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여수 연등동 벅수는 옛 전라좌수영성의 서문으로 통하는 지점에 서 있는 것으로, 동쪽에 있는 벅수에는 남정중(南正重), 서쪽에 있는 벅수에는 화정려(火正黎)라고 새겨져 있다. 이는 마을의 잡귀와 유행병을 막고 하늘과 땅을 평정하여 화마와 수마를 막고자 하는 뜻으로 보인다. -여수시 해설 인용 연등동벅수는 벅수 뒷편에 새겨진 글씨로 보아 정조12년(1788)에 세워진 것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현재는 이순신장군의 사당인 충민사 입구에 있다.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여수 진남관은 총무공 이순신 장군 당시에는 전라좌수영의 본영인 진해루가 있던 자리에 이순신 장군의 후임으로 통제사 겸 전라좌수사가 된 이시언이 정유재란 때 불타버린 진해루터에 정면15칸 측면5칸의 대규모 객사를 세우고 남쪽의 왜구를 진압하여 나라를 평안하게 하고자 진남관으로 이름짓고 세운 건축물로, 한국에서는 목조로 지은 단일건물로는 가장 큰 규모다. 임진왜란 이후 진남관은 수군의 중심기지로 숙종44년(1718) 전라좌수사 이제면이 중창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완성되어 건물의 부재들이 일반적인 한옥건물의 부재와 견주었을 때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남관의 기둥에 쓰인 목재의 굵기는 지름이 75cm이상 으로 매우 우람하며 기둥 위에 보와 도리 등의 굵기 또한 국내 다른 건물들에서 보기 어려울 정도로 크다. 현재 진남관은 내부에 칸막이가 없이 기둥들만 서있어 그 용도가 무엇이었는지 궁금한데, 진남관을 세운 전라좌수사 이시언이 정유재란으로 불타버린 진해루 터에 75칸의 대규모 객사를 세웠다고 한 것으로 보아 진남관은 본래 여수에 세운 객사로 보인다. 그런데 현재처럼 내부가 완전히 개방된 건물로는 객사로 쓰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전남 보성군 문덕면에 있는 대원사는 백제 무녕왕 3년(503) 신라에 처음 불교를 전한 아도화상에 의하여 창건되었다고 한다. 대원사 스님에 따르면 당시 아도화상은 신라의 선산군 모례네 집에 숨어 살면서 불법을 전파하고자 하였는데, 하루는 아도화상의 꿈에 봉황이 나타나 말하기를, 아도! 아도! 사람들이 오늘 밤 너를 죽이고자 올 것인데, 어찌 누워 있느냐? 하는 것이었다. 이에 눈을 떠보니 문밖에 봉황이 날개짓을 하여 아도는 봉황을 따라 광주 무등산 봉황대까지 왔는데 봉황은 갑자기 사라지고 말았다. 그렇게 봉황의 인도로 목숨을 구한 아도화상은 이후 3달 동안 봉황이 머문 곳을 찾아 호남의 산들을 헤매다가 마침내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봉황포란형 형상의 명당을 찾게 되었다. 그리하여 아도는 그 산이름을 천봉산이라 부르고 그곳에 절을 지은 뒤 대원사라고 이름지었다고 한다. 이미 불교가 융성하던 백제시대에 신라에서 온 스님이 지었다는 보성 대원사는 지장보살의 큰 뜻을 실현하고자 하는 절이다. 불교에서 지장보살은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가장 큰 뜻을 세운 보살로, 그 원이 크고도 크다고 하여 대원본존지장보살이라고 부르는데, 그의 서원이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