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나는 학살 현장인 사할린의 설원에 서게 되면 일본인이 저지른 뿌리 깊은 원죄를 뼈저리게 느낀다. 일본이 양심이 있다면 강제연행한 조선인을 맨 먼저 귀국시켜야 했다. 그런데 일본인만 후송하고 조선인은 내버려둔 것이다. 이렇게 비인간적인 행위가 용서될 수 있을 것인가?” 이는 일본인 하야시에이다이 씨의 격앙된 ‘일본사죄론’이다. 이 말은 비단 사할린에 국한된 이야기만은 아니며 2013년 현재 남아있는 60만 재일조선인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말이다. 지난 2010년 8월 15일은 광복 65주년이었고 같은 해 8월 29일은 경술국치 100년을 맞았었다. 그래서 우리는 “경술국치 100년, 한일평화를 여는 역사기행” 답사단을 꾸려 조선인들의 강제노동 현장인 기타큐슈의 치쿠호 탄광을 시작으로 시모노세키, 오사카, 교토에 이어 도쿄의 야스쿠니 반대 행사가 있던 히비야공원까지 장장 1,200킬로 거리를 12일에 걸쳐 돌아보았다. 이 글은 그때의 기록이지만 현재의 상황이기도 하다. 올해 68주년 광복을 맞아조선인강제연행 궤적을 쫓아갔던 기록을 10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설명-
|
“흰 목련꽃 나무 아래 / 나란히 누워 잠든 그대들 누구인가! / 고향땅 어머니 곁 떠나 / 어이타 황천길 들었는가! / 오다케 할머니는 힘주어 들려주셨지 / 목련꽃 나무뿌리 밑에 조선인 시신 6구가 뒤엉켜 있더라 / 그때 / 매미는 고래고래 악을 썼고 / 목련꽃 나무 옆 주택가 하늘은 흐려있었지 / 꽃은 지고 또 피고 또 피고 또 지고 / 뉘 집 귀한 아들이었을까? / 학살된 젊은 조선인을 그리며 관음사로 돌아오는 길 / 팔월 무더위는 끝내 / 속적삼을 적시었지” -이윤옥 '그대들 누구인가? (치바현 나기하라 조선인 학살 현장에서)'-
스미다구 아라카와 강가의 학살 현장을 벗어나 치바현 관음사에 도착한 것은 오후 3시 반. 날씨는 더웠지만 맑았다. 한국보다 심한 습기와 불볕더위로 냉방 잘된 버스에서 내리자 훅 하고 불어오는 더운 바람에 숨이 턱 막힌다. 이렇게 더운 날씨에도 답사단이 도착하는 곳에는 반드시 서너 명씩 현지 사정에 밝은 시민단체 회원들이 나와줬다.
관음사 앞마당에 버스를 세우고 내리니 남산 식물원에서 보던 커다란 선인장이 우리를 반긴다. 잘도 키워 꽃을 피운 선인장 앞에서 우리를 실은 버스가 도착할 때까지 더위를 무릅쓰고 기다려준 사람들은 ‘치바현의 관동대진재와 조선인 희생자 추도 조사실행 위원회’ 히라가타 사무국장, 오다케요네코 씨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었다. 반갑게 우리를 안내하는 이들이 한없이 고마웠다.
▲나기하라 조선인 학살현장에 마중나온 ‘치바현의 관동대진재와 조선인 희생자 추도 조사실행 위원회’ 위원들
조용한 주택가에 자리한 관음사로부터 학살현장인 목련나무 아래까지는 불과 5분도 안 되는 거리였다. 일본은 무덤관리를 절에서 해주고 있는데 관음사에도 많은 무덤이 있어 때마침 양력 추석 성묘를 나온 사람들이 제법 눈에 띄었다. 무덤 곁을 지나 마을 안길로 들어서니 풀들이 무성한 곳이 나타났다. 히라가타 씨에 따르면 관음사 일대에는 일본 강점기 때 육군 훈련병 연습장이 있던 자리였다고 하나 지금은 그런 사실을 아는 듯 모르는 듯 학살 현장인 나기하라의 커다란 목련나무는 푸르름을 간직한 채 답사단을 맞이했다.
▲나기하라 학살현장에서 증언을 하는 팔순을 눈앞에 둔 오다케 할머니
목련꽃 나무 아래에서 학살 당시 설명을 해준 분은 오다케 할머니였다. 그는 올해 79살로 건강이 안 좋아 보였지만 학살 당시를 설명할 때는 어디서 그런 힘이 솟구치는지 쩌렁쩌렁했다. 오다케 할머니는 학살당한 조선인과 목련 나무를 다음과 같이 얘기했다.
“여기 목련 나무 아래에 조선인을 학살해서 묻었어요. 조사단이 이 자리를 발굴하자 6구의 시체가 엉켜있었지요. 이 목련나무는 해마다 어떤 꽃보다 먼저 꽃이 피는데 여기서 학살당한 조선인들의 영령이 아닌가 싶어요.”
