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곡 이야기를 하다가 잠시 시조 이야기로 흘렀다. 향제시조의 한 갈래인 충청 지방의 <내포제시조>이야기도 했고, 이어서 <시조에 명창없다>는 말이 무슨 뜻인가를 설명하면서 시조의 일반적 이야기도 잠시 하였다. 이번 주에는 가곡, 시조와 함께 정가(正歌)에 포함시키고 있는 가사(歌詞)이야기를 잠시 해 보기로 한다.
남창 가곡의 예능보유자인 김경배 명인의 아호가 소하(韶荷)이다. 그가 이번에 가곡이 아닌 12가사 전곡을 한 장 음반으로 담아냈다고 해서 화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필자는 축하의 의미를 담아 축사를 보내면서 그 일부를 여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지금은 서초구 우면동에 자리 잡고 있는 국립국악원이 1950~60년대 말까지는 종로구 운니동 비원 앞에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니까 1960년대 말, 지금의 국립극장이 서 있는 장충동 남산 중턱으로 옮겨가기 전까지가 운니동 시대이다. 이 당시 국립국악원은 일반 시민들을 위한 월례국악강습회를 10~15일간 치른 다음, 반드시 국악감상회를 원내의 작은 공연장에서 열곤 하였는데, 그 공연장의 이름이 바로 춤일(佾), 풍류소(韶)의 일소당이었다.
무대에 오르는 단골 프로그램들은 거의 정해져 있었다. 첫 곡은 합주음악으로 ‘보허자(步虛子)’나 ‘수제천(壽齊天)’과 같은 궁중음악이 연주되었고, 다음으로는 ‘춘앵무’나 ‘무고’와 같은 궁중무용이 이어지거나, 아니면 가곡이나 가사, 시조와 같은 정가류의 노래들이 소개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나면 그 뒤는 민속 음악인들을 특별 초청하여 가야금이나 거문고의 산조음악, 또는 판소리나 경서도 민요 등이 올려지는 것이었다.
그런데 간혹 정가 순서에 당시 국립국악원 초대 원장이었던 이주환 선생을 대신해서 젊은 김경배 씨가 나와 가곡의 ‘소용이’를 부르기도 하고, 때로는 가사 중에서 ‘죽지사(竹枝詞)’를 부르기도 하였는데, 그 목소리가 어찌나 크고 우렁찼는지 일소당 지붕이 들썩거리는 감을 느끼곤 하였던 기억이 새롭다.
선생을 대신해서 제자가 무대 위에 출연하기 시작하였다는 사실 자체도 그렇거니와 역동성이 돋보이는 맑고 힘찬 목소리와 청중을 사로잡는 당당함 등에서 이미 그는 후일의 대스타를 예고하고 있었던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서울대 국악과를 졸업한 이후, 국악고 교사, 경북대 국악과 교수,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의 예능보유자, 월화문화재단 이사장 등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며 한국의 정가계를 이끌고 있는 것은 이미 세상이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몇 년 전, 소하 명인은 대학교수직에서 정년을 맞았다. 정년을 맞게 되면 대부분은 활동의 범위가 축소되기 마련인데, 그는 월하문화재단의 정기공연을 비롯하여 개인 발표회, 방송활동, 문화재 전승활동 등으로 오히려 그 이전보다 더더욱 열정적으로 살고 있어 주위의 부러움을 한몸에 받고 있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활동 중의 하나가 이번에 출반한 12가사 전곡을 담아낸 음반작업이 된다.
12가사(歌詞)는 백구사, 춘면곡, 죽지사, 어부사, 황계사, 길군악, 수양산가, 상사별곡, 처사가, 양양가, 권주가, 매화타령 등이다. 이러한 가사음악은 시조나 가곡과는 달리 비교적 장형시(長型詩)를 6박 혹은 5박 장단에 얹어 부르는 정가의 한 갈래로 그 노랫말을 이해하는 일도 쉽지 않거니와 속소리의 활용, 떠는 소리를 비롯하여 밀고 당기는 소리들의 다양한 표현법들, 그리고 긴 호흡으로 이어가는 선(線)적인 표현법들이 오랜 공력을 요구하는 노래인 것이다. 한 마디로 일반인들에게는 쉽게 접하기 어려운 전문가의 노래로 알려졌다.
나라로부터 무형문화재의 예능보유자로 인정을 받은 소하 명인은 타고난 목을 바탕으로 그 위에 두봉 이병성, 소남 이주환, 소당 홍원기의 소리제를 이어받았고 이를 갈고 닦아 올바른 창법으로 후진을 지도해오고 있는 대표적인 정통파 가객이다.
10여 년 전에 저술하여 후학들의 바른 길잡이가 된 <12가사보>의 악보집과 함께 이번에 제작된 12가사 음반이야말로 가사 음악의 바른 길잡이가 될 것을 의심치 않는다. 이 음반이 국악학과 국문학 분야의 연구자료로 활용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정가 전공자를 비롯한 국악인은 물론 인접분야의 예술인, 그리고 보다 많은 국악애호가들의 친근한 벗이 될 것을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