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강대금)은 ‘제2회 국악사전 월례 토론회’를 오는 6월 25일(수) 낮 2시에 국립국악원 국악누리동 대회의실에서 연다. 국립국악원, 고문헌ㆍ고악보 이름에 관한 토론회 열어 이번 토론회에서는, 국악사전에서 고문헌과 고악보를 부르는 방식의 원칙을 확립하고 제안하는 차원에서 고문헌ㆍ고악보 이름과 기술 체계를 주제로 삼는다. 국립국악원은 《한국음악학자료총서》에 수록된 악보 이름과 한국목록규칙의 불일치, 학계 내에서 악보를 부르는 방식의 불일치 등을 해소하고 통일된 이름을 제시하고자 이번 토론회를 마련한다. 토론회의 좌장은 송혜진 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수가 맡고, 봉성기 전 국립중앙도서관 학예연구관이 발표자로, 김성혜 부산대학교 강사, 최선아 서울대학교 강사가 토론자로 참여한다. 국악사전,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모두 여덟 차례의 논의과정 마련해 국립국악원은 올해 학계 토론 마당을 마련함과 동시에 국악사전이 그동안 충분히 해결하지 못했던 쟁점들을 공개적으로 다루는 모두 여덟 차례의 토론회를 진행한다. 지난 5월 진행한 첫 번째 토론회는 ‘국악사전 표제어 분류 안과 명칭 검토’라는 주제로 논의하였으며,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강대금)은 ‘제1회 국악사전 월례 토론회'를 오는 5월 8일(목) 낮 2시에 국립국악원 국악누리동 대회의실에서 연다.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표제어 선정에 관한 첫 토론회 열어 이번에 여하는 토론회에서는, 국악사전 표제어 선정의 합리성과 일관성을 점검하고 제안하는 차원에서 ‘표제어 분류 안’과 ‘표제어 명칭 검토’를 주제로 삼는다. 국악사전의 <궁중ㆍ풍류> 편, <민속> 편, <국악사ㆍ이론> 편을 만드는 동안 빠진 동일 층위 주요 표제어를 확장하기 위해, 국립국악원은 표제어 통합과 삭제, 추가와및 대표 표제어 이름 바꿈 등에 대한 제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이번 토론회를 마련했다. 토론회의 발표자로는 송혜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수가 맡았고, 토론자로는 김영운 전 국립국악원장, 이숙희 전 국립국악원 학예연구관, 박정경 국립남도국악원장이 참여한다. 다양한 연구 분야의 합의를 통한 ‘지식정보’의 기능 높이는 《국악사전》 여덟 차례의 토론회를 통해 정보의 정확도 높일 것으로 기대돼 국립국악원은 그간 국악사전이 다양한 연구 분야의 합의를 통한 ‘지식정보’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