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 = 이윤옥 기자]
오늘은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에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날이다. 리히터 지진계로 7.9도를 기록한 이날의 대지진을 일본에서는 관동대진재(関東大震災)라 부른다. 그러나 우리는 이 날을 조선인 관동대학살의 날로 기억한다.
▲ 조선인이 방화를 일삼고 폭동을 일으킨다는 오사카신문 호외.1923.9.3
90년이 지난 지금 왜 우리는 이 날을 기억해야 하는가? 아니 기억하지 않으면 안 되는가? 그간 관동대지진 때 희생된 조선인 사망자 수는 6천여명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문헌에 따라 1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등 정확한 숫자 파악이 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강효숙 원광대 사학과 교수는 지난·23일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열린 관동대지진 90년을 맞아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사건’에서 당시 학살된 조선인 수는 공식 기록보다 3.4배나 많은 2만 3,058명에 이른다는 독일 외무성의 사료를 들어 밝혔다.
뿐만 아니라 도쿄대공습 때 희생된 조선인 수도 41,000여 명에 이르는 등 관동대지진과 도쿄대공습으로 희생당한 조선인 수는 상상을 초월하는 숫자다. 이들 희생자들 중 일부는 여름철 불꽃놀이로 유명한 스미다가와구 요코즈나 2정목(墨田区横綱2丁目)에 있는 요코아미쵸공원(横網町公園) 안 도쿄도위령당 지하에 보관되어있다.
도쿄도위령당에는 두 가지 사건으로 목숨을 잃은 일본인들의 유골이 안치되어 있는데 하나는 1923년 9월 1일 발생한 관동대지진 때의 희생자들이고 다른 하나는 1940년 4월 13일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 있었던 태평양전쟁 당시 미군 공습 때 희생당한 사람들이 그들이다. 이들 틈에 끼여 신원 확인이 안 된 조선인으로 추정되는 50여 명의 유골이 이곳에 안치되어 있는 것이다.
▲ 도쿄 위령당 지하에 신원 확인이 안된채 방치되어 있는 조선인 유해 |
근거 없는 조작이 유언비어로 조선인 대학살 자행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1923년 9월 1일 도쿄시내는 아수라장이 되었다. 전화는 불통되었고 교통기관은 파괴되었으며 수도와 전기도 끊겨 도시는 유령의 도시로 변했고 사람들의 인심은 흉흉했다. 7.9도의 대지진은 대장성, 문부성, 경시청 등의 주요 관공서 등을 무너뜨렸으며 65억 엔에 이르는 물적 손실과 사망, 행방불명자, 부상자를 포함한 이재민 등 인적 피해만도 100만여 명으로 추정될 정도여서 국가비상사태를 맞이한 일본은 당황했다.
민심이 극도로 불안해진 가운데 엄청난 재앙의 국가 위기를 수습하려고 일본경찰은 9월 2일 오후 6시를 기하여 계엄령을 선포하는데 이때 도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치바현 등지에서 한국인이 우물에 독약을 넣었다느니 폭동을 일으켰느니 하는 등의 유언비어를 고의로 퍼뜨린다. 당시 계엄령 선포자는 미즈노(水野鍊太郞)와 아카지(赤池濃)로 이들은 3.1운동 때 조선에서 총독부 정무총감과 경무국장을 역임한 자들이다
조선인 학살을 일삼은 자경단(自警団)을 놓고 일본은 그간 주민들이 신변방어를 위해 만든 자발적인 주민모임이었다고 하면서 국가 개입 사실을 발뺌해 왔다. 그리고는 후소샤(扶桑社) 교과서 등을 통해 자라나는 어린 세대들에게조차 ‘조선인대학살’ 부분을 단순한 ‘민간조직에서 한 일로 국가는 모르는 일’로 은폐하고 있는 것이다.
