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높은 뫼(산)에 오르지 않아도, 왠지 오늘따라 하늘이 아주 낮게 내려앉은 듯한 날이 있습니다. 잿빛 구름이 하늘을 이불처럼 덮어 금방이라도 손에 잡힐 듯하거나, 높은 집 꼭대기를 스치고 지나가는 듯한 구름을 본 적 있으신가요? 오늘 우리가 만나볼 토박이말은 바로 이렇게 우리 곁에 가장 가까이 떠 있는 구름, "산할아버지 구름 모자 썼네"라는 노랫말이 절로 떠오르는 구름, '밑턱구름'입니다. '밑턱구름'은 그 이름이 참 재미있습니다. '밑'은 '아래'를 뜻하고, '턱'은 우리가 '문턱'이라고 할 때처럼 어떤 '살피(경계)'나 '낮은 켜(층)'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러니 '밑턱구름'은 하늘의 가장 '아래쪽 턱(경계)'에 걸려 있는 구름이라는 뜻을 담은, 참 멋들어진 이름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요? 지상 2km 이내의 공중에 있는 구름. 층적운, 층운 따위가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지상으로부터 2킬로미터 이내의 대기에 분포하는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다 '땅에서 가장 가까운 곳(2km 이내)'에 떠 있는 구름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하늘을 세 켜(3층)으로 나눈다면, 바로 첫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파란 그림종이 위에 누가 커다란 솜뭉치를 뜯어 둥실둥실 띄워 놓은 듯한 날이 있습니다. 바라만 보아도 마음이 포근해지고, 어릴 적 저 구름 위에 올라타 날아가 볼까 싶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우리에게 가장 살갑고 익은 구름의 모습, 바로 '뭉게구름'입니다. '뭉게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구름이라는 뜻입니다. '뭉게뭉게'는 연기나 구름 같은 것들이 덩어리를 이루며 잇따라 피어오르는 모습을 그린 우리의 소리시늉말(의태어)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아름다운 구름을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요? 수직운의 하나. 뭉게뭉게 피어올라 윤곽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구름으로, 밑은 평평하고 꼭대기는 솜을 쌓아 놓은 것처럼 뭉실뭉실한 모양이며 햇빛을 받으면 하얗게 빛난다. 무더운 여름에 상승 기류로 말미암아 보통 2km 높이에서 생기는데, 발달한 구름 꼭대기는 10km에 이르는 경우도 있으며 비는 내리지 않는다. 기호는 Cu. 《표준국어대사전》 수직으로 발달한 구름의 한 종류. 윗면은 둥글고 밑은 거의 편평한 덩어리 모양이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뭉게구름'은 밑바닥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물구름: 얼음이 아닌 물방울로 이루어진 구름 보기월) 저렇게 낮게 깔린 구름은 얼음 알갱이가 아니라 작은 물방울로 이루어진 '물구름'이래. 하늘에 있는 구름을 보며 우리는 온갖 것을 떠올리곤 합니다. 그런데 그 구름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아주 높은 하늘에 떠서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진 구름도 있지만, 우리에게 더 가까이 다가와 비를 뿌려주는 촉촉한 구름도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그 이름처럼 참 숨김없이 맑은 느낌을 주는, '물구름'입니다. '물구름'은 말 그대로 '물'로 이루어진 '구름'입니다. 하늘 아주 높은 곳, 몹시 추운 곳에 떠 있는 구름은 작은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지만, 우리가 흔히 보는 하늘 낮은 곳의 구름들은 거의 다 작은 물방울들이 뭉쳐서 만들어진 것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물구름'을 이렇게 풀이하고 있습니다. 얼음이 아닌 물방울로 이루어진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얼음 알갱이가 아닌 물방울로 이루어진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모두 '얼음이 아닌', '물방울'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또렷이 밝히고 있습니다. 하늘 높이 떠서 비단처럼 빛나는 '새털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드넓은 바닷가 갯벌에 물이 빠져나간 뒤 남은 얕은 물결 자국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잔잔한 큰못(호수) 위로 바람이 스칠 때 겹겹이 이는 잔물결은요? 어느 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았을 때, 마치 그 물결 모양을 그대로 본떠 하늘에 펼쳐 놓은 듯한 구름을 만날 때가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아름다운 하늘의 무늬, '물결구름'입니다. '물결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물결의 모양을 닮은 구름을 가리킵니다. 