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697. 지금은 잊혀진 악기 향비파를 아십니까?

1697. 지금은 잊혀진 악기 향비파를 아십니까?

우리 악기 중에 현악기로 향비파가 있었습니다. 향비파(鄕琵琶)는 거문고 ·가야금과 함께 신라 삼현(新羅三絃)에 들며, 고구려의 오현(五絃)과 같은 악기입니다. ≪삼국사기≫에 “향비파는 당비파와 비슷하고 신라시대 때 생긴 것이나 누가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라고 나와있습니다. 당비파(唐琵琶)와 구분하려고 향비파라고 했으며 목이 굽은 당비파에 비하여 목이 곧아서 직경비파(直頸琵琶)라고도 합니다. 갸름하고 둥근 통에 12개의 괘(棵)를 붙이고 그 위에 5개의 줄을 얹었습니다. 통은 거문고와 같이 앞면은 오동나무, 뒷면은 밤나무를 사용하며 명주실을 5현으로 만들었는데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지요.

중국 후한(後漢)의 역사서 ≪석명(釋名)≫에 보면 “비파는 원래 호족(중국 한나라 때 신강성에 있었던 오손족)의 마상악기로 손을 밀어나가는 것을 비(琵)라 하고, 손을 당겨오는 것을 파(琶)라 하여 <비파>라 이름하였다.”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또 “교방(敎坊) 곧 가무(歌舞)를 관장하던 기관에서는 쓰는 것은 목이 굽었다.”라고 하여 당비파는 중국의 기생들이 썼던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