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8 (목)

  • 흐림동두천 -1.3℃
  • 구름많음강릉 2.8℃
  • 서울 -0.1℃
  • 대전 1.4℃
  • 맑음대구 3.4℃
  • 맑음울산 2.4℃
  • 구름많음광주 3.5℃
  • 맑음부산 4.0℃
  • 구름많음고창 5.4℃
  • 제주 8.9℃
  • 구름많음강화 -0.8℃
  • 흐림보은 1.7℃
  • 구름많음금산 3.2℃
  • 구름많음강진군 6.5℃
  • 구름조금경주시 3.2℃
  • 맑음거제 4.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한국의 돈키호테와 다람살라 방문기

피안에 도착하면 뗏목을 버려야

한국인 청전 스님, 달라이 라마 스승으로 모셔
한국의 돈키호테와 다람살라 방문기 (23)

[우리문화신문=이상훈 교수]  오늘은 귀국하는 날이다. 다람살라에서 델리로 가는 국내선 비행기는 오후 1시 출발이므로 우리는 다람살라에 살고 있는 청전스님을 오전에 만나고 가기로 했다. 델리로 가서 밤 12시 30분 비행기를 타면 한국에는 내일 오전에 도착할 것이다.

 

아침 3시에 잠이 깨어 <사피엔스>를 읽었다. 유발 하라리는 여러 종교는 물론 자연과학도 열심히 공부한 학자임에 틀림없다. 제3부의 제목은 인류의 통합이다. 그는 제3부에서 종교를 설명하면서 자연과학의 개념을 자유자재로 동원한다. 물리학과 생물학, 역사학과 인류학, 컴퓨터와 경제학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흥미로운 내용으로 책을 써갔다. 나는 그가 종교에 관해 쓴 부분에 관심이 갔다.

 

어떤 사람들은 불교는 종교가 아니고 철학이라고 말한다. 불교에서는 절대자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종교라고 말할 수 없다는 주장은 나도 들어보았다. 유교 역시 공자를 절대자로 믿는 것이 아니고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기 때문에 종교가 아니고 윤리라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종교가 꼭 절대자를 믿어야 한다는 것은 종교를 매우 좁게 해석하는 견해로서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불교에는 사원이 있고 법회가 있다. 유교에는 사당이 있고 제사가 있다. 불교와 유교는 종교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므로 종교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불교에서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따르지만 석가모니를 절대자로서 숭배하지는 않는다. 어떤 사람이나 중생이라도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따라 깨달음에 도달한다면 누구나 부처(Buddha: 깨달은 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불교 사상의 핵심이다. 이러한 불교 사상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유명한 비유가 두 가지 있다.

 

첫째는 견지망월(見指望月)인데, 능엄경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어떤 사람이 손으로 달을 가리켜 다른 사람에게 보인다면, 그 사람은 당연히 손가락을 따라 달을 보아야 하는데, 여기서 만일 손가락을 보고 달 자체로 여긴다면, 그 사람은 어찌 달만 잃었겠느냐. 손가락도 잃었느니라. 왜냐하면 가리킨 손가락을 밝은 달로 여겼기 때문이다.“ 손가락은 달을 보기 위한 수단인데, 달은 보지 않고 손가락만 바라본다면 그는 어리석은 사람이다. 불교에서는 석가모니의 가르침도 하나의 수단으로 간주할 뿐이다.

 

둘째는 뗏목의 비유로서 백유경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뗏목을 이용하면 이쪽 언덕(차안:此岸)에서 저쪽 언덕(피안:彼岸)으로 갈 수 있느니라. 그러나 피안에 도착하면 뗏목은 당연히 버려야 하느니라.” 만일 뗏목이 고맙다고 뗏목을 지고 간다면 그야말로 어리석은 사람이 될 것이다. 중생이 피안에 도달하면, 곧 깨달음에 이르면 불교의 가르침마저도 버려야 한다는 뜻이다.

 

유발 하라리의 주장에 따르면 불교는 절대자를 믿는 기독교와는 달리 자연 법칙을 믿는 종교다. 불교의 믿음의 대상이 되는 자연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눈에 보이는 물질계다. 가시적인 자연은 관찰과 실험의 대상이 되며 물리법칙이 적용되는 세계다. 둘째는 보이지 않는 의식계다. 이것은 두 눈으로는 보이지 않으며 내면의 세계 또는 마음의 세계다. 마음으로 의식되는 세계다.

 

유발 하라리는 역사학자다. 그러나 그는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를 공부하고 이해한 것 같다. 그는 물질계의 법칙은 E=mC2 이고, 의식계의 법칙은 “고통은 집착에서 생긴다.”라는 명제라고 주장했다. 고통이나 집착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마음에 존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물질계의 법칙은 공부해서 이해하면 된다. 그러나 의식계의 법칙은 알기만 해서는 부족하다. 모든 고통의 원인이 집착인데, 마음을 훈련시켜 집착을 버려야 고통이 사라진다.

