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구름많음동두천 19.3℃
  • 구름많음강릉 16.6℃
  • 구름조금서울 19.8℃
  • 흐림대전 22.1℃
  • 구름조금대구 18.5℃
  • 구름많음울산 19.3℃
  • 구름많음광주 19.3℃
  • 박무부산 17.5℃
  • 구름조금고창 17.3℃
  • 구름많음제주 19.4℃
  • 구름많음강화 15.5℃
  • 흐림보은 22.6℃
  • 구름많음금산 21.8℃
  • 구름많음강진군 18.0℃
  • 구름조금경주시 18.6℃
  • 흐림거제 17.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사진나들이

부처가 된 가야국 허황옥 왕비의 일곱 아들

[화보] 하동 칠불사에서 잃어버린 역사를 생각하다

   
칠불사 일주문
 

 

 
▲ 칠불사 일주문 현판

 

 

 

 

 

 

 
▲ 일주문 천장
 

 

 
▲ 칠불사 영지, 김수로왕과 허황옥이 그림자로나마 아들의 수행을 지켜보았다고 한다.

 

 

 

 

▲ 칠불사 사리타비들

 

 

 
▲ 멀리본 칠불사 전각들
 

 

 
▲ 칠불사 옹달샘
 

 

 
▲ 칠불사 경내로 들어가는 계단아래에서

 

 

   
▲ 아자방 굴뚝
 

 

 
▲ 칠불사 문수전
 

 

 
▲ 칠불사 문수보살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지리산 아래에는 많은 옛 절들이 즐비하다. 그가운데서도 남쪽 하동에는 칠불사와 쌍계사가 대표적인데 오늘은 칠불사를 답사하였다.

칠불사는 7부처님이 나신 곳이라는 뜻으로, 그 일곱부처는 다름아닌 금관가야국 왕비인 허황옥의 7왕자가 허황옥의 오라버니인 장유화상을 따라 이곳 칠불사로 출가하여 득도한 뒤 부처가 되었다는 전설같은 이야기가 담겨있는 절이다.

불교에서 출가 수행자의 최종 목적은 극락왕생이 아니라 스스로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교과서 역사책에 기록된 불교의 전래와는 달리 삼국유사에는 김수로왕이 그의 왕비인 허황옥을 맞이하는 장면이 기록되어있고, 또 허황옥이 낳은 왕자들 중에 7명이 출가하여 성불했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한국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고구려의 소수림왕이나 백제의 침류왕보다 300여년이 빠른 시기에 이곳 가야지역에 불교가 전래되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금관가야 김수로왕의 왕비인 허황옥이 인도에서 왔다는 것은 전설로만 여겨졌으나, 이제는 그것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한 고고학도로 김해김씨로 태어나 자신의 시조인 조상에 대한 비밀을 풀기 위해 평생을 바친 추적과 연구 결과 허황옥의 자취를 학문적으로 입증한 김병모 박사의 연구성과를 이제는 믿을 수 밖에 없게 된 때문이다. 그렇다면 불교의 전래에 대한 한국역사기록도 새롭게 써야 할 것이다.

비록 지금 있는 전각들이야 한국이 겪은 수많은 전란에 불타고 새롭게 지은 건물들이고 그 안에 모신 불보살들 또한 최근에 다시 모셨다고 하지만 그 본래 역사만은 되살려야 마땅하지 않은가 싶다. 스스로 찾지 않는 역사는 그저 이야기이고 흥밋거리일 뿐이다. 한국의 고대사가 왜곡되어 수천년이 통째로 날아간 것도 일제가 만들어놓은 축소된 역사를 체계화한 식민사학자들의 주장만 믿고 우리 스스로 잃어버린 역사를 찾으려는 노력이 모자랐기때문이 아닌가?

한국역사 5천년은 말뿐이고 우리는 2000년도 못되는 역사를 금과 옥조로 여기며 늘 외우고 있으니... 너무도 한심하다 아니할 수 없다.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북촌한옥마을 가옥 보수설계, 혜화동주민센타 개보수설계,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낙산사칠층석탑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문화유산사진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