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4.3℃
  • 맑음강릉 7.3℃
  • 박무서울 6.9℃
  • 박무대전 7.9℃
  • 맑음대구 6.1℃
  • 맑음울산 7.0℃
  • 박무광주 7.1℃
  • 맑음부산 9.1℃
  • 맑음고창 3.3℃
  • 구름많음제주 8.4℃
  • 구름조금강화 6.5℃
  • 구름많음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8.1℃
  • 맑음강진군 4.7℃
  • 맑음경주시 4.0℃
  • 맑음거제 7.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살림살이

가까이서 겨울철새 관찰하러 갈까?

[우리문화신문 = 전수희 기자] 서울시는 나뭇잎이 없어 새 관찰이 용이한 겨울철을 이용해 조류관찰 프로그램을 1월 30일부터 2월 말까지 길동생태공원 등 6개 공원에서 18회 운영한다.

길동생태공원에서는 한 해 동안 텃새들의 보금자리가 될 ‘인공 새집 달기’를 진행한다. 먼저 실내교육을 통해 10여 년간 인공새집을 관찰한 결과와 함께 새집을 달아주는 의미를 배우고, 직접 달아준 새집에서 아름답게 지저귀며 숲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쇠박새, 박새, 흰눈썹황금새 등의 번식을 기원한다.

 

   
 

또한 ‘날아라, 깃털아!’(나는야 새밥 요리사)에서는 겨울철 먹이가 부족한 새들에게 땅콩 먹이대와 쇠기름을 설치해 주고, 새들을 관찰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남산의 새-가족탐사’는 매달 넷째주 일요일에 진행된다. 남산에 살고 있는 서울시 지정보호 야생조류인 오색딱다구리와 청딱따구리, 박새와 딱새이야기를 중심으로 “어린이 새 비교도감” 저자인 서정화 선생님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선유도공원에서는 흰죽지, 민물가마우지, 왜가리, 청둥오리 등 겨울철이면 한강을 찾는 겨울 철새에 대한 해설도 들어보고 망원경으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 밖에도 중랑캠핑숲과 서울숲에서는 겨울철새와 텃새에 대한 설명과 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공원에 사는 새들을 망원경으로 관찰한다. 서울창포원에서는 공원에 사는 새와 둥지를 관찰하고 새 먹이를 주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참가신청은 ‘서울의 산과 공원’ 및 ‘서울시공공서비스예약’에서 선착순 접수하면 된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해당 공원으로 문의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