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8.9℃
  • 구름많음강릉 31.9℃
  • 구름많음서울 29.9℃
  • 흐림대전 28.3℃
  • 흐림대구 29.1℃
  • 흐림울산 27.4℃
  • 흐림광주 26.7℃
  • 흐림부산 26.1℃
  • 흐림고창 26.5℃
  • 흐림제주 24.0℃
  • 구름많음강화 25.0℃
  • 흐림보은 27.6℃
  • 흐림금산 27.2℃
  • 흐림강진군 24.4℃
  • 흐림경주시 30.3℃
  • 흐림거제 25.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나라와 시대를 넘나드는 첼로 음악의 진면목

첼리스트 김도연 독주회, 6월 11일 예술의전당 인춘아트홀서
프랑스와 독일, 러시아 특징이 담긴 다채로운 첼로 음악 선보여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첼리스트 김도연이 2022년 귀국 독주회 이후 약 2년 만에 국내에서 관객들을 만난다. 미국 오션 카운티 대학교와 마운트 세인트 빈센트 대학교 겸임교수, Luzerne Music Center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단테데오 트리오 첼리스트, 워싱턴 챔버 오케스트라 부수석, Eastern Connecticut Symphony Orchestra 객원 수석으로 활동하고 있는 그녀는 오는 6월 11일, 예술의전당 인춘아트홀에서 그동안의 성장을 음악으로 표현한다.

 

드뷔시와 베토벤, 프로코피에프의 첼로 소나타로 구성된 이번 독주회는 프랑스와 독일, 러시아의 국가적 특징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드뷔시의 인상주의적 언어는 베토벤의 고전적 스타일과 프로코피에프의 현대적 언어와 대조되어 관객들은 다채로운 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세 시대를 아우르는 첼리스트 김도연의 넓은 스펙트럼과 다채로운 매력을 확인할 수 있다.

 

 

1부는 드뷔시와 베토벤의 작품으로 대조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첫 곡으로 선보일 드뷔시의 첼로 소나타 L. 135는 그가 말년에 작곡한 3개의 소나타 가운데 유일한 첼로 작품이다. 이 곡을 쓸 당시 프랑스는 제1차 세계대전 중 독일의 침략으로 피폐해졌으며 드뷔시는 암에 걸려 육체적, 정신적으로 쇠약해진 상태였다. 이러한 악재 속에서도 드뷔시는 예술가의 사명과 나라의 위대함을 표현하고자 이 곡을 만들었다. 프랑스의 귀족적이면서도 환상적인 선율이 두드러진다. 프랑스 문화의 자존심을 세우고자 했던 드뷔시의 애국심은 고조된 감정과 인상적인 색채로 표현되고 있다.

 

이어지는 베토벤 첼로 소나타 3번은 악기 사용에 있어서 그의 대담성을 엿볼 수 있는 곡이다. 작품의 첫 시작이 첼로 솔로로 시작되는 것, 음역의 확대, 첼로 고유의 기능 발휘, 원숙한 기교, 자유로운 피아노 용법 등에서 첼로의 음색과 질감을 탐구하고자 했던 베토벤의 열정을 확인할 수 있다. 두 악기의 정교한 대위법적인 처리는 첼리스트 김도연의 섬세한 음악성을 더욱 빛나게 하며 투철한 에너지가 드뷔시와는 또 다른 긴장감을 자아낸다.

 

2부에서는 프로코피에프 첼로 소나타 Op. 119로 현대적인 음악을 선보인다.

 

프로코피에프는 강렬한 색채와 실험적인 가능성을 추구했던 러시아 작곡가다. 극도의 단순성과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형식, 불협화음은 긴장의 연속이다. 특히, 첼로의 최저음과 최고음을 써서 극단적인 음향 대비를 시도하고 있으며 가장 낮은 음에서는 프로코피에프의 암울하면서도 저항적인 내면을 확인할 수 있다. 첼리스트 김도연은 고전주의 양식에 더해진 동적인 리듬, 화려한 선율을 연주함으로써 확실한 존재감을 나타낸다. 또한 현대음악으로 향하고 있는 프로코피에프의 독특한 색채는 그녀의 성장을 투영한다.

 

 

첼리스트 김도연은 “시대를 아우르는 작품을 연주하는 것으로 다양한 음악적 스타일과 해석을 선보이고 싶다.”라며 “특히 베토벤과 프로코피에프 소나타는 학부 시절 Yehuda Hanani 교수님과 함께 공부하며 느꼈던 열정과 초심을 떠올리게 한다. 첼리스트의 열망과 에너지가 관객들에게 인상 깊게 남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주최사인 아투즈컴퍼니는 “인상주의 음악과 고전의 서술적 이야기, 그리고 음악의 혁신을 이룰 수 있었던 요소를 연주로 선보이는 것은 첼리스트 김도연의 성장과 다짐을 의미한다. 이번 독주회를 통해 그녀의 깊은 음악성은 물론, 첼로 음악의 매력을 다방면으로 감상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첼리스트 김도연은 신시내티 음악대학 학사, 이스트만 음악대학 석사, 신시내티 음악대학 박사학위를 전액 장학생으로 받았으며 Attempo Chamber Orchestra 수석, Queen City Chamber Orchestra 부수석, 코원필 오케스트라 객원수석, 밀레니엄 심포니 오케스트라 객원 부수석, Midland Symphony Orchestra 단원을 지낸 바 있다.

 

현재 미국에서 오션 카운티 대학교와 마운트 세인트 빈센트 대학교 겸임교수, Luzerne Music Center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으며 Berkshire High Peaks Music Festival의 실내악 지도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단테데오 트리오 첼리스트, 워싱턴 챔버 오케스트라(WCO) 부수석, Eastern Connecticut Symphony Orchestra 객원 수석, The Paterson Music Project(El Sistema/저소득층 꿈나무 오케스트라), New Jersey Symphony Orchestra 첼로 강사와 예술가, New York Artists International Competition 심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한편 ‘김도연 첼로 독주회’ 입장권은 인터파크티켓을(https://tickets.interpark.com/goods/24006657)을 통해 예매할 수 있으며 공연에 관한 문의는 아투즈컴퍼니(070-7757-0300)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