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명리학은 인간 운명의 이치를 탐구하는 동양 고유의 철학이다. 하지만, 이천 년 이상 연구 해온 이 명리학은 일제강점기 이후 쇠퇴했는데 이제 현시대에는 다시 합리적인 이론체계를 갖춘 동양의 미래 예측학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중이다. 이에 안승열 선생은 이 명리학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 독자들과 만나려고 한다. <편집자말> |
명리학은 인간 운명의 이치를 탐구하는 동양 고유의 철학이다. 간지로 표현된 사주에서 태어나기 전에 주어진 뭇 기운들이 현생에 어떤 길흉화복의 에너지로 나타나는지 예측하여 이로써 현생의 행복을 도모하려는 학문이다. 경험 통계에 근거하여 사주 간지를 짧게는 천여 년 길게는 이천 년 이상 연구 검토해 왔다. 사주에서 주로 인격의 운명을 감정하지만, 일부 한의사들은 체질의 운명을 감정하기도 한다.
명리학의 사상적 근거는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 형성되기 시작한 오행론이며 학문적 입지를 다진 이는 10세기 초 송나라의 서거이(호, 子平)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우리나라에는 송나라와 교역이 활발했던 고려 초에 들어왔으며 현재, 대만과 일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미국 서유럽에서도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다. 본거지였던 중국은 명리학이 사회주의 사상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까닭으로 문화혁명 때 모두 말살하였다.
우리가 지난 경험을 중시하는 까닭은 차후에 같은 일을 겪을 때 지난번보다 더 잘 대처하기 위함이다. 그렇지만, 우리 인생의 결정적인 순간은 대부분 반복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명리학의 진가는 이를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사주에서 사전에 예측하여 막상 일이 당했을 때 적절히 대처하는 데 있다. 지난 일들을 돌이켜 보면, 건강이나 대인 관계 또는 중요한 거래 등의 결과가 우리 인생 전체를 크게 좌우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일이 일어날 것을 예측할 수 있다면 우리의 인생은 더 좋은 쪽으로 많이 달라질 것 아닌가.
그러나 명리학의 예측은 경험 통계를 근거로 하는 것이니 항상 맞는 것은 아니다. 학자들은 그 적중률이 대략 60~70%, 곧 10명 가운데 6~7명은 경우 맞는다고 보고 있다. 이 같은 적중률을, 통계를 근거로 확실히 하고 싶지만, 통계를 내야 할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 사주가 큰 분류만도 모두 518,400(=12x60x12x60) 가지이며 여기에 대운과 세운을 더하고 그들 간의 상호작용까지 고려한다면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렵다. 여하튼, 사주 당사자는 자신의 특별한 수고없이 단시간 안에 위와 같은 적중률을 추구할 수 있으니, 명리학은 충분히 값어치 있는 학문이라 하겠다.
여담으로, 어떤 사주가 가장 좋은 사주일까? 통상 사주는 어느 한두 에너지가 너무 적거나 반대로 많아서 대체로 조화롭지 못하다. 간혹 오행의 에너지가 고른 사주가 있으니 이러한 사주를 중화(中和)된 사주 또는 자평(子平- 물의 평평함)한 사주라고 한다. 이는 명리학이 귀히 여기고 높이 받드는 최선이며 이러한 사주를 타고나는 것은 하늘의 복이다.
그러나 이런 사주는 그대로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현대인은 그야말로 뜬구름 같은 욕망을 이루려고 경주마처럼 뛰며 산다. 그러면 타고난 사주가 변형되고 그런 변형은 인생의 에너지를 중화로부터 멀게 한다. 그렇다. 사주 상 운명의 기운이 자평하다고 해도 살면서 이를 천박하게 만든다면 타고난 좋은 운도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 다음 연재는 ‘2절 우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