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조선 후기 국가의 발전과 부흥을 위한 개혁과 개방의 방법론이 담긴 《박제가 고본 북학의》를 비롯해 「구례 화엄사 벽암대사비」, 《대혜보각선사서》, 《예기집설 권1~2》, 《벽역신방》,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강화 전등사 명경대」,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청동정병」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 예고하였다. (모두 9건) 《북학의》는 박제가(1750~1805년)가 1778년 청의 북경을 다녀온 뒤, 국가 제도와 정책 등 사회와 경제의 전 분야에 대한 실천법을 제시한 지침서다. 이 책은 내외편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내편은 각종 기물과 장비에 대한 개혁법을, 외편은 제도와 정책에 대한 개혁안을 소개하고 있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되는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박제가 고본 북학의》는 작성 시기가 초기본에 가장 가깝고, 박제가의 친필 고본(稿本)이라는 점이 분명하여 값어치가 탁월하다. 이 책은 이후 다른 사람이 옮겨 베껴 쓰는 다양한 형태의 필사본의 저본(底本, 옮겨적을 때 근본으로 삼는 책)이 되었고, 편차 및 내용의 기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과 함께 제주(7.4~7.22.)를 시작으로 경주(9.12.~10.3.), 순천(9.12.~10.3.), 고창(10.2.~10.22.)에서 「2025년 세계유산축전」을 순차적으로 연다. 2020년 시작돼 올해로 6회를 맞이하는 「세계유산축전」은 우리나라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값어치와 의미를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국가유산청의 대표 활용 사업으로, 지난해까지 195만 3천여 명의 관람객이 세계유산축전을 즐겼다. 「2025년 세계유산축전」에서는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경주역사유적지구, 선암사와 순천 갯벌, 고창 고인돌과 갯벌 등 세계유산만의 독특한 매력을 만날 수 있는 풍성한 프로그램들을 만나볼 수 있다. 4개 도시에서 펼쳐지는 세계유산의 향연 제주(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서는 오는 7월 4일부터 22일까지 ‘Age of Inheritance-계승의 시대’를 주제로, 자연유산의 웅장함을 온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생성 과정을 따라 걷는 ‘불의 숨길, 만 년의 시간을 걷다’ 걷기여행(워킹투어)(7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지리산국립공원경남사무소(소장 김종식)는 지리산 천왕봉에서 최소 800년 이상 자리를 지켜왔던 지리산 성모상(聖母像)이 지역주민의 힘으로 새롭게 조성·복원되었다고 밝혔다. 지리산 성모상은 고려 태조의 어머니 위숙왕후, 석가모니의 어머니 마야부인, 또는 지리산 산신으로 여겨지며 오랜 세월 동안 영호남 주민들의 마음속에 천왕봉의 상징으로 자리해 온 지리산 대표 향토문화 자원이다. 성모상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188년 《고려사》에 등장하며, 이후 김종직 등 조선시대 문인들의 《지리산 유람기》와 조선전기 관찬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다양한 고문헌에도 남악 지리산 최고봉에 모셔진 호국신앙의 상징으로 기록하고 있다. ※ 김종직의 《유두류록》(유람일 1472년 8월) 중에서 : 이른바 ‘성모’는 석상인데, 눈과 눈썹, 그리고 머리 부분에 모두 색칠을 해 놓았다. 목에 갈라진 금이 있어 그 까닭을 물으니, “태조께서 인원에서 왜구를 물리치던 해에 왜구들이 이 봉우리에 올라 칼로 석상을 쪼개고 갔는데, 후세 사람들이 다시 붙여놓았다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성모상이 갑작스럽게 분실 되었고, 이후 천왕성모를 제자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