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중국 속담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습니다. "영웅은 자금성에서 태어나지 않는다." 곧 특권층이나 특정 환경에서 영웅이 탄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씀이지요. 곧 개인의 잠재력이나 능력, 노력이 중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는 왕족이 따로 없었습니다. 능력이 있고 세력을 규합하고 힘이 있으면 스스로 임금이 될 수 있는 사회였지요. 물론 임금과 영웅은 다른 개념일 수 있지만 노력 여하에 따라 상한선 없는 사회적 사다리는 그 사회의 역동성을 말해 줍니다. 요즘을 개천에서 용 나는 시대가 아니라고 합니다. 계급의 상향 이동이 쉽지 않은 시대라는 것이지요. 권력이, 부유함이, 사회적 강자가 신분 상승의 사다리를 흔들고 있으니까요. 고등학교 다닐 때는 정말 죽기 살기로 공부했던 것 같습니다. 공부가 아니면 미래가 없었으니까요. 그런데 요즘은 사회적 자본 등 다양한 불평등이 심화하면서 개인적인 노력만으로는 성공하기 어려운 구조가 되었습니다.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부유층과 중산층의 격차가 너무 커졌죠. 아무리 발버둥 쳐도 늙어 죽을 때까지 월급으로는 서울에 집 한 채 장만할 수 없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동일한 출발선에서 경주
[우리문화신문=이진경 문화평론가] 정성화 배우가 안중근 역으로 출연한 윤제균 감독의 뮤지컬 영화 ‘영웅’이 지난 12월 21일 첫선을 보였다.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1년을 원작 뮤지컬 ‘영웅’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상영 중이다. 초등학교 5학년 진급을 앞둔 딸이 텔레비전 광고를 보더니, 뮤지컬 영화 ‘영웅’를 보러 가자고 하였다. 4학년 때부터 우리나라의 근현대사에 관심을 가지고 이것저것 찾아보며 스스로 역사 공부를 하는 딸은 12월 16일 유관순 열사의 생일과 12월 22일 주시경 선생의 생일을 챙기는 열정을 보이며 독립운동가들의 행보를 찾아보고 있다. 그런 딸이 처음으로 같이 보러 가자고 제안한 영화가 안중근 의사에 관한 이야기니 나도 호기심이 생겨 예매를 서둘렀다. 딸은 영화를 보는 내내 웃고 울고를 반복하였다. 오른쪽 가운데 있는 손가락의 살들이 잔뜩 뜯겨 있길래 물어보니 눈물을 삼키느라 그랬다고 한다. 안중근 의사가 어떤 일을 했었는지 책으로 보고 알고 있었지만, 그 거사를 치르는 과정에서 있었을 어려움과 고뇌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지들을 잃고 가족들의 안위가 걱정되어도 안중근 의사의 “조국에 대해 꺾이지 않는 마음”을 절절하게 느꼈다고 했다.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