의 담시 <소리내력>을 읊었다. 이렇게 북반주도 없이 목소리를 낮추어 흥얼거려 암송한 담시 <소리내력>이 ‘창작판소리’ 12바탕의 첫 계기가 되리라고는 자신도 몰랐다고 술회한다. 어제 7월 13일 저녁 5시, 서울시 종로구 창덕궁길 7. 노무현시민센터 다목적홀에서는 ‘우리시대의 광대’ 임진택의 창작판소리 50돌을 기리는 토크콘서트 <소리의 내력>이 열렸다. ‘노무현시민센터 다목적홀’의 이번 공연은 객석이 빈자리가 없었던 것은 물론, 서서 보는 관객들도 제법 있을 정도로 큰 관심을 끌었다. 공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문화운동’을 수행하고자 전공인 외교관의 길도, 좋은 직장인 KAL(대한항공)도 뿌리쳤으며, 전두환 군부 때인 KBS PD시절 청와대에 불려 갔을 때 면전에서 ‘국풍81’ 행사 지시를 거부했던 겁 없는 사람이다. 그러면서도 정통성을 끝내 견지한 민족ㆍ민중예술의 귀감을 창출함으로써 세간으로부터 최초로 ‘우리 시대의 광대’라는 칭호를 부여받은 인물이다. 한국 현대 ‘창작판소리’의 독보적인 존재임은 물론 우리 시대가 낳은, 참으로 독특하고 탁월한 ‘광대(廣大)다.“ 이는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우리 시대의 광대’ 임진택 소리꾼을 두고 한 말입니다. 내일 7월 13일 저녁 5시, 서울시 종로구 창덕궁길 7 노무현시민센터 다목적홀에서는 소리꾼 임진택의 창작판소리 50돌을 기리는 토크콘서트 <소리의 내력>이 열립니다. 임진택은 1974년 7월, 서대문구치소 감방 안에서 담시(譚詩) 운율에 맞춰 읊은 소리내력을 시작으로 김지하 시인의 담시 3부작 소리내력, 똥바다, 오적을 판소리로 작창하여 새로운 창작판소리의 시대를 열었는데 올해가 그 50돌 되는 해지요. 임진택은 소리내력, 똥바다, 오적뿐만 아니라 오월광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판소리학회(회장 최혜진)는 학술대회 ‘창작판소리와 임진택 소리 50년’을 7월 13일(토) 낮 1시 노무현시민센터 다목적강의실에서 연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판소리 학계와 공연계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광대 임진택이 지난 50년 동안 짓고 부른 창작판소리가 가지는 문학적 값어치와 공연학적 미학, 그리고 문화사적 의의에 대한 주제발표와 토론이 준비되었다. 먼저 이윤선(서남해안포럼)은 [임진택의 소리 내력 반 백년, 판소리의 소리 내력 반 천년]을 주제로 기조발제를 한다. 임진택 창작판소리 50년의 역사와 이를 둘러싼 우리 판소리의 역사, 연희사의 ‘내력’을 살핀다. 제1주제로 이정원(서강대)이 [임진택 창작판소리의 사설에 대한 문학적 접근]을 통해 임진택의 창작판소리 전 작품을 대상으로 시기별 특징과 예술적 소통 양상을 들여다본다. 다음 제2주제 [비가비 광대 임진택의 판소리 작창과 가창 연구 - ‘소리내력’과 ‘백범 김구’를 중심으로]에서 김수미(서울대)는 임진택의 작창과 가창이 어떤 방식으로 판소리의 주요 값어치인 이면 구현을 실행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마지막 제3주제로는 김소연(성균관대)이 [임진택 판소리 공연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우리시대의 광대’ 임진택의 창작판소리 50돌을 기리는 토크콘서트 <소리의 내력>이 2024년 7월 13일(토) 저녁 5시, 서울시 종로구 창덕궁길 7 노무현시민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다. 이 공연은 2024년 원로예술지원 프로젝트로 선정되었다. 임진택은 1974년 7월, 서대문구치소 감방 안에서 담시(譚詩) 운율에 맞춰 읊은 <소리내력>을 시작으로 김지하 시인의 담시 3부작 <소리내력>, <똥바다>(1985년), <오적>(1993년)을 판소리로 작창하여 새로운 창작판소리의 시대를 열었다. 올해가 그 50돌 되는 해다. 1990년에는 창작판소리 <오월광주>를 전통 판소리 양식으로 직접 사설을 쓰고 소리를 작창하여 공연했으며, 이후 한동안 판소리계를 떠났다가 심기일전(心機一轉), 환갑을 맞은 2010년 창작판소리 열두바탕 추진을 기획하고 <백범 김구>(2010년)를 비롯하여 <남한산성>(2011년), <다산 정약용>(2017년), <세계인 장보고>(2019년), <윤상원가>(2019년), <전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