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신협중앙회(회장 김윤식, 이하 ‘신협’)와 함께 9월 2일 낮 2시 덕수궁 중명전(서울 중구)에서 천연기념물 「독도 천연보호구역」의 보호기금을 위한 <2025 국가유산 보호 어부바 후원약정식>을 진행한다. 지난해 9월 국가유산청과 신협은 후원약정을 체결하면서 ‘국가유산어부바적금’ 1년 동안의 판매 목표액인 1천억 원을 달성해 마련한 10억 원(매출액의 1%)을 국가유산 보호기금으로 후원했고, 약정과 별도로 지원한 1억 5천만 원의 후원금으로 무형유산 전승 공간을 개선하고, 창덕궁 관람서비스를 개선한 바 있다. 이번 행사는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추가 후원을 약정하는 자리다. 올해 후원약정의 주요내용은 ▲ 광복 80돌을 기념하여 2차 출시되는 ‘국가유산어부바적금’(금융상품) 매출액의 일부(1%)인 약 10억 원 안팎을 국가유산 보호기금으로 추가 후원하고, ▲ 이 기금을 천연기념물 「독도 천연보호구역」의 역사문화공간을 정비하고, 생태계를 보호하는 데 활용하는 내용이다. 후원기금은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직무대행 김홍신)에서 위탁받아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후원약정을 통해 정비되는「독도 천연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8월 30일 아침 9시 30분부터 가상 융합 세계(메타버스) 승강장(플랫폼)인 ZEP(https://zep.us/play/DvNJlr)에서 국내외 청소년과 대학생 180명을 「2025년 디지털 국가유산 홍보대사」로 뽑아 발대식을 연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와 민관협력을 통해 올해로 8기를 맞이하는 「디지털 국가유산 홍보대사」는 한국 문화와 한국 유산에 대한 정보가 잘못 알려지지 않도록 온라인 홍보 콘텐츠를 제작하고 전 세계로 전파하여 우리 유산의 값어치를 바르게 알리는 활동을 하게 된다. 뽑힌 홍보대사들은 오는 9월 30일까지 한 달 동안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 ‘우리 유산 이름 그대로 쓰기’ 캠페인 홍보 콘텐츠 및 국가유산 소개 콘텐츠 제작, ▲ 한국 유산 관련 왜곡정보 시정활동 등 우리 유산 홍보 활동을 온라인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활동이 끝난 뒤에는 우수활동자 70명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며, 연말에는 최우수 활동자 1명을 뽑아 표창장도 수여할 계획이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소장 황인호)는 부여군(군수 박정현)과 함께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부여 쌍북리 일대에서 ‘부여 관북리유적 18차 유구분포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쌍북리가 관북리와 더불어 백제 사비기의 핵심 지역이었음을 보여주는 성토층과 함께, 덜 관련 유물들이 확인되어 이 지역에 백제 사비기의 절이 있었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번 유구분포조사에서는 ▲ 부소산 끝자락과 연접한 3-1구역(30,523㎡) 북쪽에서 풍화된 암반층 위에 인위적으로 약 1m 높이로 흙을 켜켜이 쌓은 성토층을 확인하였다. 당시 왕궁과 같이 중요 건물을 축조할 때 사용된 전형적인 백제의 수평성토 판축기법이 적용된 것으로, 이 일대에 중요 건축물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이다. 그동안 부여에서 이와 같은 수평성토 기법이 적용된 사례는 부여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이 대표적이다. * 수평성토 : 지표면을 평평하게 만들기 위해 흙을 일정한 높이로 고르게 쌓는 방식 * 판축기법 : 나무틀을 만들어 그 안에 흙을 여러 차례에 걸쳐 단단하게 다져 쌓는 공법 이와 함께, ▲ 조사지역 남쪽과 부여여자고등학교 동편에서는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