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사진나들이

특별전 "새보물 납시었네"

국립중앙박물관, 가장 큰 규모의 신국보보물전

 

 

 

 

 

 

 

 

 

 

 

 

 

 

]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문화재청(청장 정재숙)과 함께 그동안 박물관에 수장 전시되고 있던 유물들 중에 그 값어치를 정당하게 인정 받지 못하고 있다가. 새롭게 국보 또는 보물로 인정되어 그 번호를 새롭게 받은 선조들의 예술작품들을 모아서 오는 9월 27일까지 전시중이다.

 

이번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 특별전은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동안 지정된 국보・보물 157건 가운데 이동이 어려운 건축 문화재와 중량이 무거운 문화재 등을 뺀 83건 196점을 공개하는 자리로, 국보와 보물 공개 전시로는 사상 가장 큰 규모다. 이번 전시는 기관・개인・절 등 문화재 대여 기관만 모두 34곳이나 되는 만큼 평소에 한 자리에서 보기 힘들었던, 우리 문화를 대표하는 다양한 종류의 국보와 보물이 새롭게 납시는 자리다. 전시는 ▲ 역사를 지키다, ▲ 예술을 펼치다, ▲ 염원을 담다 등 3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마침내 국보가 된 기록유산1부 ‘역사를 지키다’는 우리 역사를 살펴 볼 수 있는 다양한 기록 유산을 소개하는 공간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마침내 국보로 승격된 《삼국사기》(국보 제322-1호, 옥산서원 소장)와 《삼국유사》 권1~2(국보 제306-3호, 연세대학교 소장)를 비롯하여 조선 태조부터 철종까지 472년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호, 국립고궁박물관ㆍ국립중앙박물관ㆍ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ㆍ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등 다양한 역사기록물이 전시된다.

 

특히 실록이 지닌 위대한 값어치를 전하기 위해 실록의 편찬에서 보관,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상세히 전시장에 담았다.  조선시대 인쇄 문화의 발전을 보여주는 《송조표전총류》 권6~11(보물 제1989호, 개인 소장),  그림을 기록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한 왕실 행사 기록화 <기사계첩>(국보 제325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사대부의 얼굴이 사실적으로 묘사된 <최석정 초상 및 함>(보물 제1936호,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등이 함께 소개되어 우리나라 기록 문화의 다양성과 우수성을 선보인다.

 

보물이 된 풍속화와 실경산수화 2부 ‘예술을 펼치다’는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의 미의식이 담긴 예술품을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다. 고려 초기의 청자 제작을 보여주는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국보 제326호,  이화여자대학교 소장), 고려 상형청자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청자 투각 연당초문 붓꽂이>(보물 제1932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등 한국 도자 공예의 뛰어난 기술과 절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고려청자들도 선보인다.

 

우리 강산의 모습을 담은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와 풍속화는 우리에게 과거로의 시간여행을 안내하는 친절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실경산수화의 대가 정선(鄭敾, 1676~1759)의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보물 제1951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등에서는 시적 정취가 가득한 우리 강산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보물 제1987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에서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을 만날 수 있다. 이밖에 전체 길이가 8.5m에 달하는, 조선시대 사람들이 꿈꾸던 이상향을 그린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보물 제2029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학예일치의 경지를 보여주는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김정희 필 난맹첩>(보물 제1983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등을 선보인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여인의 아름다움이 섬세하게 묘사된 <신윤복 필 미인도>(보물 제1973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조선시대 천재 화가 김홍도의 원숙한 기량을 보여주는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보물 제1970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등 간송미술문화재단이 소장한 22건의 보물이 전시된다. 일제강점기 사재를 털어 우리 문화유산을 지켜낸 간송 전형필(1906~1962년)의 유지를 지켜가고 있는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문화재가 이처럼 한 번에 다량으로 대여 전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단,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서화류는 3주 단위로 교체전시되므로, 세부일정을 확인해야 한다.)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불교문화재의 위상3부 ‘염원을 담다’는 우리나라 국보・보물의 절반이 넘는 불교문화재의 위상을 살펴볼 수 있다. 불교는 오랜 세월 한국인과 함께 하면서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주며 문화를 풍요롭게 해준 정신적 토대였다. 사람들은 삶의 괴로움에서 벗어나 부처의 나라에 태어나기를 꿈꾸었다. 그 간절한 염원을 위해 절을 세우고 탑을 세우며 법당에 불상과 불화를 봉안하고 경전을 펴냈으며, 사리장엄구에는 개인과 왕실의 안녕을 바라는 발원자의 염원을 담았다.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보 제327호,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소장)는 백제시대 불교 신앙과 정교한 공예 기술의 극치를 보여준다.

