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한글 그리고 우리말

디지털 글꼴로 되살아나는 조선 마지막 공주의 글씨

국립한글박물관, 덕온공주 친필 글꼴 개발 시작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심동섭)은 2020년 5월 15일 세종대왕 탄신 623돌을 맞이하여, 한글 문화유산의 공유와 확산을 꾀하고자 조선왕실 한글 유물 가운데 한글 궁체의 조형미를 풍부하게 담고 있는 덕온공주의 글씨를 활용하여 디지털 한글 글꼴(폰트) ‘(가칭)한글박물관 덕온체’ 개발을 시작한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옛 문헌 자료의 가치를 새롭게 되살리고 한글 글꼴의 다양성을 늘리고자 주요 소장 자료의 글씨를 복원하여 디지털 글꼴로 개발하는 사업을 진행하며, 국립한글박물관의 주요 소장품인 덕온공주 집안 한글 자료 가운데 《자경전기(慈慶殿記)》를 비롯한 덕온공주의 친필 자료가 그 첫 번째 주인공이다.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1844)는 조선의 제23대 왕 순조(純祖, 1790-1834)의 셋째 딸로서 조선의 마지막 공주이며, 어려서부터 읽고 쓰는 것을 좋아하여 우아한 한글 궁체 자료를 다수 남겼다. 또한, 덕온공주의 가례 당시의 자료와 공주의 집안이 왕실과 주고받은 편지 등 왕실 여성들의 한글 문자생활과 19세기 국어의 특성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들이 남아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 유산 667점을 수집하여, 조선 왕실 한글 자료를 가장 많이 소장한 기관 가운데 한 곳으로 자리매김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2016년과 2019년 두 차례의 기획전시(<1837년 가을 어느 혼례날>, <공쥬 글씨 뎍으시니>)와 소장자료 총서 《덕온공주가의 한글(1)》를 통해 덕온공주 집안 한글 유산들을 소개한 바 있다.

 

덕온공주의 친필 자료 중 하나인 <자경전기>에는 정조, 순조, 덕온공주로 이어지는 조선 왕실 3대의 깊은 효심이 담겨 있다. 조선의 제22대 왕 정조(正祖, 1752-1800)가 어머니 혜경궁을 섬기기 위해 창경궁에 전각 ‘자경전’을 지었고, 정조의 아들 순조는 그 뜻을 이어받아 《자경전기》를 지었으며, 덕온공주는 아버지 순조가 지은 《자경전기》를 어머니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의 명으로 한글로 옮겨 적은 것이다.

 

 

 

《자경전기》는 조선의 공주가 한 자 한 자 정성스럽게 적은 한글 자료로서, 모두 48쪽으로 이루어진 절첩 형태인데 길게 펴면 그 길이가 5미터에 달하여 한글 궁체의 조형미를 풍부하게 담고 있는 자료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자경전기》를 주축으로 부녀자가 지켜야 할 덕목이나 예절 등을 기록한 <규훈(閨訓)>, 주역(周易)의 64괘를 풀이한 <일촬금(一撮禁)> 등 덕온공주 친필 자료의 필체를 분석하고 현대 디지털 글꼴 기술로 되살려 한글의 단아한 멋을 담은 글꼴로 개발하여 무료로 나눠주려고 한다.

 

‘(가칭)한글박물관 덕온체’는 추후 국립한글박물관이 운영하는 ‘디지털한글박물관(archives.hangeul.go.kr)’을 통하여 무료로 나눠줄 예정이다.

 

국립한글박물관 심동섭 관장은 ‘박물관의 소장품을 수장고에만 남겨두기보다 한글을 사랑하는 더 많은 이들이 함께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글꼴 복원 개발 사업을 통해 한글 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하는 기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