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 이윤옥기자]
“나는 학살 현장인 사할린의 설원에 서게 되면 일본인이 저지른 뿌리 깊은 원죄를 뼈저리게 느낀다. 일본이 양심이 있다면 강제연행한 조선인을 맨 먼저 귀국시켜야 했다. 그런데 일본인만 후송하고 조선인은 내버려둔 것이다. 이렇게 비인간적인 행위가 용서될 수 있을 것인가?” 이는 일본인 하야시에이다이 씨의 격앙된 ‘일본사죄론’이다. 이 말은 비단 사할린에 국한된 이야기만은 아니며 2013년 현재 남아있는 60만 재일조선인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말이다. 지난 2010년 8월 15일은 광복 65주년이었고 같은 해 8월 29일은 경술국치 100년을 맞았었다. 그래서 우리는 “경술국치 100년, 한일평화를 여는 역사기행” 답사단을 꾸려 조선인들의 강제노동 현장인 기타큐슈의 치쿠호 탄광을 시작으로 시모노세키, 오사카, 교토에 이어 도쿄의 야스쿠니 반대 행사가 있던 히비야공원까지 장장 1,200킬로 거리를 12일에 걸쳐 돌아보았다. 이 글은 그때의 기록이지만 현재의 상황이기도 하다. 올해 68주년 광복을 맞아조선인강제연행 궤적을 쫓아갔던 기록을 10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설명-
|
도쿄도 스미다구 야히로 6번지(墨田区 八廣6-31-8)에는 ‘관동대지진 한국 ·조선인 순직자 추모비’가 세워져 있다. 여기서 먼저 짚고 넘어 갈 것이 있다. 한국인이면 한국인이고 조선인이면 조선인이지 <한국·조선인>이란 표현이 무슨 말인가? 하고 궁금해 할 독자를 위해 한 가지 설명 해둘 것이 있다. 다름 아닌 추도비문 이름이다.
2003년 9월 현재 도쿄 전역에는 21곳에 위령비가 세워져 있으나 추도비 이름은 제각각이다. 그 까닭은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이던 나라가 6·25 한국전쟁으로 남과 북이 갈라져 한 곳은 남한 곧 ‘대한민국’이요, 한 곳은 북한 곧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된 때문이다.
▲ 도쿄 아라카와 강가의 조선인 학살현장에서 |
일본인들에겐 ‘조선인=북한’, ‘한국인=남한’ 의식이 강한데다가 재일동포들 역시 추도비나 위령탑을 세우려다 보니 주체의식에 대한 혼란이 생겨 ‘한국인 추도비’, ‘조선인 추도비’, ‘무연불(無緣佛) 공양탑’, ‘이국인(異國人) 위령탑’, ‘동포 희생탑’ 등 통일되지 못한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 분단의 아픈 상처가 위령비에도 고스란히 배어 있다.
이들 “관동대지진 위령탑”들은 대개가 재일동포의 주선으로 만들어진 게 많지만 양심 있는 일본인들의 협력이 큰 힘이 되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기념비나 위령비를 세우는 자금에서부터 부지 확보 문제도 어렵거니와 비를 세우려는 지역에 현지주민의 반대가 있으면 위령비는 들어설 수 없다. 이러한 어려운 여건 아래에서 관동 일대에 세워진 추도비는 그래서 더 값지고 의의가 크다.
▲ 아라카와 강변에 세운 추모비
“1923년 9월1일 관동대지진 당시 스미다구에서는 혼쵸(本町)지역을 중심으로 대화재가 발생하여 아라카와(荒川) 강변에는 피난 나온 사람들로 넘쳐났다. <조선인들이 불을 질렀다> <조선인이 공격해온다> 등의 유언비어가 퍼져 구(舊) 요츠기바시(四つ木)에서는 군대가 기관총으로 조선인을 총살하였으며 일반인들도 살해 행위에 가담했다.
6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나 아라카와 강의 방수로 개설 역사를 조사하던 어느 소학교 교사가 이 지역의 노인들로부터 관동대지진 당시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서 그 교사는 이러한 증언을 토대로 이들을 추모하자고 주변 사람들에게 호소하기 시작했다. 지진이 일어난 지 두 달 뒤인 11월 도쿄의 신문기사에 따르면 헌병경찰의 감시 하에 아라카와 강변에서 두 차례에 걸쳐 희생자 발굴 작업이 이뤄졌는데 그때 유해를 어디론가 운반하였으나 희생자 유골의 행방은 그 후 조사할 수 없었다.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살해당하여 유골도 무덤도 없이 진상도 규명하지 않은 채 86년이 흘렀다. 이에 희생자들을 추도하고 역사를 반성하며 여러 민족이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일본사회의 창조를 염원하여 민간 여러분이 힘을 모아 이 비를 세우다.
2009년 9월 5일, 관동대지진시 학살당한 조선인의 유골을 발굴하고 추도하는 모임 봉선화”
▲ 추모비 앞에서 억울하게 죽어간 조선인 희생자들을 기리며 묵념하는 답사단
팔월 한낮의 뜨거운 햇볕 속에서 답사단을 아라카와 강변으로 안내해준 사람은 전직 교사출신 니시자키(西崎雅夫方) 씨로 그는 사회교육단체 <그룹 봉선화>를 이끄는 대표였다. 봉선화모임은 이곳에 추도비를 세우려고 1975년부터 ‘조선인 학살사건’을 연구해온 모임이다.
이들은 1982년 7월 ‘관동대지진에 학살된 조선인 유골을 발굴하여 추모하는 모임’을 결성하여 학살에 대한 증언자 150명을 확보한 이래 1992년에는 ≪바람이여 봉선화 노래를 전해다오, 風、鳳仙花の歌をはこべ≫라는 책을 발간하는 등 아라카와 학살현장을 보존하고 일본에 알리기 위한 운동을 하는 순수한 일본인 단체이다.
그들은 34년간 준비 끝에 2009년 9월 5일 추도비 건립을 보게 되었다. 십시일반으로 사유지를 사들여서 과거 일본정부에 의해 저질러진 학살의 역사를 기록하는 한편 매년 억울하게 죽은 이들을 위한 추모집회를 여는 등 이들의 활동에 답사단의 고개가 저절로 숙여졌다.
니시자키 씨는 추도비가 들어섰다고 해서 일이 끝난 것이 아니라 봉선화 모임은 앞으로 희생자추모사업을 법인화하여 오래도록 학살관계 일을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니시자키 씨는 학교도 그만두고 이 일에 매달리고 있으며, 혹시나 세워둔 추도비를 우익들이 훼손할까 봐 추도비 옆에 집을 구해 지키고 있었다.
무엇이 그를 이렇게 한국인 희생자들을 위해 헌신하게 하였을까? 일본정부의 무관심과 어려운 주머니 사정에도 회비를 모으고 마음을 모아 학살된 조선인을 위한 열정을 다 바치는 분들을 곳곳에서 만날 때마다 가슴이 뭉클해진다.
추도비와 아라카와 학살현장을 둘러보고 돌아오는 길에 니시자키 씨는 답사단에게 봉선화 씨앗이 든 작은 봉투를 선물했다. 내년에는 울 밑에 심어 고운 싹을 틔우리라는 다짐을 했다. 한편으로는 어떻게든지 한국인들도 이들과 동참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안타까운 마음으로 답사단이 이어서 찾은 곳은 치바현 관음사였다.
<9편>은 "도쿄 치바현 나기하라마을의 조선인 학살현장"이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