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한의학 용어가 수 천 년을 이어오다 보니 어느덧 일상으로 쓰이는 것이 많다. 그 가운데 비장에 대한 것도 가장 흔한 일상어가 되어 있다. 우리가 흔히 소화기능이 약할 때 “비위(脾胃)가 약하다”라고 하고, 주변 요구에 순응하면서 호응할 때 “비위(脾胃)를 맞춘다”라고 말하는데 이때의 비(脾)가 비장(脾臟, 지라)이다. 한의학에서도 비장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져 말 그대로 ‘비장이 비장’이라는 주장과, ‘아니다 예전에는 해부학의 발달이 미흡해서 췌장(이자)을 비장이라고 말했던 것’이라는 주장이 혼재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한 비위가 약하다고 할 때의 비장은, 우리말의 지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양방에서 ‘스프린(spleen)’을 말하는 장부다. 양방에서 말하는 비장은 우리 몸의 가장 중요한 림프기관으로서, 온몸 림프기관 중량의 약 25%를 차지한다. 한마디로 말하면 면역의 중추이면서 면역의 사령관이라 말할 수 있다. 지라는 우리 몸을 침범하는 세균이나 외부 단백질을 제거하는 면역 기능을 담당하며 노화된 적혈구, 혈소판을 포함하는 여러 혈액 세포들과 면역글로불린이 결합된 세포들을 제거한다. 또한 적혈구와 림프구를 만들고 저장했다가 필
[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피가 탁한 것에는 다양한 정의가 있고 또한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 어혈(瘀血)이 있고. 간에서 연유되는 것과 비장에서 연유되는 것이 있다. 이를 해결하려는 한의학적 처방과 민간요법에 대해 살펴보겠다. 1.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방법 피가 탁해지는 것을 겉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멍자국이다. 이는 내부의 모세혈관이 손상되면서 출혈이 일어나 혈액이 본래의 경로인 혈관을 이탈하면서 기능을 상실한 죽은피를 의미한다. 이렇게 피가 탁해진 것을 한의학에서 ‘어혈(瘀血)’이라고 한다. 어혈(瘀血)이란 일반적으로 죽은 피를 뜻하는데 한의학적 의미로는 정상적으로 운행(運行)되지 않은 모든 혈액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어혈(瘀血)을 판별할 때 겉으로 보이는 타박 증상 이외에 꼭꼭 찌르는 듯한 자통(刺痛)과 저린 증상을 의미하는 ‘마목증(痲木症)’을 들 수 있다. 어혈을 풀어주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처방은 당귀수산(當歸鬚散)과 사물탕(四物湯)을 기반으로 한 적절한 가감방이다. 우리가 보통 보약이라 할 때 인삼(人蔘)과 녹용(鹿茸)을 떠올리듯 혈(血)을 다스리는 기본 약으로 당귀(當歸)가 있다. 당귀(當歸)의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