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729. 옛추억이 서린 피맛골이 사라지기 전 ....

1729. 옛추억이 서린 피맛골이 사라지기 전 ....
조선시대는 양반과 서민이 분명히 구분되던 시대였습니다. 그래서 서민들은 종로에서 높은 벼슬아치를 만나면 가던 길을 멈추고 바닥에 납작 엎드려 그들이 지나가길 기다려야 했습니다. 그러자니 오죽 힘들었을까요? 그래서 그들이 꾀를 낸 것은 종로 양쪽에 나 있는 좁은 골목길로 피해 다니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곧 높은 벼슬아치의 말을 피해 다닌 꼴이 되었고 그 뜻으로 골목길의 이름이 “피맛골”이 되었지요.

피맛골은 ‘서민들의 지름길’로 이용된 까닭에 자연스레 엽전 몇 닢으로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국밥집과 선술집, 목로술집 등이 많았습니다. 또 몰락한 양반들이 먹고살려고 국밥을 팔았는데 양반 체면 때문에 얼굴은 돌리고 팔뚝만 뻗어 손님에게 밥그릇을 건넸다고 해 ‘팔뚝거리’라는 별명도 붙었지요. 특히 80년 민주화 항쟁이 절정이었던 무렵에는 거리시위 때 사람들이 최루탄과 백골단을 피해 이곳으로 숨어들었고 막걸리로 분을 삭이던 애환이 서려 있어 ‘피연(避煙)골’이라고도 불렀습니다. 옛추억이 서린 피맛골이 사라지기 전 국밥을 먹으러 가보실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