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유산

조선의 토끼, 오늘날 문화코드가 되다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2023년 1월호를 펴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검은 토끼가 온다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계묘년] 새날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2023년 1월호를 펴냈다. 2023년은 간지 상 계묘년(癸卯年), 토끼의 해로 세간에서는 검은 토끼의 해라 불린다. 계묘년의 계(癸)는 물[水]을 뜻하는데, 이는 오행 가운데 검은색에 해당한다. 묘(卯)는 토끼로 봄의 지극한 양기(陽氣)를 받아 무성히 자라나기 시작하는 나무[木]의 모습을 상징한다. 이번 호에서는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기대로 가득했던 조선시대의 모습을 담았다.

 

<수궁가> 속 토끼가 이어주는 과거와 현재

 

<한국 문화코드로서의 토끼 상징>에서는 전통시대 토끼가 갖는 의미를 이야기한다. 토끼는 다산과 풍요, 부활을 상징하는데 특히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는 “달의 정령”으로 도교적 신선 사상과 직결된다.

 

문화코드로서 동물상징에 관해 연구해 온 김이은 박사는 토끼의 간 이야기로 유명한 <수궁가>를 통해 문화적 맥락을 살핀다. 우화 형식은 풍자와 유머를 표현할 수 있는 장치였고, 판소리라는 스토리텔링으로 적용되었다. 최근 한국관광공사의 한국 홍보영상 '필 더 리듬 오브 코리아(Feel the rhythm of Korea)’에 바로 이 수궁가 코드가 숨어있다. 곧 토끼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역사적 이미지를 공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토끼전>, 시대를 관통하다

 

<얄미운 토끼, 요설을 펴 용왕을 우롱하다>에서는 <토끼전>의 위트와 흥이 조선에서 어떻게 이목을 끌었는지 살펴본다. <토끼전>이 인기였던 19세기 조선은 봉건 체제의 부조리와 지배층의 부패가 극심해진 상황이었다. 고은임 박사는 <토끼전>에 대해 현실을 사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생생하게 인간과 사회를 인식하며 실체적 삶을 포착하여 당대 인기를 누렸다고 평가하고 있다. 자라가 생명을 착취하면서도 성실하고 반듯한 이미지를 고수할 수 있는 지배층의 세련과 기만을 보여주었다면, 토끼는 긍정적이거나 선량하기만 할 수 없는 서민의 현실을 보여주었다.

 

새해에는 썰매도 타고 마당놀이도 보고

 

이 밖에도 웹진 담(談)에서는 새해에 대한 다양한 뒷이야기를 다룬다. <변방의 새해>에서는 변방 갑산에서 새해를 맞은 노상추가 동료들과 썰매를 타며 시간을 보냈던 일화를 웹툰으로 만나볼 수 있다. <새해에도 공연을 봅니다>에서는 새해에 가족들과 함께 꼭 마당놀이를 보러 갔던 작가의 일화와 함께 관객을 무장해제 시키는 마당놀이의 매력을 소개한다. <객사 벽서 사건>에서는 1월 1일 망궐례를 치르는 객사에서 한 도령이 산비에게 보내는 연서가 벽보로 붙어 있던 사건을 명랑하게 풀어낸다.

 

 

웹진 담(談) 1월호는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누리집(http://story.ugyo.net/front/webzine/index.do)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