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지금으로부터 106년(1919)전 3월, 이달은 전국 방방곡곡에서 독립만세 소리가 끊이질 않았던 달이다. 특히 일제 군경이 저지른 ‘제암리교회 학살’ 현장 인근인 제암리 발안장터에서는 수천 명의 주민들이 모여들어 일제 침략에 항거하는 대규모 시위가 있었다. 이날 곧, 1919년 3월 31일 정오, 발안장터에 몰려든 군중들의 선봉장이 되어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결사적인 시가행진을 진두지휘하다가 일본 헌병의 총검에 복부를 난자당해 현장에서 순국한 이가 있으니 그가 바로 탄운 이정근(灘雲, 李正根 1863-1919) 의사(義士)다. 이정근의사는 복부에서 솟구치는 붉은 피를 움켜쥐어 일본 헌병의 얼굴에 흩뿌리며 숨이 끊어질 때까지 ‘대한독립’을 절규하다 장렬한 죽음을 맞이하였다고 역사는 증언하고 있다. 아! 선열이시여! 어제(3월29일) 낮 11시, 향남읍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장짐리)에 있는 이정근의사창의탑에서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탄운 이정근 의사를 추모하는 “발안 3·1독립운동의 선구자, 탄운 이정근 의사 순국 106주기 추모제”가 열렸다. 봄을 시샘하는 꽃샘추위가 제법 쌀쌀하다고 느꼈는데 추모제가 시작되고 얼마 안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봄을 시샘하는 꽃샘추위가 아직 옷깃을 여미게 하는 어제(3월30일) 낮 11시, 향남읍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장짐리)에 있는 이정근 의사 창의탑에서 <발안 3·1독립운동의 선구자, 순국 105주기 탄운 이정근 의사 추모제>가 (사)탄운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회장 김겸) 주최로 열렸다. 1919년 3월 1일, 서울의 만세시위를 시작으로 이곳 발안지역은 3월 31일 발안장날을 기해 일어났는데 탄운 이정근(灘雲, 李正根 1863-1919) 의사(義士)는 제자들과 지역민들을 포함한 1천여 명을 이끌고 만세시위에 앞장섰다. 이날 이정근 의사는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대를 이끌다 일경의 총검에 복부를 난자당하면서도 복부에서 흐르는 피를 손에 움켜쥐어 일경의 얼굴에 뿌리며 숨이 끊어질 때까지 ‘조국의 독립’을 외치다 장렬히 순국의 길을 걸었다. 터졌구나 터졌구나 / 독립성이 터졌구나 / 15년을 참고참다 / 이제서야 터졌구나 피도 대한 뼈도 대한 / 살아 대한 죽어 대한 / 잊지마라 잊지마라 (2절 줄임) -탄운 이정근 의사의 ‘3.1독립가’ - 어제 추모제에는 화성시보훈단체협의회 박영민 회장을 비롯하여, 광복회 화성시 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