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0 (금)

  • 흐림동두천 -15.9℃
  • 맑음강릉 -9.0℃
  • 맑음서울 -11.6℃
  • 맑음대전 -12.7℃
  • 맑음대구 -10.6℃
  • 맑음울산 -10.9℃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9.3℃
  • 흐림고창 -11.9℃
  • 제주 1.4℃
  • 맑음강화 -13.6℃
  • 흐림보은 -16.4℃
  • 흐림금산 -15.2℃
  • 맑음강진군 -7.2℃
  • 맑음경주시 -11.1℃
  • 맑음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한글 그리고 우리말

‘누이’는 “누에치는 여자”에서 나온 말

재미있는 우리말 말밑 이야기 7

[그린경제=반재원 소장] 

누이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누이는 남자 쪽에서 보아 그와 항렬이 같은 여자.
준말은
누이를 경북지방이나 황해도 지방에서는 누에라고 한다.
누이동생 - 손아래 누이, 즉 여동생. 준말은 뉘 동생.
누이 바꿈 - 두 남자가 서로 상대방의 누이와 결혼하는 일.
누나 - 같은 항렬의 손위의 여자.
누님 - 손윗누이의 높임말.
누부 - 누나나 누이의 경상도 사투리.
누비 - 누에의 경상도와 함경도의 사투리.
누비 - 누나의 함경도 사투리. 누이의 경남, 함경도 사투리.
니비 - 누에.
누에 - .
누배 - 누나의 함경도 사투리.
누베 - 누에의 경상도와 함경도 사투리
누야 - 누나의 경상도 사투리. 누이의 경남 사투리.
누얘- 누나나 누이의 함경북도 사투리.
누예 - 누이의 경북, 충북 사투리            (한글학회 지음. 어문각. 우리말 큰사전)
 
이상에서 살펴본 바로는 누이누에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그 발음과 뜻이 같거나 비슷하게 혼용하여 쓰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누이는 누에를 먹이는 여자를 뜻하는 것으로 보이며 누에를 치는 여자의 대명사로 쓰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누에를 경상도와 함경도 사투리로 누비 또는 뉘비라고 하는데 누비는 또한 누나의 함경도 사투리이며 누이의 경남, 함경도 사투리이기도 하다. 누이를 경북이나 황해도 지방의 사투리로 누에라고 한다. 또 누에의 준말은 인데 누이의 준말이 , 누이동생의 준말이 뉘동생이다. , 누이의 준말인와 누에의 준말인 는 같다. 란 중국 삼황오제시대부터 누에의 신()으로 추앙 받는 누조, 뉘조(嫘祖)와 또한 발음이 같음을 알 수 있다.
 
뉘조(嫘祖)<>란 여자()가 밭()에서 실()을 생산 해낸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곧 밭에 뽕을 가꾸어 그것으로 누에를 길러 비단실을 생산하는 여자를 누에’ ‘누이또는 라고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누에의 신인 뉘조(嫘祖) , ‘누에를 치기 시작한 여자의 조상에서 누이, 뉘라는 어원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조선 말엽까지만 해도 창덕궁 주합루에서 왕비가 해마다 직접 누에를 쳐서 백성들에게 권잠 하였으며 지금의 제기동에 있는 선농단에 왕이 제사지내는 의례와 더불어 성북동의 선잠단에는 누에의 신인 뉘조에게 왕비가 직접 제사를 지내 왔었다. 이러한 정황으로 보아 우리말의 누이라는 말의 어원은 누에를 치는 여자누에의 신인 뉘조에서 나왔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삼황오제 시대의 뉘조가 우리의 직계 조상이었을 가능성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뉘조 - 삼황오제시대 중국인의 시조인 황제의 부인으로 누에의 신으로 추앙 받고 있 다. 뉘조의 상징은 누에, 그의 딸 상아는 누에나방의 모양으로 기록되어 있다. 金文新 攷. 韓國 文字學會 解. 김재섭(1998). <원저 : 駱賓基(1987). 金文新攷. 山西 人 民出版社>. 
 
** 뉘조 - 삼황오제시대 중국인의 시조인 황제의 부인으로 누에의 신으로 추앙 받고 있 다. 뉘조의 상징은 누에, 그의 딸 상아는 누에나방의 모양으로 기록되어 있다. 金文新 攷. 韓國 文字學會 解. 김재섭(1998). <원저 : 駱賓基(1987). 金文新攷. 山西 人 民出版社>.