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한국의 관광명소의 제일로 손꼽히는 제주도는 섬 한가운데 한라산이 우뚝 솟아있다. 이 한라산 중턱을 가로지르는 자동차길 중간지점에 해발 1,100고지가 있는데 여기에는 제주도에서 태어나 한국인 처음으로 에베레스트 정상에 오른 산악인 고상돈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고상돈은 1948년 제주에서 태어나 청주로 이사하여 성장하였다. 그는 1965년 청주에서 충북산악회에 가입하여 등산을 시작하여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 정상 등반을 위해 나라 밖 원정 등반 준비를 해나갔다. 이렇게 쌓아온 경험으로 한국일보 후원, 대한산악연맹의 주관으로 19명 원정대의 일원으로 출발하여, 1977년 9월 15일 한국인 처음으로 에베레스트 정상에 올랐다. 해발 8,848m의 에베레스트 정상은 베이스켐프에서 출발하여 7시간 20분 동안의 죽음을 각오한 도전이었다. 당시 에베레스트산 정상은 세계의 산악인이라면 누구나 오르고자 하는 최고의 목표였지만 높을 뿐 아니라, 산소가 희박하여 숨조차 쉴 수 없고, 거센 바람과 눈사태 등 험란한 여정과 변덕스러운 날씨로 좌절하는 경우가 허다하였으며, 도전하다가 오르지 못하고 조난당하여 죽는 사람이 많았다. 한마디로 죽음을 각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공원공단 경주국립공원사무소(소장 김창길)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식물인 자주땅귀개가 경주국립공원 남산지구 일원 습지에 2년 만에 꽃 피었다.”라고 밝혔다. 지난해 극심한 가뭄으로 습지의 수분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자주땅귀개를 관찰하기 어려웠는데, 올해 경주지역은 지난해에 견줘 같은 기간 동안 강수일수는 20일 이상, 강수량은 370mm 더 많았던 날씨로 인해 자주땅귀개의 생육조건이 양호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주땅귀개(Utricularia yakusimensis)는 현삼목 통발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산지 습지에 드물게 분포하며 땅속줄기에 포충낭이 달려 있어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 식충식물이다. 자주땅귀개는 우리나라에서도 제한된 일부 습지에 살고, 전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동남아, 호주, 태평양 일대 섬 등지에 분포하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기준 국가생물적색목록 취약(VU) 등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경주국립공원사무소 강순성 문화자원과장은 “자주땅귀개를 비롯한 이삭귀개, 땅귀개, 끈끈이주걱 등 희귀식물이 분포하는 습지 일대는 2015년부터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일반인 출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점검으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푸르고 무성하던 풀잎, 나뭇잎들이 겨울을 준비하느라 옷을 갈아입는 계절이 되었다. 지구 온난화 영향인지 자꾸만 짧아져가는 가을인지라 가을다운 가을을 느낄 수 있는 날들은 열흘정도나 될지 모르게 짧기만 하다. 10월 말 가을옷을 한창 뽐내는 춘천 청평사 계곡의 가을은 고즈넉한 산사와 어우러져 아름다웠다. 이제 얼마 후면 내년을 기약하며 앙상한 가지만으로 쓸쓸할 것이나, 겨울 한철 참고 견디다보면 다시 푸른 새싹이 돋아나는 봄을 맞이할 것이다. 우리는 그런 계절의 변화를 믿기에 낙엽이 지는 가을에도 슬퍼하지 않고 내년의 봄을 맞이할 희망을 안고서 살게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