 

불교 경전을 인쇄하기 위해 새긴 <묘법연화경 목판>(보물 제1961호, 개심사 소장), 《선림보훈》(보물 제700-2호, 충주박물관 소장)·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권3(보물 제875-3호, 달마사 소장),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권상(국보 제320호, 개인 소장) 등 불교 경전과 서적이 다수 전시되어 우리나라 불교 기록문화의 면면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고려 천수관음보살도>(보물 제2015호, 개인 소장), <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제2003호, 불암사 소장) 등 불화와 불상도 함께 소개된다. 이번 전시에는 (재)대한불교조계종 산하 9개 절이 출품에 협조하였다.

 

관객의 이해를 돕는 첨단 미디어 연출 전시장에는 관람객들이 국보와 보물을 쉽게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미디어 전시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먼저 전시실 도입부에는 본격적인 관람에 앞서 시민과 전문가로 구성된 인터뷰 영상 “보물을 생각하다”를 마련하였다. ‘국보와 보물하면 떠오르는 생각’,  ‘내가 생각하는 미래의 문화유산’이라는 질문에 대한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 신병주 건국대학교 교수, 배우 이순재 등 문화예술 전문가와 일반시민들의 생각을 담은 이 영상은 관람객들에게 문화유산의 가치와 그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1부에 설치된 ‘주제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미디어테이블은 《조선왕조실록》를 흥미로운 주제별로 직접 선택해서 검색해 볼 수 있다. 검색을 마친 자료는 물에 씻기듯 사라지는데, 조선시대에 실록 편찬이 끝나면 훗날의 시시비비를 막기 위하여 초고(草稿)를 물에 씻어 없앴던 세초(洗草) 과정을 상상해보는 효과를 주기 위한 연출이다.

 

2부에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보물 제2029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와 <심사정 필 촉잔도권>(보물 제1986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을 별도 전시하는 공간의 배경에 46억 화소로 스캔(scan)한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를 높이 3.5m 길이 32m의 장대한 크기로 펼쳐 작품에 대한 감동을 더해준다. 여기에 소리 예술가 김준이 구현한 15채널로 구성된 자연의 소리가 어우러져 마치 그림 속 강산에 직접 와있는 듯 생생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3부에서는 이번 전시 공간에 함께 소개되지 못한 국보나 보물로 새롭게 지정된 절, 누정 등 건축문화재와 대형 괘불의 영상을 상영하여 전시의 입체감을 더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모두를 위한 온라인 전시 개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확산 방지를 위한 ‘생활 속 거리두기’ 실천을 위해 이번 전시에서는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도입하여 아침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 2시간 단위로 관람인원을 200명으로 제한ㆍ운영한다. 특히, 전시장을 직접 찾지 못하는 관람객을 위해 전시 장면과 주요 전시품 등을담은 다양한 ‘온라인 전시’를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www.museum.go.kr)과 SNS에 소개할 예정이다.

 

국립중앙박물관장과 문화재청장이 직접 국보와 보물을 설명하는 영상도 공개된다. 그리고 8월 중에는 네이버 TV(https://tv.naver.com)를 통해서 전시 기획 의도와 주요 전시품 등을 소개한다. 또한 문화재청에서도 자체 선정한 주요 전시품 30건을 감상할 수 있는 온라인 전시를 21일부터 다음 갤러리(http://gallery.v.daum.net)에서 열 예정이다.국보와 보물의 궁금증을 풀어줄 온라인 강연회도 3회(7.29./8.5./8.13.) 마련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유튜브(www.youtube.com/user/koreanmuseum)에서 실시간으로 생중계할 계획이며, 평소 궁금하게 여겼던 국보와 보물에 대한 궁금증을 강사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번에 출품되는 전시품 가운데 국립중앙박물관이 선정한 전시품 10선을 온라인에서 직접 자신만의 새로운 국보와 보물로 재현해보는 ‘새 보물 패러디 참여잇기(챌린지)’라는 색다른 온라인 이벤트도 실시할 예정이다.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이 공동으로 2017년에 처음 열었던 특별전 “선인들의 마음, 보물이 되다-신국보보물전 2014~2016” 이후 두 기관이 3년 만에 힘을 합쳐 마련한 자리인 만큼 우리 문화유산의 소중한 값어치와 의미를 생각해보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힘들고 지친 사람들에게 옛 선현들의 지혜가 담긴 국보와 보물이 따뜻한 위로가 되길 바란다. 실제 전시물들은 위 사진들보다 훨씬 더 많이 있다. 나머지는 직접 가서 보는 것이 훨씬 감동적이다.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전시 보러가기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최우성 기자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