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구름조금동두천 12.0℃
  • 맑음강릉 10.0℃
  • 구름많음서울 12.6℃
  • 맑음대전 12.1℃
  • 맑음대구 12.6℃
  • 맑음울산 11.0℃
  • 맑음광주 11.6℃
  • 맑음부산 13.1℃
  • 구름조금고창 6.6℃
  • 구름많음제주 13.2℃
  • 구름많음강화 10.8℃
  • 맑음보은 8.5℃
  • 맑음금산 9.7℃
  • 맑음강진군 11.4℃
  • 맑음경주시 8.8℃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문헌에 나오는 오래된 길, “문경 토끼비리”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688]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設險函關壯(설험함관장) 험하게 만들어져 함곡관(函谷關)처럼 웅장하고

行難蜀道奇(행난촉도기) 험한 길은 촉도(蜀道) 같이 기이하네

顚隮由欲速(전제유욕속) 빨리 가려 욕심내면 넘어져 떨어지니

跼蹐勿言遲(국척물언지) 엉금엉금 기어가더라도 늦다고 꾸짖지는 말게


 

조선 태종세종 때의 문신 어변갑(1380~1434)이 지은 관갑잔도(串岬棧道)”라는 시입니다. 이 시는 경북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에 있는 명승 제31문경 토끼비리를 묘사한 것입니다. “문경 토끼비리는 수십 년 동안 인적이 끊어져 지금은 사람이 다니지 않는 길이지만, 예전엔 영남 사람들이 한양으로 가는 길에 꼭 넘을 수밖에 없었던 길이지요. 더구나 다음과 같이 신증동국여지승람문경현 형승조에도 기록될 정도로 역사성이 있는 길입니다.

 

관갑천은 용연의 동쪽 벼랑을 말하며 토천이라고도 한다. 돌을 파서 만든 잔도(棧道, 험한 벼랑 같은 곳에 낸 길)가 구불구불 6, 7리나 이어진다. 전해오는 얘기에 따르면 고려 태조 왕건이 남쪽 원정 때에 이곳에 이르렀는데 길이 막혔다. 마침 토끼가 벼랑을 타고 달아나면서 길을 열어주어 진군할 수 있었으므로 토천이라 불렀다.” 고려 태조에게 토끼가 길을 일러주지 않았다면 고려라는 나라가 없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여기서 비리벼루의 문경 사투리로 낭떠러지 아래 강이 흐르거나 바닷가를 끼고 있는 곳을 가리키며 벼랑과는 다른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