1921년 당시 조선은 일본의 점령상태라 '관동대지진 시 조선인 참상'에 대한 자체적인 진상 조사에 들어 갈 수 있는 처지가 못 되었다. 하지만 일본인에 의한 대학살 극이 멈춰지지 않자 이를 보다 못한 각국 외교관들은 일본정부에 강력히 항의했다. 또한 세계 언론들도 일본에 대한 비판의 소리를 높였다고 한·중·일 3국 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가 만든 ≪미래를 여는 역사, 未来を開く歴史, 2005, 일본 高文研> 교과서에서는 밝히고 있다. 한편 중국의 경우는 중국인 학살의 진상 촉구를 위해 북경에서 일본으로 조사단을 파견하기도 하였다.
관동대지진 때 조선인 학살은 여러 곳에서 이뤄졌는데 도쿄도 스미다구 지역도 예외는 아니었다. 1923년 9월1일 관동대지진 당시 스미다구에서는 혼쵸(本町)지역을 중심으로 대화재가 발생하여 아라카와(荒川) 강변에는 피난 나온 사람들로 넘쳐났다. 그때 “조선인들이 불을 질렀다. 조선인이 공격해온다”등의 유언비어가 퍼져 구(舊) 요츠기바시(四つ木)에서는 군대가 기관총으로 조선인을 총살하였으며 일반인들도 살해 행위에 가담했다.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지 두달 뒤인 11월 도쿄의 신문기사에 따르면 헌병경찰의 감시 하에 아라카와 강변에서 두 차례에 걸쳐 희생자 발굴 작업이 이뤄졌는데 그때 유해를 어디론가 빼돌렸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은 2009년 9월 5일 이곳에 세운 추도비에 자세히 적혀있다.
▲ 아라카와 학살 현장에서 증언하는 니시자키(西崎雅夫方) 씨
치바현 나기하라마을에도 조선인 학살 이어져
스미다구 아라카와 강변에서 조선인 학살이 일어난 것은 아니었다. 구(舊) 육군 나라시노 연습장에서 조선인 6명을 끌고 나와 처참하게 살해하여 이곳에 묻었으나 1970년대 후반까지 이러한 사실은 공공연한 <금기>였다고 했다. 그러나 지역의 한 중학교 교사가 학생들과 학살 사실을 증언을 통해 확인하였고 1998년에는 75년 만에 유골 발굴이 이뤄져 6구의 유해를 발굴하여 화장한 뒤 관음사에 모시고 매년 9월 첫째 토요일에 추도식을 하고 있다고 전해주었다. 현재 치바현 내에는 관음사 위령비를 포함하여 4곳에 조선인 추도위령비가 세워져 있다.
“관동대지진 때의 조선인 학살사건에 대해서는 이미 재일 조선인 연구자와 일본 시민단체의 많은 연구가 있지만 나의 관심은 조선인 학살사건 그 자체보다도 이 사건 후 일본 정부가 어떻게 자기 책임을 회피하고 감추려고 광분했는지 그리고 일본의 지식층과 민중이 왜 일본정부의 은폐사실을 저지할 수 없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라고 한 관동대지진 연구의 권위자인 야마다쇼우지(山田昭次) 교수는 말했다.
90년 전 오늘 관동일대는 대지진으로 큰 참화를 입었다. 대지진의 혼란한 틈을 요코하마, 아라카와 강변, 치바현 나기하라 등지를 포함한 도쿄의 여러 곳에서 조선인 학살이 자행되었다. 지금도 도쿄위령당(납골보존) 지하에서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채 90년째 잠들어 있는 조선인 유해는 돌아 올 기미가 없다. 뿐만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정확한 진상조사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 아라카와 학살 현장 근처에 세워진 추도비
▲ 희생된 조선인을 위한 추도비 앞에서
중일전쟁(1937) 때 일본군에 의해 자행된 남경(南京)대학살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으나 관동대지진 때 학살된 조선인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고 있는 것도 문제다. 학살된 조선인들은 어디서 어떻게 죽어갔으며 그 유해는 어떻게 처리되었는지도 국가는 소상하게 조사하여 밝혀야 할 것이다. 무주구천을 떠도는 외로운 조선인 영혼을 위해서도 이 문제를 더 미뤄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