얇은 구름 조각들이 위아래로 겹쳐지거나 나란히 이어지면서 하늘 가득 잔잔한 물결이나 비늘 같은 무늬를 만들어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물결구름'을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요? 고적운이나 층적운의 하나. 물결 모양으로 위아래로 겹쳐 이어져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물결 모양으로 위아래로 겹쳐서 이어진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모두 '물결 모양'으로 '겹쳐 이어져 있다'는 점을 짚어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고적운(高積雲)'이나 '층적운(層積雲)' 같은 한자말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시지요? 이는 하늘의 높이나 구름의 생김새에 따라 구름을 나누어 부르는 이름입니다. '고적운'은 '높쌘구름'이나 '높은 뭉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비가 그친 뒤 하늘에 커다랗게 부채꼴을 그리는 '무지개'는 우리 모두 잘 알고 있지요. 하지만 맑은 날, 쨍쨍한 해 곁에 뜬 엷은 구름 가장자리가 마치 조개껍데기 안쪽처럼 맑고 아름답게 빛나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꼭 해님이 구름에 살며시 물감을 풀어놓은 듯한 그 놀라운 바람빛(풍경).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눈부신 모습을 담은 '무지개구름'입니다. '무지개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무지개'와 '구름'이 만난 말입니다. 비 온 뒤에 생기는 무지개와는 달리, 구름 제몸이 무지갯빛을 띠는 것을 말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 고운 구름을 '햇빛을 받아 무지갯빛으로 물든 구름'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무지개구름'은 해 곁에 있는 엷은 구름이 햇빛을 받아 그 가장자리부터 안쪽으로 붉은빛, 노란빛, 푸른빛, 보랏빛 등 여러 가지 빛깔로 어른어른 빛나는 모습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는 구름 속에 있는 아주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을 햇빛이 스쳐 지나가면서 빛이 휘어지고 흩어져 우리 눈에 고운 빛깔로 보이게 되는 것이지요. 예로부터 이 '무지개구름'을 보면 아주 좋은 일이 생길 낌새로 여겼다고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한여름, 맑은 하늘 한쪽에서 뭉게구름이 피어오르더니 이내 커다란 솜 뫼처럼 하늘 높이 솟구치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힘차게 솟아오르던 그 구름이 더는 올라갈 곳이 없다는 듯, 맨 꼭대기에 이르러 넓고 고르게 쫙 퍼져나가는 모습은 보기 좋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커다란 구름의 꼭대기를 가리키는 말, '모루구름'입니다. '모루구름'은 그 이름만 들어서는 어떤 모습일지 쉽게 어림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요? 적란운의 윗부분에 나타나는 모루 또는 나팔꽃 모양의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풀이에 나오는 '적란운(積亂雲)'이라는 한자말이 조금 낯설지요? '적란운'은 우리가 흔히 '소나기구름'이나 '쌘비구름'이라고 부르는, 하늘 높이 솟아올라 굵은 비나 우박, 천둥과 번개를 몰고 오는 아주 크고 무서운 구름을 말합니다. 그러니 '모루구름'은, 이 커다란 소나기구름이 자랄 대로 자라 하늘 꼭대기에 다다랐을 때, 더는 위로 솟구치지 못하고 옆으로 넓게 퍼져나간 구름의 맨 윗부분을 가리키는 멋진 우리말입니다. 그렇다면 이 구름은 왜 '모루'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을까요?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마른 흙길을 수레(차)가 씽 하고 달려갈 때, 그 뒤를 뿌옇게 따라가는 것이 있습니다. 바람이 세차게 부는 마당에서 뱅그르르 솟아오르는 것도 있지요. 꼭 하늘에 뜬 구름이 땅으로 내려앉아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듯한 모습입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땅에서 피어오르는 구름이라고 할 수 있는 '먼지구름'입니다. '먼지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먼지'와 '구름'이 만난 말입니다. 흙먼지가 마치 구름처럼 뭉쳐 떠오르는 모습을 아주 멋들어지게 그려냈지요. 말집(사전)에서는 '먼지구름'을 이렇게 풀이합니다. 구름처럼 뽀얗게 일어나는 흙먼지 《표준국어대사전》 구름처럼 공중에 퍼지는 흙먼지.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먼지구름'은 그저 바닥에 쌓인 먼지가 아니라 바람이나 사람, 짐승, 수레의 움직임 때문에 흙먼지가 마치 구름처럼 뽀얗게 뭉쳐서 일어나거나 공중에 퍼져 있는 됨새(상태)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하늘이 아닌 '땅'에서 피어오르는 구름인 셈이지요. 