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745. 과거장에 들어간 사람은 10만 명, 답안지는 3만 장

1745. 과거장에 들어간 사람은 10만 명, 답안지는 3만 장


조선시대에는 벼슬아치들을 과거로 뽑았음은 누구나 압니다. 하지만, 그 과거가 온통 부정으로 얼룩졌음을 아는 이는 드뭅니다. 먼저 과거장에 들어갈 때 예상답안지와 참고서적 등이 들어 있는 책가방 곧 “책행담”을 가지고 들어갑니다. 이는 커닝의 고전적인 방법이지요. 그래서 이수광의 ≪지봉유설≫을 보면 과거장이 마치 책가게 같았다고 합니다. 또 과거장에 들어가는 사람 중 실제 답안지를 내는 사람은 턱없이 적습니다. 예를 들면 정조 24년에 치른 과거는 10만 명 정도가 들어가 답안지는 3만 명만 냈다고 하지요. 그 까닭은 무엇일까요?

응시생인 양반집 자제들은 과거장에 여러명의 조수를 데리고 들어가는데 글을 짓는 “거벽”, 글씨를 써주는 “서수”가 따라 들어갑니다. 과거를 보는 사람은 손도 까닥 안고 대리시험을 보게 하는 것입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좋은 자리를 먼저 잡고 답안지를 다 쓰면 폭력을 써가면서까지 답안지를 대신 내주는 “선접군”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먼저 내려고 폭력까지 쓰는 까닭은 수만 장의 답안지를 며칠 안에 다 봐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실제로는 답안지 앞부분만 보거나 앞에 낸 수백 장만 채점하는 일이 벌어지기 때문이었습니다. 이를 보면 조선시대 과거는 진짜 일꾼을 뽑는 것이 아니라 소수 힘 있는 가문의 벼슬 독점을 위한 마당이었던 것이지요.


참고 : ≪조선의 뒷골목 풍경≫, 강명관, 푸른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