 

기독교는 예수를 믿으면 죄에서 구원을 받는다고, 쉽게 말하면 행복해진다고 가르치는 종교다. 그러나 불교에는 죄의 개념이 없다. 굳이 죄에 해당하는 개념을 찾자면 어리석음이다. 진리를 깨닫지 못한 어리석음이 기독교의 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어리석음은 고통을 유발한다. 불교는 죄에서 구원받는 것이 목표가 아니고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이 목표다. 어떻게 보면 불교는 매우 소극적인 종교다. 적극적으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고 소극적으로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을 추구한다.

 

내가 이해하기로는, 기독교는 기본적으로 신의 존재를 믿는다. 신은 이 세상 모든 존재의 근거가 된다. 그러나 불교는 기본적으로 마음의 존재를 믿는다. 모든 집착과 고통이 존재하는 곳이 마음이다.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들어내는 결과물이다. 유식하게 한자로 표현하면 제법일체유심조(諸法一切唯心造)다. 그렇지만 초등학생도 알기 쉽도록 표현하면 “이 세상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렸다.”이다.

 

호텔에서 간단한 아침 식사를 마친 후에 지애 보살과 함께 택시를 타고 청전스님을 방문헀다. 스님은 다람살라 사원에서 조금 내려가서 산비탈에 있는 2층 집에 월세방을 얻어서 살고 있다. 스님은 구수한 전라도 사투리로 반갑게 우리를 맞아 주셨다. 내가 전주가 고향이라고 하자 스님이 자기소개를 한다.

 

스님은 72학번으로 전주교대를 다니다가 유신반대 운동을 한 운동권 출신이었다. 신부가 되고자 광주에 있는 가톨릭신학교에 들어갔다. 어느 날 도서관에서 선가귀감이라는 책을 읽고 그동안 품어왔던 철학적인 의심이 사라졌다. 신학교 3학년 때에 처음으로 구산스님을 만났는데 자기를 보더니 “학생은 전생에 천축국 고행 스님이었구만”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 뒤 구산 스님을 은사로 모시고 1977년에 출가를 했다. 한동안 법정스님을 모시기도 했단다. 1987년에 다람살라에 왔으니 올해로 23년째 다람살라에 살고 있다. 41살 되던 해에 티베트에 있는 성산(聖山) 카일라스를 걸어서 순례를 했는데, 그 때의 느낌과 결심을 평생 지니며 살고 있다고 한다.

 

카일라스 산은 티베트 고원 서부에 위치하는 해발 6,638m의 우뚝 솟은 봉우리이다. 불경에서는 수미산이라고 칭한다. 정상이 항상 눈에 덮여 있으며 불교, 뵌교(티베트의 토착 종교), 힌두교, 자이나교의 성지이다. 순례로를 따라 둘레를 일주하는 거리는 52km이다. 여러 종교의 성지이므로 등반이 금지되어 있다고 한다.

 

 

달라이 라마는 어떻게 만났느냐고 물어보았다. 청전 스님은 한국에서 여러 큰 스님을 만나서 질문을 했는데 명쾌한 답을 구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서 다람살라에 왔단다. 미리 11가지 질문을 준비해 왔는데 달라이 라마는 자기가 묻고자 하는 질문을 이미 알고 있더란다. 달라이 라마를 만나 모든 의문이 사라지고 그를 스승으로 모셨다고 한다.

 

청전 스님은 가끔 한국을 방문하는데, 실망을 많이 하신단다. 달라이 라마의 생활에 비하면 한국의 스님들은 너무 잘 산다는 것이다. 청전 스님은 “참 종교인은 적게 먹고, 금욕하고 단순하게 살아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나는 순간적으로 “그렇게 사는 삶이 환경적으로 사는 삶인데요.”라고 말하고 싶었지만 참았다. 종교적으로 산다는 것은 환경적으로 산다는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고 나는 주장해왔다.

 

대화중에 탈핵 이야기도 나왔다. 월정사에 계셨던 탄허 스님은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이 있었다고 한다. 탄허 스님은 장래에 지구가 핵무기 때문에 크게 망하는데, 핵무기를 가진 핵보유국부터 먼저 망할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한다. 청전 스님은 달라이 라마가 죽은 뒤에는 아마도 여생은 한국에서 보낼 것 같다. 내가 은퇴 후에 평창에 귀촌하여 산다고 하자, “이웃이구만”이라고 말씀하신다. 스님은 영월에 머물 거처를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헤어지면서 청전 스님은 “애인 사진을 선물로 주겠다.”고 말하면서 달라이 라마 사진과 간디 사진을 주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