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어제 제2중부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니 재미나다기 보다 좀 딱한 선간판(입간판)이 눈에 들어와 몇자 적는다.갓길 공사 중인지곳곳에 세워둔 선간판에는 길어깨 없음이라고 적혀있다. 길어깨? 갓길에 대한 웃지 못할 이런 발상은 어디서 나온 것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말은 일본말 로카타(路肩,ろかた)에서 온 말이다. 일본국어대사전 《다이지센, 大辞泉》에 보면 路肩 : 道路の有効幅員の外側の路面 이라고 풀이하고 있다.번역하면 도로에 유효폭원의 외측 노면이다. 곧 로카타(路肩)의 한자를 한국음으로 읽어 노견이라 한 것이다. 제2중부 고속도로 서울행 경기도 광주 초월면 지점 그러나 원래 이것은 영어의 road shoulder에서 온 말로 일본사람들이 이를 직역하여 길어깨를 뜻하는 한자말이다. 노견, 路肩이 그것이다. 이것을한국인들이 들여다 줄곧 쓰다가이제 겨우 '갓길'로 정착 되었나 싶었는데 이 무슨 해괴한 표기란 말인가! 오이코시(추월, 앞지르기로 순화), 가시기리(대절, 전세로 순화) 따위의일본말이어디 하나둘이겠느냐만은제2중부 고속도로 갓길에 세워둔 길어깨라는말이야 말로 제 것의 본디 뜻을 생각지 않고 무늬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자부동이 일본말이 아니고 경상도 사투리인가요? 알려주세요.이와 같은 인터넷의 질문에답이 황당하다. 자부동은 경상도 사투리입니다. ▲ 일본 자부동, 우리말 '방석'을 일본사람들은 자부동이라한다 더 황당한 것은 지금도 《다음 오픈국어사전》에는 자부동: 방석을 가리키는 경상도 사투리로 나와 있다. 어째서 이런 엉터리 정보가 나돌아 다니는 것일까? 자부동을 일본어국어대사전 ≪大辞泉≫에서는 ざぶとん,【座布団/座蒲団】: 座るときに敷く布団으로 설명하고 있다. 번역하면 자부동 : 앉을 때 까는 방석이다.라는 뜻이다. 그런데 국립국어원이 만든《표준국어대사전》에 자부동은 없다. 사시미 : 생선회, 미싱: 재봉틀 몸뻬; 일 바지 같은 일본말은 실려 있는데 말이다. 국가가 만든 사전에는 없고 민간 사전에서는 자부동을 경상도 사투리라고 해놓았다.어처구니없는 일이다. 일본의 자부동 역사는 가마쿠라시대 (鎌倉時代, 1192-1333)부터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에도시대 (江戸時代, 1603-1868)쯤에 와야 서민들이 겨우 자부동을 깐다. 그도 그럴 것이 갈대 같은 풀로 만든 자부동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대질시켜보면 뽀록날 테니까 대기실에 들어가 있어 이는 황석영이 쓴 《어둠의 자식들》에 나오는 말이다.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로 뽀록나다라는 말이 있다. 무슨 뜻일까?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밑도 끝도 없이 이를 속된 말로 규정하여 풀이하길 「동사」, 숨기던 사실이 드러나다. 라고 할뿐 말의 유래를 밝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 말은 일본말 보로(ぼろ,襤褸)에서 온 말이다. 일본국어사전 다이지린(大辞林)의 풀이를 보자. ① 使い古して役に立たなくなった布。ぼろぎれ。 「くず屋に-を出す」 너무 오래 써서 도움이 되지 않는 옷감. 누더기 조각. 넝마주이에게 낡은 천 조각을 주다 ② 着古して破れた衣服。つぎはぎをしてむさくるしい衣服。 「 -をまとう」 오래 입어해진 옷, 누덕누덕 기워 누추해진 옷, ~을 걸치다 ③ つたない箇所。欠点。失敗。 「余りしゃべると-が出る」 「 -をかくす」 서툰 부분. 결점. 실패. 너무 떠들면 결점이 나온다, ~결점을 감추다 ④襤褸が出る, 隠していた欠点が現れる。「意外なことから―出る」 결점이 나오다, 숨겨진 결점이 나타나다, 의외의 일에서 결점이 나오다 종합하면 보로(ぼろ)는 낡은, 너덜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