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불기 2568년 부처님오신날을 맞이하여 2일동안 열린 연등행사의 2일째에는 서울 종로에 있는 조계사앞에서 열렸다. 5월 12일 일요일에는 종로에서 안국역으로 큰길에 자동차 통행을 제한하고 그동안 준비해온 전통을 이어온 다양한 체험놀이와 음악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을 즐겁게 하였고,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불교국가들에서 온 스님들과 불자들이 각자의 나라에서 온 전통불교를 소개하는 행사도 진행하였다. 2일째 열린 행사에는 한국에서 온 사람들 보다도 더 많은 외국참가자들이 보였다. 1,000년을 이어온 연등회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기에 이제는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축제가 된 것이다. 이번 행사에 참여해보고자 먼 길을 마다하지않고 찾아온 문화탐방객들은 한국인들보다도 훨씬 더 즐겁게 다양한 행사에 참여하였음을 촬영하면서 확실하게 느낄 수 있었다. 오늘의 행사는 어제(5월 11일) 비가 내리는 날과는 완전히 다른 화창하고 맑은 분위기 속에서 펼쳐졌는데 연꽃등만들기를 비롯하여 종이꽃만들기, 도자기체험, 부처님 그림그리기, 전통무용감상, 불교음악감상, 부처님 목욕시키기, 각종 음식체험, 짧은 시간동안 참선 참여하기, 차 마시기, 산사체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미혹 속에 살아가는 중생들에게 세상을 밝히고자 부처님이 태어났다는 것을 세상에 알리고자 생겨난 것이 한국의 연등회 연등축제다. 한국에 연등회가 생겨난 것은 정확히 그 기원을 알 수는 없지만,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전해지며, 그 연등회가 전 국가적인 행사로 발전한 것은 고려시대로 알려져 있다. 고려시대 연등회는 왕실에서 주관하여 매우 화려하게 발전하였다. 그러니 연등회가 어림잡아 1,000년이 넘는 국가적인 행사로 열려왔으며, 해마다 부처님오신날 즈음에는 전국의 절들이 가장 큰 명절맞이로 절 주변에는 각종 연등을 달아서 부처님오신날을 축하하고 백성들도 각자 자신의 등을 만들어 절에도 밝히고 집안에도 밝혔다. 불교에서 등을 밝힌다는 것은 어두운 밤에 등을 달아서 내 주위를 밝히듯, 어리석은 생각에 파묻혀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 있는 자신임을 깨닫고, 자기 안에 가지고 있는 불성(부처가 될 수 있는 씨앗)을 밝히고자 하는 불교의 가르침을 상징하기도 한다. 한국에 불교가 들어와 전쟁과 환난의 어려운 시대를 거치면서도 끊어지지 않고 건축과 미술, 무용, 음악으로 문화의 꽃을 피우고, 전국적인 연등축제로 발전하여 어어져 온 것은 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불기2568년(2024) 부처님오신날을 봉축하는 뜻깊은 연등축제 봉축식이 평택 보국사(輔國寺) 무생불전(無生佛殿) 법당과 법당 앞마당에서 지난 5월 6일(월) 11시부터 봉행 되었다. 보국사는 가람 전체 주련(柱聯: 절의 대웅전 건물의 기둥 등에 써 붙이는 글귀)과 주불(主佛: 법당에 모신 부처 가운데 가장 으뜸인 부처)인 석가모니불을 모신 본전을 ‘부처님궐’이라는 이름의 한글 편액과 또한 한글 주련(기둥글)을 쓰고 있는 ‘한글사랑을 실천하는 절’로 널리 알려진 절이다. 무생불전에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경기문화재 386호)을 모셨는데 이는 18세기에 활동한 상정(尙淨)스님이 조성한 불상이며 이와 함께 12세기에 조성된 미얀마 전불(塼佛)들을 모셨다. 보국사의 연등축제에는 다른 절에서는 보기 어려운 기독교 목사가 함께하여 종교간 벽을 허물고 부처님의 진정한 가르침인 ‘화합’을 도모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날 보국사 연등축제에 참석한 목사는 기독교 원로인 전 NCC 총무이자 현 남북평화재단 이사장 김영주 목사였다. 연등축제에서 봉축식에서 보국사 주지 겸, 일본 나가노 금강사와 서울 열린선원장인 무상법현스님은 “자그마한 꽃잎들이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