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월정사성보박물관(관장 해운)은 사명대사의 월정사 중수 435돌을 기려 특별전 <사명당 유정 대선사, 선필(禪筆)로 만나다>를 7월 12일부터 오는 10월 19일까지연다. 이번 전시는 조선 중기 고승이자 승병장, 외교 사절, 서예가로 활동한 사명당 유정(惟政, 1544~1610) 대선사의 삶과 정신세계를 대사의 선필(禪筆)을 중심으로 조명하는 자리다. 사명대사는 오대산에 주석하며 폐허가 된 월정사의 중창불사(1587~1590)를 주도하고, 오대산 사고 건립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를 통해 오대산과 월정사는 수행과 신앙의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 시기에는 스승 서산대사와 함께 승병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했으며, 전후에는 일본과의 평화 교섭을 주도하는 외교 사절로 활동했다. 이러한 행적을 통해 사명대사는 무(武)와 문(文), 수행과 실천을 아우른 조선 불교의 대표적 선승(禪僧)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별전에 출품되는 전시유물은 사명대사의 모습이 담긴 진영, 지니고 다니신 것으로 전하는 원불(願佛,사사로이 모시며 소원을 비는 부처), 대사의 글이 담긴 전적과 현판을 비롯하여 친필과 영인된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사계절 변하지 않는 푸른 소나무의 매력을 작품으로 구현하여 역경 속에서도 굽히지 않는 지조의 상징을 마음속에 새기며 삶에 위안을 얻고자 소나무 작가로 활동하는 조경 작가는 2025년 7월 9일(수) ~ 9월 12일(금)까지 "영혼의 울림-소나무" 타이틀로 경기도 평택 소재의 조경갤러리에서 개관전을 진행한다. 전국의 오래된 소나무를 찾아 숨겨진 이야기를 찾고 지역의 문화로 자리 잡은 배경을 미술 작품으로 해석하여 우리 삶의 희로애락을 담아내려 노력했다. 전시 중인 "영혼의 울림-문경 대하리 소나무" 작품은 달빛으로 밝은 밤하늘 아래 솔잎은 서리 맞은 듯 하얗게 반짝이는 풍경이 우아하고 신비스러워 오랫동안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아름다움에 반한 감성 그대로 캔버스에 옮겨 많은 사람들과 공감하기를 원했으며, 햇빛 받은 한낮의 소나무가 아닌 밤에도 소나무는 빛이 난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다. "영혼의 울림-예천 석송령" 작품은 나이가 600년 넘은 소나무로 현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으며 세금을 납부하는 나무로도 알려져 있다. 무수한 세월만큼 자유롭게 휘어진 거대한 소나무 형태는 높고 넓게 퍼져있어 멋진 풍광을 연출한다.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춘천문화재단(이사장 박종훈)과 노원문화재단(이사장 강원재)이 공동 기획한 신진예술인 교류 전시 《엉겨버린 감각들》이 7월 12일(토)부터 30일(수)까지 춘천 ‘문화공간 역’과 노원 ‘경춘선숲길 갤러리’에서 동시에 열린다. 이번 전시는 지난 3월 두 기관이 체결한 문화·예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의 첫 공동 사업으로 기획됐다. 두 기관은 과거 경춘선 철도로 연결됐던 두 지역이 이제는 문화예술을 매개로 새로운 교류와 협업을 이어간다는 의미를 담아, 신진 예술인의 협력 기반을 함께 조성해 왔다. 춘천과 노원의 신진 예술인들은 ‘엉김’을 열쇠말로, 서로 다른 감각과 작업 세계가 만나는 과정을 전시로 선보인다. 참여자들은 단순한 교류를 넘어, 연구회와 온라인 협업 등을 거치며 각자의 결을 유지하면서도 서로의 감각에 응답하며 작업을 확장했다. 이러한 과정은 숲속 덩굴이 자라는 듯 자연스럽게 얽히고 연결되는 풍경으로 구현돼, 관람객에게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강원대학교, 국민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소속의 신진 작가 9명이 참여하며, 춘천 문화공간 역에는 김은서, 김주은, 신유진, 이상민, 임유진 작가의 작품이, 노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