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지나ᇿ 3월 18일부터 오는 4월 13일까지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7 ‘모두예술극장’에서는 연극 <젤리피쉬>를 무대에 올리고 있다. 모두가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다양성과 포용에 관한 질문을 던지며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모든 관객에게 새롭고 깊은 울림을 전한다. 특유의 활기와 섬세함으로 무대를 이끌어갈 <젤리피쉬>의 배역, 생동감 넘치는 연기력으로 무대를 주도할 '켈리' 역에 무용수 출신의 배우 백지윤, 딸을 지키려는 불안과 모정 사이에서 흔들리는 어머니 아그네스'역 정수영, 켈리를 향한 진심 어린 애정을 보여줄 '날' 역 김바다ㆍ이휘종, 솔직함과 엉뚱함을 오가는 '도미닉' 역 김범진이 무대에서 열련한다. 장애예술과 비장애 예술이 함께 만들어내는 통합적 무대! 웃음과 감동 속에 사랑의 의미, 개인의 삶과 권리에 대해 새로운 시선을 제시할 특별한 순간을 보여준다. 제작에는 원작에 벤 웨더릴(Ben Weatherill), 프로듀서에 석재원, 연출에 민새롬, 번역에 이인수, 드라마터그에 신재훈, 안무에 고권금, 음악에 이진욱, 무대ㆍ소품디자인에 최영은, 조명디자인에 이현규, 음향디자인에 이원만, 의상디자인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조선 후기 선비 화가 정수영(鄭遂榮, 1743~1831)은 1797년 가을 금강산을 유람하였습니다. 금강산 풍경을 유탄(柳炭, 그림의 윤곽을 그리는 데 쓰는, 버드나무를 태워 만든 숯)으로 스케치하고 이를 토대로 2년 뒤인 1799년 3월부터 8월까지 6달에 걸쳐 가을 금강산(풍악산) 그림첩인 《해산첩(海山帖)》을 완성했습니다. 지리학자 집안 후손인 정수영은 남다른 관찰력, 독자적인 시각과 경물 배치 방식, 특유의 필법이 특징인 자신만의 금강산 그림을 남겼습니다. 금강산의 가을을 담은 정수영의 《해산첩》 단풍의 계절 가을이 오면 현대인들은 여행을 가서 아름다운 풍경을 기념하기 위해 사진을 찍고 이를 블로그 등의 개인 누리집에 올려서 여러 사람이 함께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사진들을 보고 있노라면 같은 장소라도 개인의 취향과 관심사, 시각 경험에 따라 촬영 대상이 달라지고, 같은 대상을 찍어도 사진기의 종류, 촬영 각도, 촬영자의 기술에 따라 서로 다른 사진이 생산됨을 깨닫게 됩니다. 조선시대에도 가을 여행의 추억을 글과 그림으로 남겼습니다. 단풍이 아름다워서 ‘풍악산(楓嶽山)’이란 별명이 있는 금강산을 찾은 문인들은 자신이 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