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거위배 힘쓰다 뒤보다
오늘은 4285해(1952년) 펴낸 ‘과학공부 5-2’의 63쪽부터 64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63쪽 둘째 줄부터 셋째 줄까지 걸쳐서 "우리는 어떻게 하면 동무들이 자기를 좋아하게 할 수 있을까? 라는 월(문장)이 나옵니다. 여기서 ‘자기’라는 말 빼고는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 많이 쓰는 ‘친구’가 아니라 ‘동무’라는 말을 쓰고 있습니다. 이것을 보더라도 옛날에는 ‘친구’가 아니라 ‘동무’라는 말을 두루 썼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동무’라는 말을 되살려 썼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넷째 줄에 ‘우리의 할 일’이 나옵니다. 이것도 앞서 말씀을 드린 적이 있는데 ‘과제’라는 말을 갈음해서 ‘할 일’이라고 쓰면 훨씬 알기 쉽고 좋다는 생각을 거듭 해 봅니다. 그리고 다섯째 줄에 ‘밥을 잘 씹어 먹자’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은 요즘에도 튼튼하게 지내려면 반드시 해야 할 일 가운데 하나인데 다들 얼마나 지키는지 돌아보아야 할 일이기도 하지 싶습니다.
여덟째 줄과 아홉째 줄에 되풀이해서 나오는 ‘까닭’이라는 말도 요즘에 많이 쓰는 ‘이유’라는 말을 갈음해 쓸 수 있는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해 줍니다.
열한째 줄에 ‘거위배’라는 말이 나옵니다. 요즘 ‘거위배’를 앓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 그런지 이 말을 쓰는 사람을 만나기 어렵습니다. 함께 대중말(표준어)로 함께 올라 있는 ‘횟배’라는 말도 잘 쓰지 않고 요즘 사람들은 ‘회충’, ‘회충증’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거위배를 앓다’, ‘거위배앓이’라는 말도 있으니 잘 알아두었다 알맞을 때 쓸 수 있기를 바랍니다.
63쪽 밑에서 둘째 줄에 ‘힘쓰자’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도 요즘 많이 쓰는 ‘노력하자’는 말을 갈음해 쓸 수 있는 말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줄에 “아침에 일어나는 길로 뒤보는 버릇을 붙이자.”는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어 참 반가웠습니다. 요즘 누군가 이런 뜻을 담아 말을 하고자 한다면 ‘매일’, ‘대변’, ‘습관’이라는 말을 썼지 싶습니다. 하지만 그런 말을 쓰지 않고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옛배움책이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64쪽 넷째 줄에 ‘우리의 알 일’이 나옵니다. 이 말도 ‘학습 문제’라는 말을 갈음해 쓸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일곱째 줄에 ‘어떻게 하면 녹는가?’, 여덟째 줄과 아홉째 줄에 걸쳐 있는 ‘또 그때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열둘째 줄에 ‘어떻게 만드는가?’와 같은 토박이말도 쉬운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열다섯째 줄과 열여섯째 줄에 걸쳐 있는 “날씨가 추워지면, 물이 얼어서 단단한 얼음으로 변한다.”라는 월에서 ‘변한다’를 빼면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어 좋았습니다. 이처럼 배움책에서 어떤 낱말을 쓰는가에 따라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은 그 말을 쓸 수밖에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우리 아이들이 쓰는 배움책을 쉬운 토박이말을 잘 살려 만들 수 있도록 힘과 슬기를 모으자는 말씀을 거듭 드립니다.
4354해 들가을달 서른하루 두날(2021년 8월 31일 화요일) 바람 바람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토박이말 #살리기 #쉬운배움책 #교과서 #터박이말 #참우리말 #숫우리말 #순우리말 #고유어 #거위배 #힘쓰다 #뒤보다
*이 글은 경남신문에도 보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