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12월 4일 저녁 7시 경기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17. ‘정조테마공연장’에서는 <칼검(劍)ㆍ춤무(舞)> 화성행궁(華城行宮) 봉수당(奉壽堂) 검무(劍舞) 찾기 그 두 번째 걸음 공연이 열린다. 진짜 조선 정조의 꿈이 깃든 춤. 230년 전,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기념해 화성행궁 봉수당에서 '진찬'이라 불린 큰 잔치를 열었다. 그날 무대에 처음 오른 춤이 바로 검무(劍武)다. 《원행을묘정리의궤》에는 칼춤을 추는 두 여인의 그림과 함께 검劍무舞'라는 이름이 또렷이 남아있다. 조선 왕실 공식 기록에 이렇게 명확히 남은 검무'는 이때가 유일하다. 이 춤은 단순한 칼춤이 아니라, 정조가 효심ㆍ무예ㆍ왕권ㆍ민심의 조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준 상징적인 무대였다. '검무'는 곧 정조가 꿈꿨던 새로운 시대의 지도력 선언이었다. 또 정조에게 화성은 각별한 도시였다.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옮긴 곳이자, 새로운 정치 중심지로 삼고자 한 자급자족의 도시였다. 화성행궁에서 열린 진찬과 검무 공연은 왕실과 백성, 상인, 유생, 군사들이 함께한 통합의 무대였다. 정조는 실용적 통치를 추구한 군주로, 《무예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11월 27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260 명륜프라자. 지구인아트홀에서는 연극 <인간탈피>가 열린다. 2021년 공연예술창작산실 대본공모에서 우수작으로 뽑힌 <인간탈피>가 강렬한 그림자와 빛, 다채로운 안무와 음악, 괴기한 분장과 의상으로 무대에 오른다. 연극 <인간탈피>는 인간성을 상실한 이들이 인간으로 남고 인간성을 지켜낸 자들이 개구리가 되는, 역설적이고 기묘한 세계를 ‘변신 동기’로 그려낸다. 인간을 인간이게끔 하는 본질은 무엇인가. 그것을 잃어버렸을 때 우리는 어떤 비극과 마주하게 되는가. 모티브는 섬뜩한 알레고리를 통해 우리 사회에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개구리가 될 것인가, 인간으로 남을 것인가. 질문과 대답 모두 우리 시대의 우화이자 은유이며 실재다. 룽연진은 유정 역에 박혜림, 재희 역에 조새연, 오빠 역에 황인덕, 엄마 역에 안꽃님, 아빠 역에 임형택, 사장 역에 오현우, 팀장 역에 정빈, 주민센터 직원 역에 강우정, 민원인 역에 양해광, 후배 역에 조성준, 개구리 역에 민정은ㆍ조수인이 무대에 오른다. 제작진은 작에 지강숙, 연출에 남동훈, 음악감독에 엄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오는 11월 29일 밤 8시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는 장린의 <더블베이스 독주회>가 열린다. 콘트라베이스(영어: double bass, 이탈리아어: contrabbasso)는 서양 음악에 쓰이는 활을 사용하는 악기 가운데서는 가장 크기가 크고 가장 낮은 음역을 가진 현악기로 그 특별한 소리는 클래식 음악에 깊은 감동을 전달한다. 콘트라베이스는 다른 현악기와 마찬가지로 오른손은 활을 이용해 연주하거나 줄을 튕겨 소리를 내고(피치카토), 왼손은 지판을 짚어 음정을 잡는 데 사용하고, 주로 선 자세로 연주한다. 더블 베이스는 16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단순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더블 베이스는 점점 더 발전하고 다양한 기법과 연주 스타일이 등장하였다. 초기에는 단순한 박자와 화음으로만 연주되었지만, 시대가 변함에 따라 더블 베이스의 역할과 기능이 확장되었는데 이제는 더블 베이스가 주요 주제를 연주하거나 화음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호소력 짙은 음색과 탄탄한 연주력을 바탕으로 감명 깊은 음악을 선사하는 더블베이시스트 장린은 계원예술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음악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