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를 잘하는 것으로 텃세를 극복한다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지금부터 약 3년 전, 한 일간신문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올라왔다. 2022년 3월 5일에 강원 강릉시 옥계면과 동해시 일대를 쑥대밭으로 만든 산불은 한 남성이 “이웃들이 무시한다”며 저지른 방화에서 비롯한 것으로 파악됐다. A씨는 오전 1시 7분쯤 토치 등으로 강릉 옥계면 남양리 자택과 농막에 불을 질러 산불을 초래한 혐의로 출동한 경찰에 의해 현행범으로 체포됐다. 그는 경찰 수사에서 "주민들이 수년 동안 나를 무시해서 화가 났다"며 범행을 시인했다. A씨는 5년 전 서울에서 강릉으로 내려왔고 주민들과의 교류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귀농이나 귀촌을 실행한 사람들이 겪는 첫 번째 난관은 원주민들의 텃세다. 사전에서는 텃세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통상 먼저 자리를 잡은 사람이 뒤에 들어오는 사람에 대하여 가지는 특권 의식이나 뒷사람을 업신여기는 행동을 두고 텃세를 부린다고 한다. 생태계에서도 기 영역을 지키기 위한 텃세 행동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까치, 잔가시고기, 얼룩말 등 많은 동물이 텃세 행동을 한다.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들도 텃세가 있다. 숲은 나무들이 살아남기 위한 전쟁터와 마찬가지다. 한번
- 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 2025-01-30 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