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흐림동두천 13.8℃
  • 흐림강릉 19.0℃
  • 서울 16.4℃
  • 흐림대전 20.7℃
  • 흐림대구 21.3℃
  • 흐림울산 15.6℃
  • 광주 17.2℃
  • 흐림부산 14.8℃
  • 흐림고창 16.2℃
  • 제주 17.5℃
  • 흐림강화 13.6℃
  • 흐림보은 20.0℃
  • 흐림금산 21.0℃
  • 흐림강진군 15.4℃
  • 흐림경주시 18.9℃
  • 흐림거제 14.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 넓게 보기

문화재 안내문, 더 쉽고 더 정확하게 쓴다

한눈에 알아보는 문화재 안내문 바로 쓰기」 발간

[우리문화신문= 이한영 기자]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국립국어원(원장 송철의)과 함께 문화재 안내문에 국민들이 보다 쉽고 친숙하게 이해할 수 있는 문구가 사용될 수 있도록 문화재 안내문 작성 담당 공무원들의 지침서인 한눈에 알아보는 문화재 안내문 바로 쓰기를 발간하였다.

 

문화재 안내문은 일반 국민에게 문화재를 설명하기 위해 작성된 공공언어로, 문화재를 찾은 관람객이 맨 처음 접하는 정보이자,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내용이 담겨 있어 문화재를 이해하는 길라잡이 역할을 한다. 하지만 어려운 전용어와 복잡한 문 표현이 많아 문화재의 가치와 중요성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 책에는 문화재 안내문을 작성하고 번역할 때 적용되는 기본 원칙 안내문에 담겨야 할 내용(문화재 명칭, 지정유형, 연혁유래, 규모, 특징, 역사적문화재적 가치 등) 외국어한자숫자연대도량형 표기방법과 같은 세부 작성기준 등이 일목요연하게 수록되어 있다.

 

아울러 이같은 기준들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기 위해 문화재 30종을 사례로 들어 설명한다. , (쉬운 말) ‘출생한 가옥태어난 (띄어쓰기) ‘듯 하다듯하다(표현) ’칼 솜씨를 갖고 있는칼 솜씨를 자랑하는(맞춤법) ‘뼈조각뼛조각(낱말) ’일제 시대일제 강점기 실제 문화재 안내문에서 볼 수 있는 오류들을 살펴봄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그리고 책의 마지막에는 앞에서 다룬 문화재 안내문 30종의 다듬은 표현을 춤법, 띄어쓰기, 표현, 낱말, 쉬운 말 등 주제별로 표로 정리하여 필요할 때 편리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문화재 안내문 작성 시 도움을 받을 있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 가나다 전화(1599-9979), 전국 국어문화원 연락처 등의 정보도 함께 실려 있다.


 

이번에 발간된 한눈에 알아보는 문화재 안내문 바로 쓰기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배포되어 안내문 작성 시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심 있는 국민들을 위해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을 통해 전자문서 형태로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문화재청은 책자 발간을 계기로 오는 75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문화재 안내문 작성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며, 바르고 쉬운 문화재 안내문이 확산정착될 수 있도록 앞으로 연 2회 정기적으로 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