▲ 나기하라 학살현장의 위령비(왼쪽)와 위령탑
75년 만에 학살된 조선인 유골 발굴 이뤄져
구(舊) 육군 나라시노 연습장에서 조선인 6명을 끌고 나와 처참하게 살해하여 이곳에 묻었으나 1970년대 후반까지 이러한 사실은 공공연한 <금기>였다고 했다. 그러나 지역의 한 중학교 교사가 학생들과 학살 사실을 증언을 통해 확인하였고 1998년에는 75년 만에 유골 발굴이 이뤄져 6구의 유해를 발굴하여 화장한 뒤 관음사에 모시고 해마다 9월 첫째 토요일에 추도식을 하고 있다고 전해주었다. 현재 치바현 내에는 관음사 위령비를 포함하여 4곳에 조선인 추도위령비가 세워져 있다.
특히 이곳 치바지역에서는 1978년 6월 24일 <치바현에 있어서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희생자 추도조사 실행 위원회>를 결성하여 <이시부미,いしぶみ> 라는 회보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2008년 10월 25일에는 35호 회지를 엮은 축쇄판을 찍어내어 과거 일본이 저지른 만행을 일본인들에게 소상히 알리는 일을 지속하고 있다.
▲ <치바현의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희생자 추도조사 실행 위원회>가 발행하는 <이시부미, いしぶみ> 회보
목련꽃 나무 밑에서 학살 증언을 듣고 나서 우리는 관음사에 세워진 조선인희생자 위령비에 분향·헌화했다. 위령비 옆에는 단청이 선명한 종루와 그 안에 커다란 평화의 종이 걸려있었는데 이는 한국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이사장 김의경 씨와 민속극연구소 심우성 씨 등이 기증한 것으로 1985년 9월1일 관동대지진 추모 62주년을 맞이하는 날에 맞춰 타종식을 했다.
순수한 일본인들이 모여 해마다 추모회를 열고 있지만 한국의 독지가들도 틈틈이 종각을 세운다든가 추모회에 참석하는 등 관심을 보이고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위령비 헌화를 마치고 답사단은 잠시 관음사 대웅전에 들어가 히라가타 사무국장으로부터 치바현에서 그동안 활동해온 내용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히라가타 씨는 현재 일본정부에 '관동대지진 진상규명’을 강력하게 촉구 중이라고 했다. 어쩌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을 대신 해주는 것 같아 고마움 반 미안함 반의 마음으로 그들의 활동에 손뼉으로 감사하는 마음을 전했다.
“관동대지진 때의 조선인 학살사건에 대해서는 이미 재일 조선인 연구자와 일본 시민단체의 많은 연구가 있지만 나의 관심은 조선인 학살사건 그 자체보다도 이 사건 후 일본 정부가 어떻게 자기 책임을 회피하고 감추려고 광분했는지 그리고 일본의 지식층과 민중이 왜 일본정부의 은폐사실을 저지할 수 없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라고 한 관동대지진 연구의 권위자인 야마다쇼우지(山田昭次) 교수의 말이 생각났다.
▲ 나기하라 학살현장의 위령비에 분향과 헌화를 하는 답사단(왼쪽), 평화의 종 앞에서 설명을 듣는 답사단
치바현 연구자 모임 회원인 니시자와 씨는 답사단이 버스에 오르려고 대웅전에서 나오자 ‘한국으로 돌아가면 주변인들에게도 관동대지진의 참상을 알려 달라. 젊은이들이 많이 와 줘서 정말 고맙다.’라며 버스가 관음사를 떠날 때까지 손을 흔들어 주었다. 곁에는 나기하라의 흰 목련나무 밑에서 불편한 몸을 이끌고 일본의 만행을 설파하던 오다케 할머니도 있었고 히라가타 사무국장도 오래도록 손을 흔들고 있었다.
아침부터 요코즈나공원의 조선인추모비를 시작으로 아라카와 강가의 학살현장과 치바현 나기하라의 학살 현장까지 둘러보고 나니 어느새 하루해가 기울고 있었다. 흉악한 일제는 조선인을 학살한 것도 모자라 시신도 어디론가 빼돌려 없애고, 그런 사실을 왜곡하고 덮어두는 야만성을 보이는 등 조선인 징용자들을 두 번 죽인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그러한 학살 현장을 보존하고 연구하면서 해마다 희생된 조선인을 위해 향을 사르는 양심 있는 시민단체들을 보면서 한편으로는 작은 희망을 보았다. 한일시민들이 공동으로 조선인 학살에 대한 일본정부의 책임을 끝까지 묻고 어서 이 문제를 해결한 바탕 위에 진정한 한일간의 평화를 이야기해야 한다는 사실에 답사단은 모두 공감했다. 도쿄 시내로 들어가는 차창 밖에는 어둠을 밝히는 가로등이 하나둘씩 켜지고 있었고 어둡기만 하던 우리 마음속에도 작은 초롱불 하나씩 켜지고 있었다.
<제10편> “웬수와 함께 잠들고 싶지 않다. 야스쿠니에서 우리를 빼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