말꽃 지음몬(문학 작품)에서도 '먼지구름'을 찾을 수 있습니다. '먼지구름'은 어떤 움직임이 크고 힘찰 때, 그 뒤에 남는 흔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말로 즐겨 쓰였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파랗던 하늘 한쪽이 무겁게 가라앉는가 싶더니, 어느새 볕뉘(햇볕의 기운) 하나 없이 어둑어둑해질 때가 있습니다. 곧 굵은 빗방울이나 함박눈을 쏟아낼 듯 시커멓게 뭉친 구름. 우리는 이 구름을 '먹구름'이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그 뜻과 쓰임새를 찬찬히 들여다볼 자리는 적었던 '먹구름'을 새롭게 만나보려 합니다. '먹구름'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먹'처럼 검은 구름을 가리킵니다.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쓰던 시커먼 '먹'의 빛깔을 떠올리면 그 모습이 바로 그려지지요.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첫째로 "몹시 검은 구름"이라 풀이하고, 둘째로 "어떤 일의 좋지 않은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도 알려줍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역시 첫째로 "비나 눈이 내리기 전에 끼는 몹시 검은 구름"이라 하고, 둘째로 "어떤 불길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조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합니다. 두 말집(사전)의 풀이를 모아보면, '먹구름'은 그저 검은 구름이 아니라 곧 비나 눈을 몰고 올 것처럼 몹시 검고 무거운 구름이며, 나아가 우리네 삶에서 만나는 좋지 않은 일이나 불길한 낌새를 빗대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볕이 뜨겁다 못해 따가운 한낮, 문득 바람의 결이 바뀌는가 싶더니 저만치 하늘 한쪽이 거무스름하게 바뀌어 가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쨍쨍하던 해가 가려지고 둘레가 어둑해지면서 흙냄새를 실은 바람이 불어올 때, 우리는 곧 굵은 빗방울이 쏟아지리란 것을 알아챕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럴 때 딱 어울리는 '매지구름'입니다. '매지구름'은 곧 비를 쏟아낼 듯한 낌새를 지닌 구름을 가리키는 고운 우리말입니다. 우리가 흔히 '먹구름'이나 '비구름'이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하지만, '매지구름'에는 조금 더 생생한 모습과 쓰임새가 담겨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비를 머금은 검은 조각구름"이라고 풀이합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비를 머금은 거무스름한 빛깔의 구름"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두 풀이를 모아보면, '매지구름'은 비를 잔뜩 품고 있어 빛깔이 검거나 거무스름하며, 때로는 조각조각 뭉쳐 있는 구름의 모습을 그립니다. 무엇보다 갑자기 쏟아지는 소나기를 몰고 오는 구름과 아주 가까운 구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매지구름'은 왜 '매지구름'일까요? '구름'은 '구름'인데, '매지'는 무슨 뜻일까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날이든 흐린 날이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면 그곳을 떠다니는 구름이 있을 때가 많습니다. 오늘도 맑은 하늘이지만 곳곳에 구름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렇게 하늘에 떴다가 우리 마음에도 살며시 떠오르는 말, '뜬구름'을 모셔왔습니다. 우리가 '뜬구름'이라 할 때는 크게 두 가지 뜻을 담고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어떻게 풀고 있는지 찬찬히 들여다볼까요? 첫째 뜻은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하늘에 떠다니는 한 조각의 뜬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뜬구름이 떠다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둘째 뜻은 '덧없는 세상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세상사 뜬구름과 같다.(표준국어대사전) 그에게는 부귀영화와 공명도 모두 뜬구름으로 여겨졌다.(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말집(사전) 모두 '하늘에 떠가는 구름'이라는 눈에 보이는 모습과, '덧없고 허무한 일'이라는 마음속 느낌을 똑같이 담고 있지요.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말(한자에서 온 말)로 '부운(浮雲)'이나 '유운(流雲)'이 있지만, '뜬구름'만큼 그 모습과 느낌을 잘 나타내는 말도 드문 듯합니다. "뜬구름 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