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이 되면 생각나네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산록을 바라보면서 내가 살아있다는 사실이 참으로 즐겁다. 내 나이를 세어 무엇하리. 나는 지금 오월 속에 있다.” 영원한 스무 살 청년이 된 수필가 피천득 선생의 표현이다. 금아(琴兒) 피천득(皮千得)은 수필 「오월」에서 “오월은 금방 찬물로 세수를 한 스물한 살 청신한 얼굴이다”라고 선언한다. "오월은 금방 찬물로 세수를 한 스물한 살 청신한 얼굴이다. 하얀 손가락에 끼어있는 비취가락이다. 오월은 앵두와 어린 딸기의 달이요, 오월은 모란의 달이다. 그러나 오월은 무엇보다도 신록의 달이다. 전나무의 바늘잎도 연한 살결같이 보드랍다." ... 피천득 「오월」 올해도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 우리 사회를 흔드는 태풍급 정치 때문에 봄을 거의 잃어버릴 뻔했는데 그래도 봄은 돌아왔다. 우리가 계절의 여왕인 5월 안에 들어와 있는 것이다. 이제 이 시간만은 나이가 드는 것을 잊어 버려도 좋다. 거문고 켜는 아이인 금아 피천득은 5월의 시인이며 수필가이다. 피천득은 1910년 5월 29일에 태어나서 2007년 5월 25일에 세상을 떠 29일에 장례를 치렀으니, 5월과는 뗄 수 없는 인연을 가지고 있다. 5월은 어린이 달, 가정의
- 이동식 인문탐험가
- 2025-05-07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