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4 (일)

  • 맑음동두천 11.9℃
  • 맑음강릉 12.4℃
  • 맑음서울 13.2℃
  • 맑음대전 14.1℃
  • 구름많음대구 14.5℃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4.9℃
  • 맑음부산 15.6℃
  • 맑음고창 14.6℃
  • 구름많음제주 14.3℃
  • 맑음강화 10.6℃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9℃
  • 구름조금강진군 15.0℃
  • 맑음경주시 14.8℃
  • 구름조금거제 12.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양돈" 일본에서 들어온 말 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 안의 일본말 찌꺼기(60)]

[그린경제 = 이윤옥 문화전문기자]  대한양돈협회(회장 이병모)는 지난 10월 15일 대전 유성 계룡스파텔에서 ‘2010 아름다운 돼지농장·돼지사진 콘테스트’ 시상식을 개최했다. (중략) 양돈협회는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 우수한 돼지사진들이 다수 선정됨에 따라, 소비자에게 친환경적인 양돈산업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알리고 양돈산업의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이를 최대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대한양돈협회 누리집-

 ‘한층 업그레이드 된 우수한 돼지’라는 표현이 재미나다. 아무리 우수하고 업그레드되었다 해도 궁극적으로는 인간에게 잡혀먹는 게 돼지들의 숙명임에 미안한 마음이 앞선다.

 ‘양돈, 양계’ 라는 말을 흔히 들어온 우리는 양우(養牛)와 양마(養馬)에 대해서는 다소 생소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조선시대에는 이미 양계, 양돈, 양우, 양마가 한창이었음을 숱한 기록들이 증명하고 있다. 먼저 양마(養馬)의 기록을 보자. 세종실록 32권, 8년(1426)에 ‘사복시에도 항상 말을 기르게 하되, 겨울에 3백 필, 여름에 2백 필을 기르게 하다. (自今司僕寺常養馬, 冬節則三百匹, 夏節則二百匹)’라는 기록이 보인다. ’

이어서 양우(養牛)의 경우는 정종실록 3권, 2년(1400)에 보면 ‘헌사(憲司)에서 사련소(司臠所, 소나 말을 미리 길러서 나라의 쓰임에 이바지하던 관아)로 하여금 소와 말을 미리 길러서 나라의 쓰임에 대비하게 하고, 민간의 것을 빼앗지 말도록 청하니, 그대로 따랐다. (憲司請令司臠所預養牛馬, 以備國用, 毋得奪諸民間, 從之) ’는 기록이 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양계와 양돈 기록을 보자. 세조실록 28권, 8년(1462)에는 “호조에 경중·외방에서 대·소가에 가축을 기르고 매해 초마다 보고토록 명을 내리다.”는 제목아래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임금이 신숙주·권남·한명회 등과 더불어 닭[雞]·돼지[豚]의 기름을 의논하고, 드디어 호조(戶曹)에 명을 내리기를, “닭·돼지·개·돝[彘]의 가축을 그것들의 번식할 때를 놓치지 않는다면 70대(代)의 사람들은 고기를 먹을 수 있게 된다고 하였으니, 이것은 왕정(王政)의 먼저 할 바이다.

   
 

우리나라의 풍속은 가축을 기르는 것에 일삼지 않아서 혹 손님 접대와 제사의 쓰임에 있어서도 오히려 또한 넉넉하지 못하니, 이제부터는 경중(京中)·외방(外方)의 대소가(大小家)는 다 닭과 돼지를 기르고, 경중은 한성부(漢城府)·오부(五部)에서, 외방(外方)은 관찰사(觀察使)·수령(守令)이 항상 잘 살펴보되, 매해 초마다 그 수를 세어 보고하라. 그 중에 가장 많이 번식한 자는 상(賞)을 주고, 힘쓰지 않는 자는 벌(罰)을 주며, 관리(官吏)도 또한 상세히 검토하여 상벌(賞罰)하라.”는 대목을 보면 임금이 나서서 가축 기르는 일을 관여할 만큼 지금으로부터 548년 전에 이미 조선에는 양계와 양돈이 장려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양돈 풀이를 보자. “양돈(養豚) : 돼지를 먹여 기름. 또는 그 돼지. ‘돼지치기’로 순화.”라고 되어 있다. 일본말이라고 나와 있지 않지만 관보 제 13,269호(6.3.23)에는 일본어투 생활용어로 분류되어 있다. 그러나 위 《조선왕조실록》에 보았듯이 이 말은 일본말에서 온 것이 아니라 이미 조선시대에 쓰이던 말이다.

 한 가지 더 지적할 것은 표준국어대사전의 경우 양돈, 양계, 양우는 나오는데 양마(養馬)는 없다. 조선시대에 엄청난 말을 기른 기록이 있는데 양마라는 말이 없다는 것은 우리가 쓰던 말을 인위적으로 줄이는 꼴이다. 무려 왕조실록에 양마(養馬) 기록이 154건이나 나오는데 어째서 이를 뺀 것인지 이해가 안 간다.

전부터 쓰던 말은 싹 빼버리고 우리를 핍박하던 일본인들이 쓰는 말 찌꺼기는 버젓이 들여다 어휘수를 늘리려고(?) 사전에 올리는 현실을 어떻게 설명해야하는지 답답하다. 

일본국어대사전 설명이나 하고 마치자. 《大辞泉》에는 ‘よう‐とん【養豚】:肉などを得るために、豚を飼育すること。「―業」’으로 되어있고 번역하면 “요우톤, 고기 등을 얻기 위해 돼지를 사육하는 일, 양돈업”으로 되어 있다. 어이없게도 '양돈'을 여기서 들여 온 말로 턱하니 써둔 것은 잘못되어도 크게 잘못된 것이다.

 

                      ** 이윤옥 《사쿠라 훈민정음》,《오염된 국어사전》지은이, 인물과 사상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