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총론의 운명관에서 “운명은 출생시 천기에 의해 출생자 인생의 길흉화복으로 예정되며, 이렇게 예정된 에너지를 사주 간지로 확인하여 감정하면 일상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 라고 정의 하였다. 이제 이 정의를 다시 종합적으로 살펴보자. 상기 정의 중 “운명은~ 예정되며”는 총론의 운명관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 있다. 다만 “출생시간”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미루어 두었다. 자평은 이를 년 월 일 시, 4개 항으로 분리하였다, 그리고 각항의 간지를 앞 절에서 상세한 자평의 사주확인법( 년주와 일주는 만세력과 유사한 책력에서 월주와 시주는 년주와 일주로부터)으로 구해냈다. 참고로, 자평 시대 이전 에는 태월(잉태한 달)까지 오주를 보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한 사주 간지 8자와 대운 등을 (각종 원리에 따라) 해석하면 운명이 예정하는 인생사 길흉화복을 알 수 있다고 가설하고 이를 간명(看命= 사주 감정)의 적중률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제, 지난 절에 알아본 사주확인법이 어떻게, 얼마나 옳은지 생각해 보자. 한가지, 그의 사주확인법에는 중요한 특이점이 있다. 그 옛날, 첫 사주인이 갑자년 자월 갑자일 자시에 태어났다고 하자. 그의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1. 사주 앱에서 확인 지난 시절에는 만세력과 명리 법칙으로 사주를 확인했지만 이제는 이들 법칙을 적용하고 음력 양력의 환산뿐만 아니라 그 밖의 편리성까지 도모한 사주앺을 이용하면 된다. 하늘도마뱀이나 원광 만세력 등의 무료 앺이 추천할 만하다. 여기에 생 년월일시, 음양력 여부, 남녀 구분을 입력하면 사주가 나타난다. 인생의 길흉화복을 보여주는 사주 확인 시 입력 사항의 오류로 사주가 바뀐다면 매우 유감스런 일이므로 입력사항은 반듯이 재확인하고 간혹 복수의 앺이나 만세력으로 확인해서 앺 자체의 신뢰성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역사적인 인물의 생애는 상당 부분 알려져 있다. 과연 그런 삶을 살 수 밖에 없었던 운명이 사주에 나타나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울 것이다. 또한 사주 공부에도 유용하다. 그러나 보통의 앺은 과거 100년 전까지 출생한 사주만 가능하다. 참고로 ‘강헌의 좌파 명리학’이라는 유료 앺에서는 AD 1000년 이후 출생한 인물의 사주를 확인할 수 있다. 2. 만세력과 명리 법칙을 적용한 확인 이제, 앺이 없던 시절의 사주가들이 적용해온 사주 확인법을 알아보자. 이 확인법을 알아야 사주 여덟 글자의 진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고려 말 명나라로 부터 수입한 대통력을 세종 때 우리의 지리에 맞게 개편하여 칠정산이라 했다. 정조 때 다시 천세력(千歲曆)으로 개편하고, 조선 말 고종 때 만세력(萬歲曆)으로 다시 보완하였다. 이들 사이에도 여러 역서가 있었으나 중요한 것만 언급하였다. 이 역서들은 음력에 절기의 역법을 더한 소위, 태양태음력으로 간지와 숫자를 병기하였다. 이 같은 방식으로 일년을 한 페이지에 담을 수도 있었으니 한 권에 백년 분의 시간도 기술할 수 있었다. 만세력 읽는 법 위 만세력의 오른쪽 그림은 순조 27년 책력 중 필요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①큰 글씨로 순조 27년을 정해년이라 하였다. 순조는 1800년 즉위하여 1801년이 원년이니 순조 27년은 1827년이다. ②正月大란 음력 정월이 큰 달이라 30일까지 있다는 것이고 ③그 밑에 丁/酉亥丑은 1월1일은 정축일(오른쪽부터 읽음), 11일은 정해일, 21일은 정유일이라는 것이다. ④이어서 확인할 사항은 절기이다. 十一日 丁亥 丑正三刻 立春이라 표기되어 있는데 1월11일이 정해일 丑正三刻(주1 참고)에 입춘 절입이 있다는 말이다. 사주상 입춘 절입은 매우 중요하다. 명리학의 새해는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