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승무, 살풀이춤, 태평춤, 한량무, 학춤 등 현재 전통춤의 계보를 거슬러 오르다 보면 한 점으로 모이면서 만나게 되는 인물이 있다. 바로 1874년 홍성에서 태어나 1930년대 당시 조선 땅에서 실낱같이 전승되던 우리 전통춤의 여러 갈래를 집대성하고 그 맥을 체계적으로 오늘에 이어준 ‘근대 한국춤의 아버지’ 한성준이다. 한성준은 조선 팔도의 악(樂)과 무(舞)를 두루 섭렵하고 익히며 더 나아가 무대예술로 재창작한 천재적인 춤꾼이면서 당대 명창들이 하나같이 으뜸으로 손꼽았던 명고수였다. 그의 춤은 손녀 한영숙과 제자 강선영으로 전승되어 다시 이애주, 정재만, 박재희로 이어져 왔고, 그의 북장단 소리는 고음반에 새겨져 남아 후대 북고수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 2024년, 탄신 150돌을 맞이하여 한성준 계보의 모든 유파들이 함께 모여 그의 춤 세계를 집대성하여 조명하는 <2024 한성준 춤ㆍ소리 예술제>가 7월 25일(목)에 홍성문화원에서 열린다. 이 다채롭고 화려한 우리 전통춤의 향연은 이애주문화재단이 앞장서 기획하였다. 이애주문화재단 유홍준 이사장은 “한성준 선생은 우리 전통 예술사 또는 연희사에서 단 한 명의 독보적인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는 12월 28일(수)과 29일(목) 저녁 7시 30분에 서울 도봉구민회관 하모니홀에서 창작판소리연구원ㆍ이애주문화재단이 주최하고, (사)재경전라북도민회가 협력하고 서울특별시와 서울문화재단이 후언하는 '가자, 황토현으로!' 공연이 열린다. 우리는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군이 전라감영군을 맞아 크게 승리한 ‘황토현 전투’를 기억한다. 황토현전투는 동학농민군들의 사기를 고무시키고 관군의 사기를 크게 저하시킴으로써 동학농민봉기의 전개과정에 큰 영향을 끼쳤다. 임진택 명창이 도창을 맡은 이번 공연은 판소리와 춤, 풍물굿 그리고 택견무예가 어우러진 총체연희극으로 가족 모두가 볼 수 있다. 소리꾼으로 구명우ㆍ윤지선이 출연하며, 고수는 김지원이 맡는다. 배우 성형진ㆍ이정국ㆍ이창수ㆍ정성진이 부대에 오르며, 김수민 등 9명의 풍물패, 이상호 등 7명의 택견패, 권효진 등 5명의 춤패가 함께 한다. 공연을 만든 사람들은 총감독 임진택, 총괄기획 양정순, 제작PD 이선우, 연출 김혜영, 연희연출 김원민, 택견구성 이상호, 안무 권효진, 배경그림 김정헌ㆍ임옥상, 조명디자인 김윤희, 무대감독 김창길, 홍보 김종호, 디자인 그래픽시선이다. 다사다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